• 제목/요약/키워드: Early Childhood Education

검색결과 1,778건 처리시간 0.031초

Analys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Concept Maps on Economic Education

  • Jeon, Eun Sun;Kim, Sang Lim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7권1호
    • /
    • pp.43-48
    • /
    • 2019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early childhood teachers' content knowledge of economic education. The subjects, 60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asked to draw concept maps about early childhood economic education. Their concept maps were analyzed in terms of superordinate and subordinate concepts by contents and frequenci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248 superordinate concepts were shown, and they were categorized into nine representative terms: 'Scarcity and Choice,' 'Decision Making,' 'Monetary Value,' 'Production,' 'Consumption,' 'Distribution,' 'Restrain,' 'Reuse,' and 'Economic Education Activity.' Second, 1,440 subordinate concepts were shown, and 'coin,' 'bill,' 'saving,' 'bank,' and 'money' were frequently shown. Third, the mean numbers of subordinate concepts per superordinate concepts showed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had more knowledge about 'Consumption,' 'Monetary Value,' and 'Economic Education Activity' than other superordinate concepts. The results showed the need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to have more systematic and hierarch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n economic education.

유아의 컴퓨팅 사고력 함양을 위한 소프트웨어 교육 프로그램 적용 및 효과분석 (Application and Effectiveness Analysis of Software Education Program for Computational Thinking in Early Childhood)

  • 이경희;고은현;홍찬의;이영석;문은경;조정원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12호
    • /
    • pp.100-109
    • /
    • 2020
  • 유아 소프트웨어 교육에 대한 관심과 논의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시점에서, 본 연구는 유아 소프트웨어 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하고 이를 통해 소프트웨어 교육 효과성과 컴퓨팅 사고력 함양에 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컴퓨팅 사고력 함양이라는 소프트웨어 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을 달성을 할 수 있도록 소프트웨어 교육 내용 요소와 컴퓨팅 사고력 요소가 균형 있게 분포하고 있는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이를 통해 체험과 놀이 활동을 하며 자연스럽게 사고하는 방법을 일깨워 주고 문제를 발견하고 스스로 해결책을 찾아내는 경험을 할 수 있는 교육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본 연구에서 적용한 교육프로그램이 유아의 소프트웨어 교육 효과성과 컴퓨팅 사고력 함양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컴퓨팅 사고력을 함양할 수 있는 체계적인 유아 소프트웨어 교육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유아영어교사의 자질과 양성 교과목에 관한 실태연구 (A Study on the Qualifications of Early Childhood English Teachers and Curricula for Early Childhood English Teachers in Training)

  • 최혜정;조성자
    • 아동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17-36
    • /
    • 2007
  • This study examined educational and career backgrounds of 180 early childhood English teachers and curricula of training courses for early childhood English teachers in continuing education centers across 6 areas in Korea. Data analyses showed that (1) curricula for early childhood English teachers consists of basic practical conversation, English teaching skills, understand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general English knowledge. (2) Most teachers are women between 30 to 40 years of age, university graduates with majors in English literature, English education and/or early childhood education with confidence in speaking in and listening to English. (3) They were satisfied with their retraining courses. (4) English pronunciation skill was not always related to English conversation skill, but clarity of pronunciation influenced teaching confidence.

  • PDF

한국과 미국의 유치원 수학교육의 내용과 과정에 관한 비교 (A Comparison of Mathematical Contents and Process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between Korea and U.S.)

  • 계영희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23-140
    • /
    • 2010
  • 교육과정은 역사적으로 각 시대의 사상과 철학, 문화의 영향으로 교과중심, 경험중심, 학문중심, 인간중심, 관계중심 교육과정으로 변천하여 왔다.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 유치원 교육과정의 변천을 고찰하고, 특히 2007년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의 수학영역과 미국 NCTM (National Council of Mathematics)의 유치원 수학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하여, 현재 연구 중인 제 7차 유치원 교육과정의 수학영역에서 내용과 과정, 계열을 정하는데 있어서 문화적, 사회적, 인지적으로 적합하고 적절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Q 방법론을 사용한 유아교사의 과학교육에 대한 불안 탐색 (Exploring Science Education Anxiety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Using Q-Methodology)

  • 김자은;김연하
    • 아동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69-82
    • /
    • 2016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early childhood educators' anxiety regarding science education via Q-methodology. Methods: As the first step, 268 Q samples were collected from resources such as books and research papers related to scienc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hrough five stages of excluding and modifying, a set of 33 Q statements was finalized. The P sample consisted of 40 early childhood educators and was based on educational levels, years of teaching experiences and types of cente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QUANL statistical program.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science anxiety among early childhood educators are classified into four types, explaining 45.13% of the total variance. Conclusion: We conclude that early childhood educators' science anxiety stems from "preparing educational environment and materials," "instructional methods focused on process and scientific inquiry skills," "lack of understanding regarding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and "simple science avoidance."

영양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및 요구 비교 (The Comparison of Perceptions and Needs for Nutrition Education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Parents)

  • 김남희;김미현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66-74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perceptions and needs for nutrition education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parents. This data will address the effective plans and suggest further nutrition education program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centers.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200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174 parents in Busan. We collected data through questionnaires from teachers and parents and then computed the frequency and ${\chi}^2$ test to analyze the data. The questionnaire was revised and complemented on the basis of related literatures and previous researches. According to our results in this stud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eachers' and parents' perceptions on the need of nutrition education and the reason for needing nutrition education. And there were differences among aims, contents, methods, and effective ways of nutrition education for children. In addi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needs from teachers and parents on nutrition education. Finall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various implications for developing nutrition education program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centers. These results can be used to develop nutrition education program by considering the teachers' and parents' perceptions and needs. These may be useful data when planning for the nutrition curriculum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centers.

유아영양교육 내용에 대한 유아교사의 개념도 분석 (Analysi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Concept Maps on the Contents of Early Childhood Nutrition Education)

  • 이연희;김남희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19-37
    • /
    • 2015
  • 본 연구는 개념도 분석을 통해 유아교사의 유아영양교육 내용에 대한 지식과 지식수준이 어떠한지를 파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대구 경북지역 유아교사 105명을 대상으로 유아영양교육 내용에 대한 개념도를 작성하도록 한 후 개념도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교사의 유아영양교육 내용에 대한 지식을 살펴본 결과, 상위개념 빈도가 가장 높은 것은 식습관이었고, 유아영양교육 내용요소별 재분류한 결과 빈도가 가장 높은 것은 청결과 위생이었다. 둘째, 유아교사의 유아영양교육 내용에 대한 지식수준을 살펴본 결과, 상위개념에 포함된 종속개념 수와 위계의 평균이 가장 높은 것은 식문화였고, 특성점수에서는 음식이 가장 높았다. 밀도는 비슷한 수준으로 분포되어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교사가 유아영양교육 내용에 대해 보다 위계적, 조직적, 통합적 지식을 갖고 교육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돕는 교사교육이 필요함을 시사 받을 수 있다.

성경에 기초한 유아 언어 교육 활동 개발을 통한 기독 예비 유아 교사의 변화 (The Change of Christia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rough Development of Bible-Based Early Childhood Language Education Activities)

  • 김민정
    • 기독교교육논총
    • /
    • 제61권
    • /
    • pp.165-201
    • /
    • 2020
  • 본 연구는 성경에 기초한 유아 언어 교육 활동 개발을 통한 기독 예비 유아교사의 변화를 탐구하여 기독유아교육의 언어교육 개발 방향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유아 언어 교육의 세부 주제인 '성경에 기초한 유아 언어 교육 활동 개발'에 참여한 기독교교육과 학생 19명을 대상으로 2018년 9월 3일 ~ 12월 28일 동안 면담, 설문조사, 활동계획안, 성찰이 담긴 포트폴리오 등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여 핵심 범주를 도출하고 이를 범주화 하였다. 자료 분석 및 해석의 객관화를 위해 신학 및 유아교육 전문가 2인의 동료 확인을 거쳤다. 연구 결과, 성경에 기초한 유아 언어 교육 활동 개발에 대한 기독 예비 유아교사 경험은 인지적 변화, 인성적 변화, 실천적 변화로 범주화하였다. 첫째, 성경에 기초한 유아 언어 교육 활동을 개발하면서 기독 예비 유아교사는 유아 언어교육의 발달적 성취와 결과보다는 '언어교육활동의 과정'의 인지적 변화를 경험하였다. 또한, 유아 언어 교육 영역의 분리가 아닌 '듣기-말하기-읽기-쓰기의 통합'의 필요성을 인식하였다. 기독 예비 유아교사는 교사중심의 형식적 언어교육과 더불어 '유치원 생활 속의 비형식 언어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였고, 유아 언어 교육의 효과성 검증보다는 '유아 중심의 의미 있는 언어교육 경험'이 중요하다는 인지적 변화가 이루어졌다. 둘째, 성경에 기초한 유아 언어 교육 활동을 개발하면서 기독 예비 유아 교사는 '자신감 있는 교사', '전문성 있는 교사', '반성적 사고와 태도를 가진 교사'로서 인성적 변화를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성경에 기초한 유아 언어 교육 활동을 개발하면서 기독 예비 유아 교사는 '긍정 언어의 힘'을 인식하였고, '바른 언어 사용 습관' 형성과 '기독교 교육과 유아교육 연계'를 위해 노력하는 실천적 변화가 있었다. 성경에 기초한 유아 언어교육 활동 개발을 통해 기독 예비 유아교사는 예측할 수 없는 교육 상황과 빠르게 변화하는 교육 현실 속에서 유아를 위한 진정한 유아 교사가 되기 위한 마음 자세와 교사로서 요구되는 열정의 자질을 함양하게 되어 교사 효능감이 증진되었다. 향후, 기독교교육과 유아교육이 연계된 다양한 교사 교육 프로그램이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Early Childhood Teachers' Content Knowledge on Movement Education

  • Cheon, Mi Hyang;Kim, Sang Lim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6권4호
    • /
    • pp.240-246
    • /
    • 2018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early childhood teachers' content knowledge of movement education. The subjects, 60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asked to draw concept maps about early childhood movement education. Their concept maps were analyzed in terms of superordinate and subordinate concepts by contents and frequenc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263 superordinate concepts were shown, and they were categorized into 10 representative terms (body movement/health, music, expression, movement type, movement element, games, integration/arts, social studies, tool/instrument, and math/science). Second, 2,186 subordinate concepts were shown, and running, movement, jumping, musical instrument, and expression were frequently shown. In conclusion, early childhood teachers' content knowledge of movement education were various but insufficient in aspect of its systematic organization.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원장.교사 및 학부모의 인식과 요구도에 관한 연구 (Understanding of Eco-centered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

  • 민광순;문혁준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69-77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provide recommendations for eco-centered early childhood education as a new paradigm in Korean society.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directors, teachers, and parents of private & public kindergartens, as well as child care centers, in Bucheon city. The data were analyzed based on the frequencies, $X^2$ test, F test, and Scheffe 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a) Most directors, teachers, and parents positively agreed with the eco-centered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recognized its benefits. (b) In order for the eco-centered early childhood education to be successful, development of various programs, systematic study, ongoing teacher training, and parents' education were required. (c) In order for the eco-centered early childhood education to develop more culturally appropriate program, close connection with local community, reorganization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and government support were needed. The findings demonstrate that eco-centered early childhood education is necessary for the future wellbeing of Korean socie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