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Understanding of Eco-centered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  

Min, Koang-Soon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oon, Hyuk-Jun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chool of Human Ecology, Dept. of Child & Family Studies)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 v.44, no.3, 2006 , pp. 69-77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provide recommendations for eco-centered early childhood education as a new paradigm in Korean society.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directors, teachers, and parents of private & public kindergartens, as well as child care centers, in Bucheon city. The data were analyzed based on the frequencies, $X^2$ test, F test, and Scheffe 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a) Most directors, teachers, and parents positively agreed with the eco-centered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recognized its benefits. (b) In order for the eco-centered early childhood education to be successful, development of various programs, systematic study, ongoing teacher training, and parents' education were required. (c) In order for the eco-centered early childhood education to develop more culturally appropriate program, close connection with local community, reorganization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and government support were needed. The findings demonstrate that eco-centered early childhood education is necessary for the future wellbeing of Korean society.
Keywords
eco-centered early childhood education; director; teacher; parent;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박지인(2005).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 유아교사의 교직생활에 관한 이야기.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Bronfenbrenner, U. (1994). Human ecology: Concepts and perspective human ecological approach to human economics. Seoul: Yonsei University
3 Millbrath, L. (1989). Envisioning a sustainable society. Albany: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4 Wilson, R. A. (1994). At the early childhood level
5 김성옥(2000). 생태중심 유아교육에 대한 교수.원장 및 교사의 인식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마경희(1999). 자연친화적 유아교육에 대한 부모의 인식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박영신(2003). 함석헌 씨알 사상의 유아교육적 함의.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Devall, B., & Session, G. (1995). Deep ecology. Salt Lake City: Peregrine Smith Books
9 김미정(1998). 생태학적 유아환경교육 방안모색.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서영희(1999). 생태중심 유아교육 프로그램 운영 사례연구.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임재택(2002). 아이들의 삶과 생태유아교육.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pp. 5-32
12 김정신(2003). 명상프로그램의 운영실제.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생태유아교육 교사연수 자료집, pp. 99-120
13 Froebel, F. (1892). The Education of Man, tr. Annotated by W. N. Hailmann, N. Y.: Appleton & Co
14 하정연(2004).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부산대학교 부설어린이집을 사례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 김성희(1996). 공.사립유치원.어린이집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도 및 선택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이복실(2003). 유치원 교사의 역할지각과 역할수행에 관한 연구. 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임재택(2003). 유아교육현실과 제도개혁 방안. 한국유아교육학회 충청지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pp. 129-138
18 Hoffman, L. W. (1988). Cross-cultural differences in childrearing goals. In W. Damon & R. A. LeVine, P. M. West(Eds.), New directions for child development: Parental behavior in diverse societies. San Francisco, CA: Jossey-bass
19 박경희(1996). 부모들의 유치원 선택과정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이부미(1999). '공동육아' 문화의 교육적 해석.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1 박준건(1999). 생태적 세계관, 생명의 철학. 경상대 인문학연구소(편), 인문학과 생태학(pp. 61-83). 서울: 백의
22 김규수(2002). 조기교육과 아이들의 삶.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pp. 97-116
23 Dewey, J. (1916). Democracy and education: An introduction to the philosophy of Education. New York: The Free Pres
24 김은주(2003). 생태유아교육의 사상체계 및 실천원리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5 이경자(1982). 유아교육기관에 대한 학부모들의 기대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이상금(1990). 유아교육의 본질과 방향. 서울: 양서원
27 박애순(2004). 생태지향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8 김규수(1997). 아동중심적 유아교육. 서울 : 학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