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ar edema

검색결과 120건 처리시간 0.035초

Suppression of 12-O-tetradecanoylphorbol-13-acetate (TPA)-induced skin inflammation in mice by transduced Tat-Annexin protein

  • Lee, Sun-Hwa;Kim, Dae-Won;Eom, Seon-Ae;Jun, Se-Young;Park, Mee-Young;Kim, Duk-Soo;Kwon, Hyung-Joo;Kwon, Hyeok-Yil;Han, Kyu-Hyung;Park, Jin-Seu;Hwang, Hyun-Sook;Eum, Won-Sik;Choi, Soo-Young
    • BMB Reports
    • /
    • 제45권6호
    • /
    • pp.354-359
    • /
    • 2012
  • We examined that the protective effects of ANX1 on 12-O-tetradecanoylphorbol-13-acetate (TPA)-induced skin inflammation in animal models using a Tat-ANX1 protein. Topical application of the Tat-ANX1 protein markedly inhibited TPA-induced ear edema and expression levels of cyclooxygenase-2 (COX-2) as well as pro-inflammatory cytokines such as interleukin-1 beta (IL-$1{\beta}$), IL-6, and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alpha}$). Also, application of Tat-ANX1 protein significantly inhibited nuclear translocation of nuclear factor-kappa B (NF-${\kappa}B$) and phosphorylation of p38 and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ERK)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MAPK) in TPA-treated mice ears. The results indicate that Tat-ANX1 protein inhibits the inflammatory response by blocking NF-${\kappa}B$ and MAPK activation in TPA-induced mice ears. Therefore, the Tat-ANX1 protein may be useful as a therapeutic agent against inflammatory skin diseases.

슈퍼자미(SuperC3GHi) 미강 발효물의 생리활성 (Evaluation of Biological Activities of Fermented Rice Bran from Novel Black Colored Rice Cultivar SuperC3GHi)

  • 김동주;최수민;김화영;김중학;류수노;한상준;홍성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6권4호
    • /
    • pp.420-426
    • /
    • 2011
  • 슈퍼자미(SuperC3GHi) 쌀 품종은 색소 성분인 cyanidine-3-glucoside(C3G)의 함량을 크게 증대시킨 품종이다. 슈퍼자미 벼품종을 활용한 새로운 기능성 소재 및 제품으로의 개발 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슈퍼자미 벼품종의 버섯 균사체 발효물을 이용하여 항염증, 항알러지, 항암 기능의 검증을 수행하였다. 1. 슈퍼자미 미강 발효물의 항염 활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ear-edema test를 수행한결과 약 35.6%의 염증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2. 슈퍼자미 미강 발효물의 항알러지 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비만세포인 RBL-2H3 세포의 hexoamidase 및 histamine 유리 활성을 조사한 결과 슈퍼자미 미강 발효물을 처리하였을 때 각각 약 40% 및 57%의 억제 활성을 나타내어 항알러지 활성을 확인하였다. 3. 슈퍼자미 미강 발효물의 항암 활성을 조사한 결과 복수암 모델 및 고형암 모델에서 모두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활성을 나타내었고, 혈액중 백혈구의 수치를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슈퍼자미 미강 발효물이 항암 활성을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4. 이상의 결과에서 슈퍼자미 품종의 미강을 버섯 균사체 발효를 통해 얻어진 기능성 소재는 항염, 항알러지, 항암 활성을 통해서 우수한 기능성 소재로서의 개발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판단된다.

LPS로 유발한 대식세포의 염증반응과 마우스 귀 부종에 대한 구멍갈파래 에탄올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 (Anti-Inflammatory Effects of Ethanol Extracts from Ulva pertusa Kjellman on LPS-induced RAW 264.7 Cells and Mouse Model)

  • 김민지;김민주;김꽃봉우리;박선희;최현덕;박소영;장미란;임무혁;안동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479-487
    • /
    • 2016
  • 대식세포에 대하여 구멍갈파래 에탄올 추출물의 독성결과를 확인해본 결과 독성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LPS에 의하여 유도되는 NO와 염증성 cytokine의 분비량은 구멍갈파래 에탄올 추출물의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구멍갈파래 에탄올 추출물로 인해 $NF-{\kappa}B$ 및 MAPKs의 신호전달을 억제함으로써 염증매개성 물질의 발현 억제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본 결과, 구멍갈파래 에탄올 추출물은 각각 iNOS, COX-2, $NF-{\kappa}B$ 및 MAPKs의 활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고 그에 따른 염증 매개인자들의 생성도 효과적으로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추출물이 마우스 귀부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대조군의 경피와 진피의 두께에 비해 추출물 처리군의 조직 두께가 상대적으로 현저히 줄어들었으며 귀 조직에 침윤된 mast cell의 감소에도 추출물이 그 효과를 현저하게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들을 종합해 보았을 때, 구멍갈파래의 에탄올 추출물은 항염증 활성을 가지는 새로운 천연물질로 이용 가능하여 고부가 가치 제품 개발이 가능한 천연 소재로 판단된다.

가미소풍산(加味消風散)이 염증 및 아토피피부염 동물병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ami-sopungsan on Inflammation and DNCB-induced Dermatitis in NC/Nga in Mice)

  • 이해진;심부용;박지원;김동희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46-153
    • /
    • 2014
  • Gami-Sopungsan (GS) is one of the traditional korean remedy. We investigated the anti-inflammation and anti-atopic dermatitis (AD) effect of GS. No cytotoxicity of GS was observed in the range of $1{\sim}100{\mu}g/m{\ell}$ on Raw 264.7 cells. The Inflammatory response of Raw 264.7 cells were induced by lipopolysaccharide (LPS), followed by GS treatment at indicated concentrations (0, 1, 10 and $100{\mu}g/m{\ell}$). At $100{\mu}g/m{\ell}$ concentration, GS showed inhibitory effect on LPS-induced nitric oxide production by 20%. Production of IL-$1{\beta}$, IL-6 and TNF-${\alpha}$ was decreased by approximately 56%, 36% and 79%, respectively upon GS treatment at $100{\mu}g/m{\ell}$. 200 mg/kg of GS was orally administered to NC/Nga mice, where AD was induced by 1-chloro 2,4-dinitrobenzen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S treated group and the control group on body weight and food intake changes during growth. The back skin of GS group showed decrease in erythema, pruritus, dry skin, edema, excoriation, erosion and lichenification level through naked eye observations. In addition, leukocyte infiltration and the thickness of epidermi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skin tissues (back and ear). The serum IgE levels were decreased by 28.8% in the GS treated group. The GS treated group showed remarkable inhibition of IL-4 (83%), IL-5 (95%), IL-6 (62%) and TNF-${\alpha}$ (84%) in serum, indicating that GS has similar or higher efficacy than those of the dexamethasone treated group. From the results above, we conclude that GS has significant anti-inflammation and anti-AD effects on Raw 264.7 cells and NC/Nga mice. The results should provide fundamental and valuable data for the research on natural products being developed against atopic dermatitis.

Enhancement of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PEP-1-FK506 Binding Protein by Silk Fibroin Peptide

  • Kim, Dae-Won;Hwang, Hyun-Sook;Kim, Duk-Soo;Sheen, Seung-Hoon;Heo, Dong-Hwa;Hwang, Gyo-Jun;Kang, Suk-Hyung;Kweon, Hae-Yong;Jo, You-Young;Kang, Seok-Woo;Lee, Kwang-Gill;Park, Jin-Seu;Eum, Won-Sik;Cho, Yong-Jun;Choi, Soo-You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2권4호
    • /
    • pp.494-500
    • /
    • 2012
  • Silk fibroin (SF) peptide has been traditionally used as a treatment for flatulence, spasms, and phlegm. In this study, we examined whether SF peptide enhanced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PEP-1-FK506 binding protein (PEP-1-FK506BP) through comparing the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SF peptide and/or PEP-1-FK506BP.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SF peptide, transduction levels of PEP-1-FK506BP into HaCaT cells and mice skin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PEP-1-FK506BP were identified by Western blot and histological analyses. SF peptide alone effectively reduced both mice ear edema and the elevated levels of cyclooxygenase-2, interleukin-6 and $-1{\beta}$, and tumor necrosis factor-${\alpha}$, showing similar anti-inflammatory effect to that of PEP-1-FK506BP. Furthermore, co-treatment with SF peptide and PEP-1-FK506BP exhibited more enhanced anti-inflammatory effects than the samples treated with SF peptides or PEP-1-FK506BP alone, suggesting the possibility that SF peptide and PEP-1-FK506BP might interact with each other. Moreover, the transduction data demonstrated that SF peptide did not affect the transduction of PEP-1-FK506BP into HaCaT cells and mice skin, indicating that the improvement of anti-inflammatory effect of PEP-1-FK506BP was not caused by enhanced transduction of PEP-1-FK506BP. Thus, these results suggest the possibility that co-treatment with SF peptide and PEP-1-FK506BP may be exploited as a useful therapy for various inflammation-related diseases.

오장변증중(五臟辨證中) 간실증(肝實證)의 오사(五邪)에 의한 연구 (A Study on The Excessive Liver-Symptoms(肝實證) in The Analysis of Five Visceral Symptoms By The Five Pathogenic Factors(五邪))

  • 김재홍;김태희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76-209
    • /
    • 1994
  • 1. The Jung-Sa(正邪) of the Excessive Liver-Symptoms belongs to the eleven symptoms, there are blue face, blue thin fingernail, anger, fancy of larg body, dizziness, eye flame, Bell's palsy, hard swelling pain at braest, side pain going on the belly from the side, side pain and movement at the left side. 2. The Mi-Sa(微邪) of the Excessive Liver-Symptoms belongs to the four symptoms, there are meat in eye, edema in cheek, lack of appetite and diarrhea. 3. The Juk-Sa(賊邪) of the Excessive Liver-Symptoms belongs to the only one symptom, this is nosebleeding. 4. The Hu-Sa(虛邪) of the Excessive Liver-Symptoms belongs to the three symptoms, there are scrotum constraction, strain in belly and constipation. 5. The Sil-Sa(實邪) of the Excessive Liver-Symptoms belongs to the twenty eight symptoms, there are red eye, raised eyes(兩眼上?), spitting blood, sternocostal turgid pain, turgidity in belly, drooping testis, vomiting water acid, sickening, belching, confusion, impatience, frequent forgetfulness, headache, giddness, eye pain, deaf, ringing in the ear, feeling inverse, drying mouth, stuffiness sensation in the chest, chest pain, stuffiness sensation in the belly, bellyache, quadriplegia, spasm of extremities, tremor, alternate spells of fever and chills, high fever and strain in muscle. 6. Those symptoms, Red corner of the eye, red face, swelling on the forehead, stiff-neck and back strong, opisthotonos, constracture of the limbs, vomiting yellow bitter water, speech impediment, epilepsy, depression, strong tongue, different thing in throat, fullness and distention of the gastric region, feeling sick and tenesmus, have no connected with the Excessive Liver-Symptoms(肝實證) 7. The Excessive Liver-Symptoms(肝實證) is connected with the ganjabyoung(肝自病) and Hwa(火) which the pathology is, than because Mock(木) is excessive and Mock-Saeng-Hwa(木生火), the ganjabyoung(肝自病) and Sil-Sa(實邪) are many. 8. There are the sixteen symptoms with the exception of The Excessive Liver-Symptoms(肝實證), because supposed that the scholars in medicine included the union syndroms(合病), the combine syndroms(兼病) and the analysis of symptoms(辨證) in The Analysis of Five Visceral Symptoms. 9. During consideration of the symptoms at the above statements, where are many causes by Gan-Pung(肝風), there is difficult of distinction between the excessive Liver-Symptoms(肝實證) and C.V.A(Cerebral Vascular Attack). Because than NaeKyung(內經) distinguished between the excessive Liver-Symptoms(肝實證) and C.V.A., the future medical specialists connected with the excessive Liver-Symptoms(肝實證) and C.V.A.. 10. An appearance of Sang-Hwa(相火) that the liver possessed is divided into an appearance of Hwa(火), there will be making a study att the more necessary. 11. The cuases of each syndroms are consist of the origins of syndroms, its pathology and the positions where the syndroms appeared, I consider that is the various ways how judge the syndroms except the Five Pathogenic Factors(五邪). 12. If more than study will be achieved in all, the new definition will be standed about the Excessive and Deficient Five Visceral Syndroms(五臟虛實證), I consider this will be the foundation data that study the Oriental Medicine and the important data that is a judgement standard of clininc.

  • PDF

LPS로 유도한 RAW 264.7 세포 및 귀부종 동물 모델에 대한 밀배아유의 항염증 효과 (Anti-Inflammatory Effect of Wheat Germ Oil on Lipopolysaccharide-stimulated RAW 264.7 Cells and Mouse Ear Edema)

  • 강보경;김민지;정다현;김꽃봉우리;배난영;박지혜;박선희;안동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236-245
    • /
    • 2016
  • 밀배아유가 LPS로 자극된 대식세포에서 염증과 관련된 인자들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NO 및 전염증성 cytokine의 분비량과 iNOS 및 COX-2의 발현량, NF-κB p65와 MAPKs 활성화를 확인하였다. 또한 ICR 마우스를 이용하여 croton oil로 유도된 귀부종을 통해 귀두께 변화 및 귀조직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밀배아유는 LPS로 인해 증가된 NO 및 전염증성 cytokine의 분비량을 감소시켰으며, 특히, IL-6와 TNF-α는 100 μg/ml 농도에서 90% 이상의 분비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LPS에 의해 증가된 iNOS와 COX-2의 발현은 100 μg/ml 농도로 밀배아유 처리시 발현 억제가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NF-κB p65의 발현도 밀배아유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발현 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100 μg/ml 농도로 처리 시 억제 효과가 가장 컸다. 밀배아유는 MAPKs의 인산화를 억제시켰으며, 특히, ERK와 JNK의 인산화 억제가 농도 의존적으로 크게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밀배아유는 croton oil로 유도된 귀부종에서 귀두께를 감소시켰으며, 경피와 진피의 두께 및 진피에 침윤된 비만세포의 수도 감소시킴을 확인하였다. 이상으로, 밀배아유는 NF-κB 및 MAPKs의 신호 경로 조절을 통한 염증성 매개 인자들의 발현 감소로 항염증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여, 천연 항염증 소재로서 활용도가 가능함을 시사한다.

LPS로 유도된 RAW 264.7 Cell과 마우스 모델에 대한 넓패(Ishige sinicola) 에탄올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 (Anti-inflammatory effects of Ishige sinicola ethanol extract in LPS-induced RAW 264.7 cell and mouse model)

  • 김지혜;김민지;김꽃봉우리;박선희;조광수;김고은;쉬 시아오통;이다혜;박가령;안동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4권8호
    • /
    • pp.1149-1157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넓패 에탄올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RAW 264.7 세포에 LPS로 유도된 염증 반응 in vitro 및 in vivo 실험을 실시하였다. RAW 264.7 세포에 LPS와 함께 세포를 배양하였다. 먼저 MTT assay 실험을 통해 넓패 에탄올 추출물이 모든 농도(0.1, 1, 10, 50, $100{\mu}g/mL$)에서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것을 학인 하였다. 또한 모든 농도에서 염증억제 효과를 살펴 본 결과, LPS 처리구는 iNOS, COX-2, NF-${\kappa}B$ 그리고 MAPKs의 발현양을 증가 시켰으나, 넓패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 염증 반응에 관여하는 전사인자인 NF-${\kappa}B$와 MAPKs의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넓패 에탄올 추출물의 mast cell의 피부 조직학적 변화를 알아본 결과, control의 경우 진피와 경피의 면적이 확장 되어있고, mast cell의 침윤이 정상 군에 비하여 현저하게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반면에 넓패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 대조군에 비해 진피와 경피의 두께가 줄었으며 mast cell의 침윤감소에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모든 결과를 종합하였을 때 넓패 에탄올 추출물이 항염증 치료제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항염증에 유용한 기능성 식품소재로써 가치가 높다고 사료된다.

LPS로 유도된 RAW 264.7 세포와 마우스 귀 조직에 대한 양파(Allium cepa L.) 껍질 에탄올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 (Anti-Inflammatory Effect of Ethanol Extract from Onion (Allium cepa L.) Peel on Lipopolysaccharide-Induced Inflammatory Responses in RAW 264.7 Cells and Mice Ears)

  • 안나경;강보경;김꽃봉우리;김민지;배난영;박지혜;박선희;안동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11호
    • /
    • pp.1612-1620
    • /
    • 2015
  • 양파 껍질 에탄올 추출물(OPEE)의 in vitro 및 in vivo에서 항염증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lipopolysaccharide(LPS)로 활성화된 RAW 264.7 세포로부터 분비되는 염증 관련 매개인자들의 발현량과 ICR 마우스모델을 이용한 귀 부종 및 조직 분석을 진행하였다. NO 및 염증성 cytokine(IL-6, $IL-1{\beta}$$TNF-{\alpha}$)의 분비량이 OPEE에 의해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iNOS 및 COX-2의 발현량은 LPS에 의해 증가하였으나, OPEE 처리에 의해 농도 의존적으로 발현량이 감소하였다. 전사인자인 $NF-{\kappa}B$의 활성과 인산화효소인 MAPKs(p-38, JNK 및 ERK)에서도 LPS에 의해 증가된 발현량이 OPEE에 의해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NO 및 염증성 cytokine의 분비량 감소는 $NF-{\kappa}B$와 MAPKs의 활성 저해에 의한 것임을 확인하였다. In vivo 실험에서는 croton oil로 귀 부종을 유발한 마우스에 OPEE를 처리하였을 때 prednisolone 처리구와 유사한 수준으로 귀 부종이 억제되었으며, 귀 조직 관찰에서도 경피 및 진피의 두께와 진피로 침윤된 mast cell의 수도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 OPEE는 항염증 소재로서 염증을 예방하거나 치료하는 데 이용 가능성이 높음을 제시한다.

한약재 단일 추출물 및 복합 추출물을 이용한 아토피성 피부염 억제 효과 (Medicinal Herb Extracts Attenuate 1-Chloro-2,4dinitrobenzene-induced Development of Atopic Dermatitis-like Skin Lesions)

  • 이문희;한민호;윤정재;송명규;김민주;홍수현;최병태;김병우;황혜진;최영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8호
    • /
    • pp.851-859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1-chloro-2,4-dinitrobenzene (DNCB)에 의해 유도된 아토피성 피부염 마우스 모델에서 고삼, 감초 및 백선피 추출물과 그들 복합 추출물(GGB)의 항아토피 효능을 평가하였다. 아토피성 피부염의 병리학적 형태인 홍반, 귀부종, 부종, 각질과 상처는 복합 추출물 중 고삼, 감초 및 백선피 추출물이 3:1:1로 혼합된 GGB-1 처리군에서 다른 시료 처리군들에 비하여 유의적인 억제 효능을 나타내었다. 또한 면역 기관인 비장의 무게도 GGB-1 처리군에서 감소하였고, 간의 무게는 정상군과 시료 처리군의 값이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아울러 GGB-1 처리군에서 비만 세포의 침윤이 감소되었으며, 혈청 중 IgE의 농도 역시 GGB-1 처리군에서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 비록 단일 한약재와 그들의 혼합물 처리군에서는 면역 사이토카인(IFN-${\gamma}$, IL- 1, 4, 5, 6, 13, $1{\beta}$, and TNF-${\alpha}$) 의 값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으나, 여러 가지 결과들을 종합하여 볼 때 고삼, 감초 및 백선피 추출물이 3:1:1로 혼합된 복합 추출물인 GGB-1이 아토피성 피부염의 개선에 효과적인 약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