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SD%3A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28초

학교 지리에서 지속가능발전 교육: 모델 구안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within School Geography: A Proposed Model)

  • 심광택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466-481
    • /
    • 2013
  • 이 연구는 지리 교육과정에서 지속가능발전 교육을 실천하기 위한 모델을 구안하고 있다. 논문의 전반부에서는 교육과정의 내용 차원과 인지적 차원을 평가하는 모델의 일반적 관점을 논의한다. 지속가능발전 교육은 기능과 시민성 함양을 목표로 하는 실행 프로그램을 필요로 한다. 후반부에서는 목표 차원을 포함시키는 방법을 살펴본다. 목표 차원에서는 지속가능발전 교육 목적과 일치하는 지식, 기능, 시민성을 활용한 실천적 접근이 요구된다. 연구자들은 한국과 미국의 지리 평가의 실제에 근거하여 이론적 모델을 개발하고, 모델은 두 나라 전문가 집단(고교 교사와 대학 교수)에게서 검증되었다. 이 연구는 유엔지속가능발전교육10년 국제이행 계획의 교육과정과 수업 활동을 보완할 것이다. 개발된 모델은 지속가능발전 교육 요소를 기존의 평가 활동에 도입하려는 제안을 구체화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 PDF

체인지메이커(Change-maker) 자질 함양을 위한 중학교 의생활 지속가능발전교육(ESD)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h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ESD) Program on Clothing Life Area for Cultivating "Change-maker" Characteristics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 임윤지;심현섭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67-83
    • /
    • 2022
  • 본 연구는 중학교 가정과 의생활영역의 지속가능발전교육(ESD)을 통해 청소년이 주변의 문제를 발견하고 공동체를 위해 해결방법을 고민하며 실천하는 사람으로서의 자질을 함양할 수 있는지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ADDIE의 교수설계 모형에 따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중학교 가정 교과서 의생활영역 학습활동을 분석하였고,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체인지메이커 교육프로그램 단계에 따른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한 후 그 효과를 평가하였다. 먼저 아쇼카 재단이 제시한 Change-maker 교육프로그램의 단계에 따라 중학교 가정 교과서의 학습활동을 분석하였고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10개의 교수·학습과정계획서, 17개의 개별 학습 활동지 7개의 모둠 학습 활동지 등 '우리를 위한 옷, 지구를 위한 행동'이라는 제목의 지속가능한 의생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울산의 K 중학교 1학년 학생 285명을 대상으로 수업에 적용되었다. 개발된 프로그램을 수업에 적용한 결과 연구대상자의 체인지메이커 자질 수준이 수업 전 평균 3.87(SD=.54)에서 수업 후 평균 4.59(SD=.64)로 증가하였으며, 수업 참여 학생들의 성찰일지에서도 사회문제 해결의 가치와 지속가능발전(SD)을 위한 행동 변화의 필요성을 깨닫는데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Change-maker 교육 프로그램 단계를 기반으로 개발된 중학교 가정과 의생활영역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은 청소년의 Change-maker 자질 함양에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학교 생태감사의 이론적 고찰과 도입방안 연구 (A Study on the Methodology and Application of the School Eco-Audit System)

  • 남영숙
    • 환경영향평가
    • /
    • 제13권2호
    • /
    • pp.41-55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for the introduction of the school eco-audit system as an educational method for sustainable development. First of all, the concept and objective of th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ESD) are reviewed in order to advance a theory on school eco-audit system. ESD which under the premise of global inter and intra generation justice, resolves to address a mixture of ecological, economical and social aspects, as well as safeguarding limited resources and protecting the environment from pollution and energy. In order to effectively structure uncoordinated environmental activities carried out by schools, the introduction of school eco-audit system in Korea is suggested, which as the model for long-term development, has since been integrated into the school's programme. Activities related to waste, heating, electricity and water are run by a 'Management Team'. By combining all 3 fields of action - i.e. establishing basic organizational conditions, education, and individual ecological measures - the eco-audit proves to be the key to success. In particular, administration agency and method, institutional improvement are presented.

2015 개정 중학교 가정 교과서 지속가능발전교육(ESD) 연관성 및 탐구 성향 분석: '청소년기의 소비생활' 단원을 중심으로 (Analysis of the Relevance to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the Inquiry Tendency of 2015-Revised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extbooks: Focusing on the 'Adolescence Consumption Life' Unit)

  • 김샛별;김예슬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61-177
    • /
    • 2020
  • 본 연구는 2015 개정 중학교 가정 교과서의 '청소년기의 소비생활' 단원을 지속가능한 발전(ESD)의 측면에서 분석해 ESD와의 연관성을 찾고, Romey 분석을 통해 '청소년기의 소비생활' 단원의 탐구 성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선행연구에서 사용된 ESD와 관련된 평가 기준을 정리하여 환경적 관점(천연자원, 기후변화/재해예방 및 완화, 지속가능한 농촌과 도시), 경제적 관점(기업의 지속가능성, 시장경제, 빈부격차 완화), 사회·문화적 관점(인권/평화/인간보호, 문화적 다양성과 이해, 건강/안전, 시민참여, 국가경영)으로 11개의 핵심 내용을 가진 분석틀을 설정하였다. 설정한 분석틀을 바탕으로 중학교 가정 교과서 12종의 '청소년기의 소비생활' 단원의 학습 내용을 분석하였고, Romey의 탐구적 교과서 분석방법에 따라 본문문장, 사진·삽화·표·그래프, 활동과제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경제적 관점의 '시장경제', '국가경영'의 핵심 요소를 모든 교과서가 본문문장, 사진·삽화·표·그래프, 활동과제의 3가지 형태로 다양하게 제시하고 있었으나, 건강/안전, 시민참여, 지속가능한 농촌과 도시, 기업의 지속가능성 핵심 내용의 내용 요소는 상대적으로 부족해 ESD의 다양한 내용을 다루는 교과서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보았다. 또한 Romey 분석 결과 대부분의 교과서에서 본문문장, 사진·삽화·표·그래프는 권위적 성향으로, 활동과제의 경우 탐구적 성향으로 나타났다. 청소년들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소비 가치관 형성과 행동 실천을 위해 보다 다양한 ESD 관련 내용을 가정과 수업에 반영하고, 탐구적 성향의 학습활동을 수업에 창의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또한 가정과 ESD 수업 모델을 개발해 가정과 교육 현장에서 실천하여 효과를 살펴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기후위기 주제 지속가능발전교육 수업 설계와 실행에 있어서 예비과학교사들이 갖는 경험 분석: 상호동료교수법 적용을 중심으로 (Experience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in Designing and Implementing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SD) on Climate Crisis Topics: Focusing on the Application of Reciprocal Peer Teaching)

  • 손연아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77-291
    • /
    • 2021
  • 이 연구에서는 예비교사들이 기후위기 주제 교육자료를 재구성하고, 상호동료교수법 활용을 통해 팀별로 수업실연 준비와 실제로 수업실연을 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심층 분석하여, 과학관련 사회 이슈를 다루는 지속가능발전교육 교사 전문성 함양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예비과학교사들은 교육과정을 횡적으로 분석하여 교과통합적인 요소를 추출해내는 전문성은 갖추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를 실제 수업실연을 통해 사회문제해결 과정과 통합시켜 융합적인 과학수업을 실행하는 것에는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 연구를 통하여 예비과학교사들은 상호동료교수법 활용 수업실연 준비 및 경험을 바탕으로 현장과학교사가 되었을 때, 자신만의 특화된 전문성을 갖는 것의 중요성을 생각하게 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연구에서 적용한 상호동료교수법 활용을 통해 다양한 전공의 예비교사들이 서로의 전문성을 공유하면서 융합수업 설계와 실행의 과정을 함께 경험할 수 있도록 기회를 주는 것은 예비교사들의 융합교육 교사전문성 향상에 크게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SDGs 연계 교육에서 예비교사들의 탄소 발자국 인식 (Carbon Footprint Awareness on Education in Connection with SDGs of the Pre-service Teachers)

  • 김윤지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46-158
    • /
    • 2021
  • 사범대학에 개설된 교양 강의를 통해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와 연계하여 지속가능발전교육(ESD)을 실시한 사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SDGs 13번 목표인 '기후변화 대응'과 연계하여 설계된 수업에서 42명의 예비교사들이 표출한 탄소 발자국(carbon footprint)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였다. 예비교사들은 일상생활에서 탄소를 배출하는 실천 정도에 대한 체크리스트인 탄소 다이어트 다이어리를 작성하고, 탄소 발자국 그리기 활동을 통해 자신이 배출하는 탄소의 출처와 비율을 자유롭게 표현하였다. 전기 사용, 대중교통 이용, 쓰레기 처리 항목에서는 긍정적인 실천 정도를 나타내었으나, 수도 사용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방향으로 분석되었다. 탄소 발자국을 2-3가지 항목으로 표현한 예비교사들이 과반수에 달하여 자신의 일상생활에서 탄소 배출 상황을 인식하는데 한계를 나타내었다. 예비교사들은 학교현장에서 지구의 환경문제를 교육하는 주체가 될 것이며, 예비교사들의 탄소 소양(carbon literacy)은 학생들에게 직간접적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 17가지 SDGs와 연계되는 다양한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교육현장에 적용되어 지속가능한 지구환경교육에 기여하기를 바란다.

중등학교 과학교사들의 공통과학 교사자격증 유무에 따른 통합과학교육과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인식 (Awareness of Integrated School Education and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of Science Teachers in Secondary Schools with or without Common Science Teacher Qualification)

  • 지덕영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24-238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학교 과학교사들의 공통과학 교사자격증 유무가 공통과학 지도의 전문성과 관련이 있다고 보고, 이에 따른 통합과학교육과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중등학교 과학교사를 대상으로 2018년 6월부터 8월까지 3달간 설문조사를 하였고, 객관식 문항은 통계처리를, 서술형 문항은 토픽모델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공통과학 교사자격증을 가진 교사들이 통합과학교육에 대한 인지도가 높았으며, 통합과학교육의 가치, 방향, 성공조건의 모든 영역에서 응답 평균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인지도 및 과학교육과의 통합 필요성 및 통합 의향의 응답 평균도 공통과학 교사자격증을 가진 교사들이 그렇지 않은 교사들에 비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과학교육과 지속가능발전교육의 통합 시 강점에 대해서는 두 집단 간의 큰 인식 차이는 없었으나, 공통과학 교사자격증을 소지한 교사는 그렇지 않은 교사에 비해 모든 Topic에서 과학을 중심으로 두고 과학을 각 Topic의 매개체로 인식하고 있다는 차이를 보였다.

SDGs 연계 교육에서 예비 지구과학 교사들의 탄소 소양 (Carbon Literacy on Education in Connection with SDGs of the Pre-service Earth Science Teachers)

  • 김윤지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92-301
    • /
    • 2021
  • 본 연구는 지구과학교육을 전공하는 예비교사들에게 SDGs(지속가능발전목표)와 연계된 ESD(지속가능발전교육)을 적용하기 위한 기초 연구이다. 연구의 목적은 예비교사가 내면화 하고 있는 탄소발자국에 대한 인식과 태도 및 지식, 주관적 규범 및 행동 통제를 분석하여 탄소 소양을 평가하는 것이다. 예비교사들은 탄소 발자국을 자신의 책임으로 인식하고 있지만, 비용을 지불하고 불편을 감수하는데 소극적인 이중적 태도를 갖고 있다. 또한 탄소 발자국을 줄이기 위한 행동을 지지하지만, 요구하지는 않는다. 탄소 저감 행동에 대한 상식은 충분한 반면, 지구 온난화의 원인과 결과에 대한 개념은 불안정하다. 예비교사들은 학교 현장으로 배출되어 수많은 학생들에게 지구 온난화 문제를 가르치게 될 것이다. 따라서 탄소 발자국을 줄이는 경제적 비용과 사회적 책임에 대한 소양 교육이 필수적이며, 생각과 행동 사이의 간극을 메울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할 것이다. 예비교사들의 탄소 소양(carbon literacy)에 대한 연구로부터 ESD로 이어지는 교육이 실현되기를 바란다.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기반을 둔 환경친화적 주생활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 초등학생 고학년을 대상으로 - (A Development and Application Effect of Pro-Environmental Housing Life Educational Program Based on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 Focused on the Upper Grade Elementary Students -)

  • 황혜영;이상원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24권3호
    • /
    • pp.1-17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apply the pro-environmental housing life educational program to improve of pro-environmental attitude for upper grade of elementary school and to verify its effectiveness and influence. To achieve the purpose, documentary and investigatory research was conducted and thereafter the program developed and implemented following 5 stages of analysis, design, development, implement and evaluation. The experiment was made progress as two-group pretest-posttest design, and the program was applied to a class for two hours every week in discretionary activity class for 6 weeks. A reconstructed questionnaire through Kim et al.(2000)'s test tool was used to survey the effects of students's attitudes on environment. The major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developed program focused on the main contents of pro-environmental housing life based on ESD. Second, this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vironmental attitude. Third, this program had a positive correlation(.588~.712) among the 3 subdomains of verbal commitment, actual commitment and affect. Fourth, according to qualitative analysis, students appear to be more concerned and interested in the pro-environmental housing life and environmental problem. In conclusion, the pro-environmental housing life educational program based ESD has a positive effect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vironmental attitude. Therefore, more intensive research and follow-up study o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should be highly considered.

  • PDF

지속가능한 개발에 관한 고등학생의 태도 : 탐색적 연구 (High School Students' Attitudes towards Sustainable Development: An Exploratory Investigation)

  • 권혁수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163-179
    • /
    • 2015
  • 지속가능한 개발은 우리 사회와 환경에 많은 잠재적인 혜택을 가져오고 있다. 따라서 여러 교육 기관들이 초중등학교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에 지속가능한 개발의 개념을 도입하는데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 또한 초중등학교 기술교사들은 그 교육과정이나 교육프로그램에 지속가능한 개발의 개념을 받아들이려고 많은 노력을 해오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지속가능한 개발의 개념에 관한 우리나라 고등학생들의 태도를 조사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참가자는 경기도에 있는 6개 고등학교의 1073명의 고등학생이다.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태도 척도와 인구통계학적 정보를 조사하기 위해 설문지를 사용되었다. 이 연구는 지속가능한 개발에 관한 고등학생들의 태도 수준을 알아보기 위해 통계적 분석을 하였으며 이를 통해 지속가능한 개발과 관련된 하위 개념을 규명하였다. 그 결과 지속가능한 개발에 관한 고등학생들의 태도를 다음의 세 가지로 규정하였다: (1) 지속가능한 개발에 대한 인지, (2) 지속가능한 개발에 대한 실천, 그리고 (3)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교육에 대한 인식 탐색적 요인분석의 결과는 이런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세 가지 측면과 일치했다. 또한 개방형 질문에서 얻은 질적인 자료는 지속가능한 개발에 대한 인지와 실천의 영역을 말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교육의 연구와 실천과 관련되어 몇 가지 제안들을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