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Q-5D

검색결과 400건 처리시간 0.055초

1세 미만과 1세 이상의 가와사끼병 환아에서 급성기 임상양상 및 관상동맥 변화에 대한 비교 (Comparison of Acute Clinical Features and Coronary Involvement in Patients with Kawasaki Disease between Those Younger and Older than One Year of Age)

  • 김소영;임성준;윤신원;이동근;최응상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5권6호
    • /
    • pp.773-782
    • /
    • 2002
  • 목 적 : 기존의 진단기준을 모두 만족시키지 못하는 비정형적인 가와사끼병이 실제로 1세 미만에서 더 흔히 발생하는지 및 가와사끼병의 심혈관 합병증의 위험인자로 기존에 언급된 바 있는 1세 미만에 발병한 가와사끼병 환아에 있어서 1세 이상 가와사끼병 환아와 비교하여 급성기의 임상양상, 검사실 소견, 관상동맥 병변의 빈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이들 비교 분석을 통해 가와사끼병의 발병연령에 따른 좀더 합리적인 진단기준 설정 및 조기치료의 필요성이 있는지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1997년 4월부터 2001년 5월까지 49개월간 중앙대학교 용산병원 및 필동병원 소아과에 가와사끼병으로 입원하였던 환아 70례를 대상으로 발병연령이 1세 미만인 환아 17례와 1세 이상인 53례로 나누어 성별, 급성기 임상양상, 입원시 검사실 소견, 급성기, 아급성기 및 회복기의 심초음파 검사 소견 등에 대해 입원 기록지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 1) 총 70례의 환아 중 1세 미만 환아는 24.3%를 차지하였고 발병연령은 최소 2개월에서 최대 8세였으며(평균연령 26.5개월) 전체 대상아의 남녀비는 1.3 : 1였고 1세 미만군의 남녀비는 3.3 : 1 및 1세 이상군의 남녀비는 1.0 : 1로 1세 미만 환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남아에서 호발하였다(P=0.04). 2) 발열시작부터 IVIG을 투여 받기까지의 총 발열일수($4.6{\pm}1.3$$6.2{\pm}2.5$일, P=0.004)와 발열시작부터 최초의 심초음파 시행까지의 일수($5.2{\pm}1.6$일 대 $7.1{\pm}2.6$일, P=0.01)는 1세 미만군에서 유의하게 짧았고, 5일 이상의 발열을 보인 경우(70.6% 대 92.5%, P=0.008)는 1세 미만군에서 유의하게 적었다. 경부림프절 비대를 보인 우(35.3% 대 66.0%, P=0.02)는 1세 미만에서 유의하게 적었다. 가와사끼병의 전형적 임상징후 5개를 모두 보인 경우(41.2% 대 75.5%, P=0.006)는 1세 미만군에서 유의하게 적었다. 비정형적 기타 임상증상 중 호흡기 증상의 빈도(23.5% 대 50.9 %, P=0.041)는 1세 이상군에서 유의하게 많았다. 3) 입원시 혈청 알부민($4.3{\pm}0.3g/dL$$3.8{\pm}0.5g/dL$, P=0.005)은 1세 이상군에서 유의하게 낮았고, 혈청 BUN($11.0{\pm}3.9mg/dL$$8.5{\pm}2.8mg/dL$, P=0.026)은 1세 미만군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며, 혈청 칼륨($4.8{\pm}0.4mEq/L$$4.1{\pm}0.4mEq/L$, P<0.001)은 1세 이상군에서 유의하게 낮았다. 4) 심초음파상 심염의 빈도는 급성기, 아급성기, 회복기 모두 두군간 차이가 없었다. 관상동맥확대 빈도는 급성기, 아급성기, 회복기 모두 1세 미만군에서 더 높았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급성기(47.1% 대 17.0%, P=0.01)에만 있었고 가와사끼병으로 진단되어 IVIG를 투여한 후인 아급성기 및 회복기에는 두군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 론 : 1세 미만에 발병한 가와사끼병 환아에서는 1세 이상군에 비해 전형적인 진단기준을 완전히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가 유의하게 많으며 급성 발열기에 관상동맥변화가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1세 미만의 어린 영아에서 뚜렷한 원인이 없이 발열이 지속되는 경우에는 가와사끼병의 가능성을 항상 염두에 두고 심초음파 검사를 시행, 관상동맥 병변 유무를 확인하여 조기진단과 조기의 적절한 IVIG 투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자조타이치 프로그램이 삶의 질, 건강지각, 관절 유연성, 악력 및 균형감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Self-help Tai Chi for Arthritis on the Quality of Life, Health Perception, Joint Flexibility, Grasping Power, and Balance)

  • 이은희;이경숙;소애영;최정숙;이인옥;이준동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27-136
    • /
    • 2007
  • Purpose: There has been a need to integrating the self-help program for arthritis with the TaiChi for arthritis pati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Self-help and Tai Chi for arthritis (SHTCA) program for arthritis. Method: This study was designed non 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test, quasi-experimental design. A total 40 participants were recruited in W-city, 29 participants(14-experimental group and 15-control group) completed post test.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SHTCA once a week for 8 weeks. SHTCA program was consisted of understanding of the arthritis, contracting of the promise, exercise for muscle strength and joint flexibility and 8 movements of Tai Chi exercise. Coloring plus program to cellular phone was used to encourage the exercise and participation by the KT-SHUT twice a week. Measures used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SHTCA were EQ-5D standardized five dimensions(mobility, self-care, usual activities, pain & discomfort, and anxiety & depression), and health perception, joint flexibility, grasping power, and balanc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SPSS WIN 14.0.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had significantly increased the EQ-mobility(p=.033), health perception(p=.000), right shoulder flexibility(p=.007), and left shoulder flexibility(p=.002)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addition, pain was decreased(p=.052) and right grip was increased(p=.052) after 8 weeks program in the experimental group. Conclusion: This SHTCA using coloring plus program was found partially effective and satisfactory. We recommended further research on the effect of this SHTCA effects.

  • PDF

국내산 마 품종별 이화학적 성분 및 항산화 활성 (Physicochemical Composition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Korean Dioscorea Species)

  • 김경미;강문경;김진숙;김기창;최송이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880-886
    • /
    • 2015
  • 본 연구는 당뇨병, 콜레스테롤 저하작용, 면역조절효과, 관절염 치료 등의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마를 식품소재로써 활용하고자 국내 재배되고 있는 마 품종별 성분을 분석하고, 이용성을 조사하였다. 마 품종별 이화학적 특성 비교 결과, 유리당 함량(mg/g)은 단풍마(28.13) > 장마(24.98) > 산마(20.50) > 둥근마(20.40) 순으로 단풍마가 가장 높았으며, 유기산 함량(mg/g) 또한 단풍마(179.29) > 장마(112.51) > 산마(88.72) > 둥근마(19.23) 순으로 단풍마가 가장 높았다. 조사포닌의 함량(mg/g)은 단풍마(630.3) > 둥근마(66.3) > 장마(42.8) > 산마(38.9) 순으로 단풍마가 가장 높았다. 마의 항산화 활성 결과, 단풍마가 폴리페놀 함량과 DPPH radical 소거능이 높았다. 마의 품종별 성분 특성의 차이를 확인함으로써 마를 활용한 식품 소재화 및 제품 개발을 위한 기초 데이터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감국, 산국 및 구절초꽃 분말 차의 항산화활성과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Chrysanthemum indicum L., Chrysanthemum boreale M. and Chrysanthemum zawadskii K. Powdered Teas)

  • 이상훈;황인국;노진우;장영득;이철희;우관식;정헌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7호
    • /
    • pp.824-831
    • /
    • 2009
  • 감국, 산국 및 구절초꽃 열수추출물에 덱스트린과 말토덱스트린 부형제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분말차를 제조하고 이의 품질특성과 관능특성을 평가하였다. 국화차 분말의 흡습성은 국화 품종별 덱스트린 단독 첨가구에서 가장 높았으며, 부형제의 종류 및 첨가량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용해도는 덱스트린과 말토덱스트린을 8:2로 혼합한 처리구에서 당도 변화가 크게 나타났다. 국화 분말차의 색도는 부형제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나, 덱스트린과 말토덱스트린을 9:1로 혼합한 첨가구에서 명도를 나타내는 L값이 높게 나타났으며, 국화 분말차의 pH는 $5.33{\sim}5.63$ 범위를 보였다. 갈변도와 탁도는 품종, 부형제의 종류 및 농도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환원당 함량은 국화 품종별로 덱스트린과 말토덱스트린을 8:2로 혼합한 처리구에서 높았다. 총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총 항산화력은 산국 분말차가 각각 $6.47{\sim}6.75$, $1.95{\sim}1.99$$4.37{\sim}4.55\;mg/g$ 범위로 감국과 구절초 분말차보다 높았고 전자공여능은 감국 분말차가 $24.85{\sim}27.93%$로 산국과 구절초 분말차보다 높았다. 관능평가에서 색과 향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산국의 경우 쓴맛에 대한 낮은 평가로 인하여 전반적으로 기호도가 낮게 평가되었다.

SPH을 활용한 3차원 비선형 파랑모형 개발 (Development of 3-D Nonlinear Wave Driver Using SPH)

  • 조용준;김권수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8권5B호
    • /
    • pp.559-573
    • /
    • 2008
  • Navier-Stokes식, Gaussian 분포형 용출함수를 이용한 내부조파, energy absorbing layer로 삼차원 파랑모형을 새롭게 구성하였다. Navier-Stokes식의 수치적분에는 정교한 수치기법인 SPH(Smoothed Particle Hydrodynamics)가 활용된다. 제안된 파랑모형의 검증은 삼차원 포물형 용기에서의 sloshing현상과 Thacker(1981)의 해석해를 토대로 수행되었다. 초기 수면 형상이 Gaussian hump인 경우와 일방향으로 경사진 경우에 대해 수치모의 하였다. 수치모의 결과 수면이 융기되도록 구속한 외부조건이 해제되면서 시작되는 자유진동의 정성적 거동은 비교적 정확히 모의되었으나 시간이 경과될수록 위상차, 침수선이 퇴각하는 등 초기 수면과는 상당히 다른 결과를 보였다. 최종적인 검증은 쐐기모양 해안에서의 비선형 천수, 굴절거동의 수치모의를 토대로 진행되었다. 수치모의 결과 굴절되는 양이 Hamiltonian ray theory가 제공하는 수치보다 전반적으로 작게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은 이상유체와 선형 이론에 기초한 Hamiltonian ray theory에서 간과된 비선형성, 점성으로 인한 양안과 저면에서의 에너지 감쇄, 쇄파 과정에 유동계에 도입되는 에너지 감쇄, 선행파랑에 의한 down-rush와 조우시 발생하는 도수 등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한국 전·후기 노인의 삶의 질 관련요인과 성별 차이 (Gender Difference in Quality of Life After Controlling for Related Factors among Korean Young-old and Old-old Elderly)

  • 정영해;조유향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9권3호
    • /
    • pp.176-186
    • /
    • 2014
  • 본 연구는 노인의 삶의 질 관련 요인을 파악하고, 관련 요인을 통제한 상태에서 남 녀 노인의 삶의 질에 차이가 있는지 국민건강영양조사 제5기 1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여, 65세 이상 노인 1,33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 방법은 층과 집락 가중치를 지정하여 SPSS 20.0 복합표본분석방법으로 분석하였는데, 연령과 성별에 따른 일반적 특성과 건강행위 및 건강상태의 차이는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삶의 질 차이는 일반선형모형분석을, 삶의 질 관련 요인은 후진제거방법을 이용한 일반선형모형으로 파악하였으며, 성별의 차이 역시 일반선형모형을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일반적 특성에서는 교육수준(p<.001)과 경제수준(p=.005), 동거여부(p<.001)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나, 거주지역은 차이가 없었으며, 건강행위는 흡연(p<.001), 음주(p<.001), 운동(p=.045)에서 차이를 보였고, 건강상태에서는 비만정도(p<.001), 만성질환유무(p<.001), 스트레스(p<.001), 우울(p=.005), 자살사고(p<.001), 주관적 건강상태(p<.001)이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EQ-5D는 노년전기, 후기 모두 여자노인보다 남자노인의 점수가 높았으며, 운동능력, 자가간호능력, 일상생활불편감, 통증/불편감, 불안/우울 등 모든 하위영역에서는 여자노인의 삶의 질이 남자보다 낮았다. 삶의 질 관련변수는 교육수준(p=.001), 경제상태(p=.001), 만성질환유무(p=.052), 동거여부(p=.002), 주관적 건강상태(p<.001), 연령(p<.001), BMI(p=.045)로, 이 변수들은 노인 삶의 질의 31.5%를 설명하였다. 노년기에서도 성 인지적 차이를 감안한 접근방안이 필요함을 제언한다.

만성골수성백혈병 환자의 효용가중치 비교 (Comparison of Chronic Myeloid Leukemia Patient's Utility Weights)

  • 이지현;이의경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53-158
    • /
    • 2009
  • Background: Patients with chronic myeloid leukemia(CML) have different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ir disease conditions such as chronic phase(CP), accelerated phase(AP), blast crisis(BC), stage with MCyR(Major Cytogenetic Response); therefore, every patient has different quality of life related to their disease condition. Objectives: To measure the quality of life,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utility weight in patients with CML. This study also evaluated the utility weight in order to view comparisons between the quality of life in a patient with CML to a patient with diabetes, which is a representative chronic disease. Methods: The disease scenario described 5 symptoms of the CP, AP, BC of the CML, the CML which gets the MCyR and the diabetes. Utility weight was developed using the EQ-5D method. All statistical data were analyzed by STATA 10.0 Results: 57 nurses(95%) out of 60 answered the questionnaire. In CP, the utility weight was 0.7946. In AP, it was 0.5301. and in BC, it was -0.2793. Survey data indicate that the worse the condition of a disease, the lower the utility weight. In case of the CML which gets the MCyR, the result was 0.7731(95% CI : 0.7384 - 0.8079). The general diabetes which has no complicating disease, the utility weight was 0.7481(95% CI : 0.6983 - 0.7978). Based on the result, it is evident that those with MCyR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people with general diabetes (p=0.4096) in views of the quality of life.

  • PDF

푸드테라피가 다차원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ood Therapy on Multi-dimensional Health)

  • 장석종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222-231
    • /
    • 2018
  • 본 연구는 푸드테라피가 다차원적 건강 증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현대인들의 식생활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와 경기도에 거주하는 30대 이상의 성인이었다. 총 230부의 설문 중, 최종적으로 220부의 설문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다차원적 건강은 주관적 건강(리커트 5점 척도), 기능적 건강(EQ-5D), 의학적 건강(이환의 합)으로 측정하였고, 푸드테라피는 황제내경의 원리에 입각하여 개개인의 체질을 고려하였다. 푸드테라피는 경험 여부(있음/없음), 복용 종류(종류의 합), 복용 기간(개월)으로 측정하였다. 회수된 설문은 독립표본 t검정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의학적 건강상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는 복용종류와 복용기간이었다. 둘째, 기능적 건강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는 없었다. 셋째, 주관적 건강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는 없었다. 결국 푸드테라피는 의학적 건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분석결과 현대인들의 건강수준에 푸드테라피가 유의한 효과가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우리나라 노인의 우울증과 관련 요인 - 생활습관, 정신건강, 만성질환 및 영양상태 중심으로 - : 2014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Depression and Related Risk Factors in the Elderly with a Focused on Health Habits, Mental Health, Chronic Diseases, and Nutrient Intake Status: Data from the 2014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이혜상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24권2호
    • /
    • pp.169-180
    • /
    • 2018
  • Depression is a major health problem that can lead to mortalit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depression in a group aged over 65 years by analyzing nationally representative Korean survey data. A total of 1,209 subjects were analyzed among the participants of the 2014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Statistical methods for a complex sample were applied by using SPSS program(windows ver. 24.0). Depression assessments were carried out by using the 9-item depression module of the 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PHQ-9). Depression ($PHQ-9{\geq}5$) was more frequently found in females (33.2%) compared to males (16.1%). However, there was no evidence suggesting that characteristics such as residence area, income level and age, except for educational level, were related with depression. The results of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i) health habits such as smoking (OR: 2.26) and lack of aerobic physical activity (OR: 1.62), ii) mental health status such as bad self-rating of health status (OR: 4.30), more stress (OR: 8.31), and ba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by EQ_5D, OR: 3.41), iii) chronic diseases such as obesity (OR: 0.66), hypercholesterolemia (OR: 1.57), anemia (OR: 1.91), and iv) low intake of energy (OR: 1.84) and calcium (OR: 1.71)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depres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certain characteristics of health habits, mental health status, chronic diseases and nutrient intake may be associated with depression. Prospective research on long-term control is needed to establish causal connections among those factors with depression.

지역의 건강결정요인 취약성 유형화 및 유형별 건강수준의 차이 (Typology of Community Health Vulnerabilities and Their Effects on Health Status by Type-Using Community Health Survey)

  • 박보현;이경희;최숙자;서수경;최선임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81-291
    • /
    • 2021
  • Purpose: This study examined health determinants at a community level and put forward to a typology of five different forms of community health vulnerabilities. We also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in the prevalence of chronic diseases, self-rated health, and quality of life (EQ-5D) among the five types. Methods: Latent class analysis was applied to material, social capital, and health behavior vulnerability variables across 255 regions of South Korea. The data came from 2017 & 2019 Community Health Survey. Results: We found five types of community health vulnerabilities: Type 1 group had the highest material vulnerabilities compared to Type 5. The typology was found to be significant in all the regression analysis on the prevalence of chronic diseases (hypertension and diabetes), self-rated health status, and quality of life. In the regions with high material vulnerabilities, the material vulnerability appeared the most effective to the health status of individual's. In the other regions with less material vulnerabilities, the social capital and health behavior resources were found to be effective. Conclusion: A comprehensive measure of vulnerability can be helpful to understand community health. Policy makers need to consider the level of material vulnerability when planning for a health promotion proj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