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PS

검색결과 904건 처리시간 0.034초

약초 근권토양 내 다당 생성세균 분리 및 계통학적 특성 (Isolation and Phylogenetic Characteristics of Exopolysaccharide Producing Bacteria in a Rhizosphere Soil of Medicinal Herbs)

  • 이혜란;김기광;황경숙
    • 미생물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278-285
    • /
    • 2010
  • 국내에 자생하는 당귀, 삽주, 쇠무릎, 지모, 황기의 근권토양내 EPS 생성균주의 분포율을 조사한 결과 당귀로부터 분리된 균주의 56%가 EPS 생성 균주로 가장 높은 분포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당귀 근계 (근권, 근면, 근 내부) 내 EPS 생성 세균의 밀도를 측정한 결과, 근권 토양 내에는 $9.0{\times}10^6$ CFU/$g{\cdot}soil$, 근면에는 $7.0{\times}10^6$ CFU/$g{\cdot}soil$, 그리고, 근 내부에는 $1.4{\times}10^3$ CFU/$g{\cdot}soil$로 확인되어, 다수의 EPS 생성 세균이 분포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당귀 근권으로부터 분리된 EPS 생성세균은 Alphaproteobacteria (4 strains), Betaproteobacteria (6 strains), Firmicutes (2 strains), Actinobacteria (3 strains), 그리고 Bacteroidetes (1 strain) 계통군에 속하는 균주였다. 근면으로 부터 분리된 EPS 생성세균은 Alphaproteobacteria (7 strains), Betaproteobacteria (3 strains), Actinobacteria (2 strains), Bacteroidetes (3 strains), 그리고 Acidobacteria (1 strain) 계통군으로 나타났으며, 근 내부에서 분리된 EPS 생성세균은 모두 Bacteroidetes 계통군 Chitinophaga에 속하는 특징을 나타내었다. 약초 근권토양으로부터 분리된 EPS 생성세균 112균주중에서 Burkholderia caribiensis DR14 (1,547 mpa.s), Terriglobus sp. DRP35균주(2,136 mpa.s), Rhizobium hainanense SAP110균주(1,680 mpa.s)를 최우수 EPS 생성 균주로 선발하였다. 분리 정제된 EPS를 Bio-LC로 분석한 결과 glucose, galactose, mannose의 중성당과, galactosamine, glucosamine의 아미노당이 나타났다. 특히 Rhizobium hainanense SAP110 균주는 주요 중성당으로 glucose (60-89%)를 그리고 주요 아미노당으로 glucosamine (8.5%)을 생성하는 특징을 나타내었다.

EPS 회복탄성계수 모델을 이용한 연성포장설계의 해석적 연구 (An Analytical Study of Flexible Pavement Design Using Resilient Modulus Model of Expanded Polystyrene (EPS))

  • 박기철;장용채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4권2호
    • /
    • pp.35-44
    • /
    • 2015
  • 본 연구의 연성포장설계의 해석적 연구를 위해 연성포장설계에 이용되는 EPS 지오폼 회복탄성계수 모델이 고안되어 노상층이 EPS 블럭인 연성포장의 수직방향 변형크기를 예측하기위한 프로그램인 RMEG 에 이용되었다. RMEG 프로그램은 EPS 지오폼의 노상층이 설계된 기한동안 얼마나 침하 하는지와 AASHTO 연성포장설계방정식에 의해 평가된 신뢰도 70%로 주어진 교통하중에 도로구조체가 얼마나 오랫동안 심각한 도로파손 없이 지탱하는지를 보여주었다. 그 결과, EPS 노상층의 예측 수직변형은 20.6년 동안 5mm 이하로 EPS 지오폼은 일반토사의 대체물로써 하자가 없음을 나타냈다.

Experimental and numerical investigation of expanded polystyrene (EPS) geofoam samples under monotonic loading

  • Khalaj, Omid;Siabil, Seyed Mohammad Amin Ghotbi;Azizian, Mehran;Tafreshi, Seyed Naser Moghaddas;Masek, Bohuslav;Kepka, Miloslav;Kavalir, Tomas;Krizek, Michal;Jirkova, Hana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22권6호
    • /
    • pp.475-488
    • /
    • 2020
  • The recent increase in the use of Expanded Polystyrene (EPS) geofoam in construction and geotechnical projects has driven researchers to investigate its behavior, more deeply. In this paper, a series of experimental tests to investigate the stress-strain behavior and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EPS blocks, under monotonic axial loading are presented. Four different densities of cylindrically shaped EPS with different dimensions are us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loading rate, height and diameter, as well as the influence of the density of EPS on the stress-strain response. The results show that increasing the height of the EPS samples leads to instability of the sample and consequent lower resistance to the applied pressure. Large EPS samples show higher Young's modulus and compressive resistance due to some boundary effects. An increase in the rate of loading can increase the elastic moduli and compressive resistance of the EPS geofoam samples, which also varies depending on the density of the samples. It was also determined that the elastic modulus of EPS increases with increasing EPS density. By implementing an efficient numerical procedure, the stress-strain response of EPS geofoam samples can be reproduced with great accuracy. The numerical analysis based on the proposed method can used to evaluate the effect of different factors on the behavior of EPS geofoam.

폴리스티렌 모르타르의 양생재령에 따른 경화거동 (Setting Behavior of Polystyrene Mortars with Elapsed Curing Time)

  • 최낙운;김한상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6권1호
    • /
    • pp.54-60
    • /
    • 2004
  • 발포폴리스티렌(EPS)의 효율적인 재활용 기술개발의 일환으로서 폐 발포폴리스티렌을 중합성 모노머인 스티렌에 용해한 고분자 용액에 가교제, 개시제, 촉진제 등을 첨가하여 상온 중합성 결합재를 개발하였으며 이를 이용한 폴리스티렌 모르타르를 제조하여 그 중요한 경화특성인 사용가능시간, 건조양생재령에 따른 발열온도 및 길이변화 거동에 미치는 폐 발포폴리스티렌 용액농도 및 TMPTMA 첨가량의 영향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EPS용액을 이용한 결합재 및 폴리스티렌 모르타르의 사용가능시간은 EPS용액 농도 및 TMPTMA 첨가율의 증가에 따라서 짧아지며, 또한 폴리스티렌 모르타르의 경화에 따른 길이변화는 EPS용액 농도 및 TMPTMA 첨가율에 크게 영향을 받는데 이를 적절히 조절하여 경화특성을 제어함으로써 저수축 혹은 무수축 폴리스티렌 모르타르의 제조가 가능하다는 것을 검증하고 있다.

포장방법에 따른 'Sheridan' 포도의 신선도 유지 효과 (Freshness Extension of Table Grape 'Sheridan' by Packaging Methods)

  • 박형우;김동만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260-263
    • /
    • 1999
  • EPS 포장상자가 포도의 신선도 유지효과 기능이 있는지의 여부를 조사하고자 'Sheridan' 포도를 포장하여 $25^{\circ}C$에 저장하면서 골판지상자와 0.02와 0.04mm 두께의 LDPE필름, EPS 상자로 포장한 것들과 신선도 유지효과를 비교하였다. 저장 10일후 중량감소는 대조구는 5.7%, EPS 상자는 0.9%의 중량감소가 나타났다. 비타민C는 EPS 포장구가 대조구 보다 15.5%, 산도는 24.4% 높게 유지되고 있었다. 당도는 EPS와 LDPE 포장구가 대조구 보다 약간 낮게 유지되고 있었으며, 곰팡이 발생 등의 부패는 대조구에서는 일부 송이에서 발생했으나 EPS 포장구에서는 발생하지 않았고 품질도 양호해, EPS 포장상자는 일반적인 MA포장재인 LDPE포장과는 신선도가 비슷하게 유지되었으나 대조구인 골판지 상자보다는 품질이 잘 유지되고 있어 EPS 상자를 포도 포장상자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Effect of Carbohydrates to Protein Ratio in EPS on Sludge Settling Characteristics

  • Shin, Hang-Sik;Kang, Seok-Tae;Nam, Se-Yong
    •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BBE
    • /
    • 제5권6호
    • /
    • pp.460-464
    • /
    • 2000
  • Extracellular polymeric substances (EPS) are believed to play a role in the binding and formation of microbial flocs. However, the precise role is not well known. Sludge settling characteristics and the carbohydrate to protein ratio in EPS were tested with various airflow rates in this study. Sludge was collected from three modified sequencing batch reactors (SBRs), which were operated at 16$\^{C}$ with an airflow rate of 0.8L/min, 3L/min and 6L/min, respectively. During the operation, the reactor operated at an airflow rate of 0.8L/min showed sludge volume index (SVI) of 80 to 90ml/g and a constant ratio of carbohydrate to protein in the EPS, while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SVI was seen in the other reactors. Sludge bulking increased the amount of carbohydrate in the EPS, while kept protein almost constant in the airflow rate of 3L/min ad 6L/min. Surface charge also increased with increases in the carbohydrate to protein ratio in the EPS, which weakens the attraction between the EPS and multivalent cations. The ratio of carbohydrate to protein in the EPS was tween the EPS and multivalent cations. The ratio of carbohydrate to protein in the EPS was inferred to be essential for bioflocculation.

  • PDF

Expandable Polystyrene Box의 '신고' 배의 신선도 유지효과 (Freshness Extension of 'Shingo' Pear Packed with Expandable Polystyrene Form Box)

  • 박형우;박종대;김동만;이명훈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2-17
    • /
    • 1998
  • 개발한 EPS 포장상자가 농산물의 신선도 유지효과 기능이 있는지의 여부를 분석코자 배를 포장하여 $20^{\circ}C$에 저장하면서 골판지상자와 0.02와 0.04mm 두께의 LDPE필름으로 포장한 것들과 신선도 유지효과를 비교하였다. 저장 50일 후 중량 감소는 대조구는 4.4%, EPS 상자는 0.7%의 중량감소가 나타났고, 비타민C도 2.12와 2.63 mg%로 EPS 포장구가 20% 높게 유지되고 있었다. 당도와 산도는 포장구간에 큰 차이가 있었으며 부패는 대조구는 상자당 1-2개과가 발생했으나 EPS 포장구는 발생하지 않아 개발한 EPS 포장구를 신선도 유지를 위한 유통용 상자로 활용가능성이 확인되었다.

  • PDF

포장재가 ‘후지’사과의 신선도에 미치는 영향 (Freshness Extension of ‘Fuji’Apple to Packaging materials)

  • 박형우;박종대;김동만;최주섭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345-350
    • /
    • 2001
  • 개발한 EPS 포장상자가 사과의 신선도 유지효과 기능이 있는지의 여부를 조사코자 사과를 포장하여 2$0^{\circ}C$에 저장하면서 골판지상자와 0.02와 0.04mm 두께의 LDPE필름, 기능성 MA필름과 50배로 발로시킨 EPS 상자에 사과를 15kg씩 포장하며 포장재간의 신선도 유지 효과를 비교하였다. 저장 40일 후 중량감소는 대조구는 5.7 %, EPS 상자는 0.5%의 중량감소가 나타났고, 비타민C도 2.06과 2.31mg%로 EPS 포장구가 높게 유지되고 있었다. 당도와 산도는 포장구간에 큰 차이가 없었으며 부패의 경우 대조구는 상자당 3-5개과가 발생했으나 EPS포장구는 발생하지 않았으며 외관도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EPS 공법의 파괴사례 및 품질관리 개선방안 (Case Studies of EPS Failure and Quality Control by Site Monitoring)

  • 김호비;주태성;류기정;한태곤;김태경;정종권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3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401-408
    • /
    • 2003
  • EPS(Expanded Polystyrene) has been used in a variety of applications as a solution of difficult soil conditions encountered in construction activities. Although there has been significant worldwide growth in the use of EPS as a lightweight fill material, it has a few failure cases before and after the construction. This paper described the observed failures of EPS structures up In date around the world. Also, method of quality control was proposed for site monitoring.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