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ULSION

검색결과 2,000건 처리시간 0.034초

The First Crustal Refraction Survey in the Korean Peninsula

  • Jung Mo Lee;Wooil Moon;Chang-Eob Baag;Heeok Jung;Ki Young Kim;Bong Gon Jo;Woohan Kim;Sung Kyun Kim
    • IUGG한국위원회:학술대회논문집
    • /
    • IUGG한국위원회 2003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회
    • /
    • pp.15-15
    • /
    • 2003
  • The first crustal refraction survey in the Korean Peninsula was carried out over the survey line connecting Seosan-Yeongdong-Kyeongiu on Dec. 15, 2002. The total length of the survey line was about 300 Km and 198 portable seismometers were deployed with approximately 1.5-km interval. The survey line itself was geologically important since it was almost normal to the so-called Sino-Korean structural trend. Two shots, one at Seosan (west end point) and the other at Yeongdong (mid-point), were exploded. They were 100-m deep drill well explosions. The Seosan shot consisted of a ton emulsion type explosive, while Youngdong consisted of 500 kg one. Both shots generated signals with good S/N ratios to the farthest receivers. Seismic signals were recorded by 195 receivers out of 198 ones. Although the originally planned Kyeongju shot (east end point) could not be exploded due to public discontent, the experiment was evaluated very successful. First breaks in all recorded traces were picked up and two preliminary analyses were carried out. The one is conventional flat layer analysis and the other was refraction tomographic analysis. The one resulted in average 32-km thick two-layer crust and the underlying mantle with 8.05-km/s P-velocity. The top crust layer with 3.86 kw/s P-velocity was 2.5-km thick and the lower crust layer with 6.0l km/s P-velocity was 29.5-km thick. The other resulted in a velocity cross-section. The confidence level of the velocity cross-section could not be evaluated at this time because only two shot were exploded. Detailed analyses such as surface wave dispersion are on going. Continuing crustal scale refraction surveys are planned in Korea.

  • PDF

불소 고무복합체의 저온과 고온촉진노화 특성에 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Accelerated aging at Low and High Temperatures of the Fluorocarbon Rubber Composites)

  • 박정배;이범철;정윤석;박성한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17년도 제48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915-922
    • /
    • 2017
  • 내열 및 내유성 고무복합체 특성연구(The study on the thermal and oil resistance rubber composite), 2016.[6] 연구에서는 고온($150^{\circ}C$, $175^{\circ}C$, $200^{\circ}C$) 조건의 고온촉진노화를 통하여 불소고무 복합체의 수명을 예측하였다. 일반적인 고무제품은 온도, 습도, 오존, 빛, 유제, 기계 및 전기적 응력 등의 특성저하 인자에 따라 다른 특성을 나타낼 가능성이 있으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내열 및 내유성 고무복합체 특성연구"[6] 연구에서 얻어진 고온촉진노화에 의한 수명 예측값과 저온촉진노화간의 인장강도 변화율 및 신장률 변화율 그리고 부피 변화율, 무게 변화율, 두께 변화율 및 열전도도를 비교 검토하였다. 검토 결과, 요구 한계수명은 모두 만족하였지만 고온촉진노화 결과와 저온촉진노화 결과 간 변화율에서 약간의 격차를 보였다. 이러한 변화율 격차가 일어나는 원인은 고온촉진노화에서는 노화 시 불소고무의 주사슬 분해로 인하여 인장강도, 신장률 감소 및 부피, 무게, 두께 증가가 일어나는데 비해 저온촉진노화에서는 $80^{\circ}C$에서 불소고무의 지속적 경화반응으로 인하여 인장강도, 신장률 및 부피, 무게, 두께 변화가 적게 나타났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표면이 가교된 Crosslinked Poly(sodium acrylate) 흡수제가 첨가된 시멘트 모르타르의 강도 특성 연구 (Studies on the Strength of Cement Mortars with Surface Crosslinked cPSA Absorbent)

  • 황기섭;장석수;정용욱;이승한;하기룡
    • 폴리머
    • /
    • 제36권2호
    • /
    • pp.208-215
    • /
    • 2012
  • 콘크리트 제조 시 사용되는 잉여수를 지연 흡수시키기 위하여 역유화중합법으로 중합된 가교 poly(sodium acrylate)(cPSA)를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EGDMA) 5, 10 및 20 g을 사용하여 표면 가교시켰다. 표면 가교제 첨가량이 다른 cPSA-EGDMA를 시멘트 질량의 0.5, 1.0 및 1.5 wt% 각각 첨가하여 모르타르의 압축 및 휨강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cPSA-EGDMA(20 g)을 0.5 wt% 첨가한 모르타르의 압축강도는 무첨가 시멘트에 비하여 낮게 나타났으나 다른 cPSA-EGDMA 첨가 모르타르는 높게 나타났다. 그 중 특히 cPSA-EGDMA(5 g)을 1.0 wt% 첨가한 모르타르는 무첨가 모르타르의 압축강도(26.8 MPa)와 휨강도(2.52 MPa)와 비교하면 압축강도는 약 16%, 휨강도는 약 10% 증가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공극률이 압축강도와 휨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기 위하여, 이들 모르타르의 FE-SEM 분석 및 porosity를 측정하였다. FE-EM 분석결과 팽윤된 cPSA-EGDMA(5 g)이 칼슘 실리케이트 수화물(C-S-H) 결정들 사이를 채우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cPSA-EGDMA를 첨가한 모르타르의 porosity 측정결과 무첨가 시멘트 모르타르에 비하여 모두 낮아진 가운데, 특히 cPSA-EGDMA(5 g) 1.0 wt% 첨가한 모르타르는 무첨가 시멘트 모르타르(20.1%)보다 porosity가 16.5%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아크릴계 복합입자 바인더의 제조와 플라즈마 처리영향 (Synthesis and Effect of Plasma Treatment of Acrylic Composite Particle Binder)

  • 심동현;설수덕
    • 폴리머
    • /
    • 제32권3호
    • /
    • pp.276-283
    • /
    • 2008
  • 단량체의 종류(MMA, EA, BA, St), 단량체의 중량비($80/20{\sim}20/80$) 등을 변화시켜 core shell 바인더를 제조하구 여기에 플라즈마 처리하여 물성을 향상시켰다. 각 소재별로 플라즈마 처리시간($1{\sim}10\;s$)을 변화시켜 인장강도, 접촉각 및 접착박리강도를 측정하여 최적의 core shell 바인더의 표면처리 조건을 산출하였다. 중합에서는 바인더의 종류와 조성에 관계없이 개시제는 APS, 반응온도 $85^{\circ}C$에서 0.3 wt%의 유화제를 사용했을 때 가장 높은 전환율을 나타내었고, 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는 공중합체의 단일 전이 곡선에 비하여 core shell 바인더는 2개 이상의 전이 곡선을 얻었다. Core shell 바인더에 플라즈마 처리 전 후의 접촉각 변화는 PEA/PSt의 경우 5초 이내에 38%의 완만한 감소를 나타내었고, 처리하지 않은 경우는 감소율이 급격히 $0^{\circ}$에 도달하였다. 인장강도는 가장 높은 값을 가지는 PSt/PMMA의 경우 $46.71{\sim}46.27\;kg_f$/2.5 cm로 처리전 후 모두 근사한 값을 나타내었다. 접착박리강도는 PEA/PMMA의 경우 처리 전 $7.89\;kg_f$/2.5 cm에서 처리 후 $14.44\;kg_f$/2.5 cm로 약 2배 이상 증가하였다. 전체적으로 접착박리강도의 크기는 shell 단량체가 MMA인 core 단량체에 대하여 PEA>PBA>PSt의 순으로 되었다.

식품연포장용 라미네이트 수성 감압점착제의 친환경적 적용에 대한 연구 (Design and Properties of Laminating Waterborne PSA for Eco-friendly Flexible Food Packaging)

  • 이진경;심명식;진인주
    • 접착 및 계면
    • /
    • 제17권2호
    • /
    • pp.49-55
    • /
    • 2016
  • 본 연구는 식품연포장 적층 라미네이트에 주로 사용되는 유성접착제를 대체하기 위해 아크릴 수성화방법을 활용하여 친환경적인 수성 점착제를 설계하였다. 방법으로는 음이온/비이온 그리고 인산에스테르 계면활성제들의 조합과 분자량조절제(chain transfer agent, CTA)의 양을 달리하고, 기능성단량체(functional monomer)의 종류를 달리하였다. 합성된 점착제의 가교 정도와 분자량의 영향을 각각 실험군 8종으로 점착제를 설계 합성하고 조사하였다. 그리고 별도로 분자량이 서로 다른 styrene/alpha-methyl styrene/acrylic acid (SAA) semipolymer 분산제(Mw = 13,000과 Mw = 8,600)를 기존의 계면활성제를 대신하여 사용해 감압점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의 물성을 조사하였다. 합성된 10종의 감압점착제가 유연포장용 기본 물성 규격에 적합한지를 DSC, 입자크기, adhesion, 분자량의 물성 분석으로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계면활성제는 음이온/비이온 조합으로, CTA는 0.2%로 기능성 단량체는 HEA, GMA를 사용한 점착제 2개의 실험군에서 유연포장에 적용 가능한 분자량과 유연성, 낮은 접착력, 작은 입자의 물성을 확인하였다.

치아 씨앗으로부터 분리한 단백다당체의 성분분석과 보습 효과 (Moisturizing Effects and Composition Analysis of Proteoglycan Isolated from Chia (Salvia hispanica) Seed)

  • 이범천;주철규;허지연;이근하;김영진;이찬우;김진웅;박용일;김현숙;최태부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21-128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치아 씨앗으로부터 분리한 단백다당체(proteoglycan)의 성분분석과 분자량 측정 및 피부보습 효과를 연구하였다. 분리된 단백다당체의 성분분석 결과 치아 씨앗 단백다당체를 이루고 있는 당 성분(%)은 galactose (46.8), glucuronic acid (27.1), rhamnose (8.7), xylose (7.6), glucose (4.9), fructose (2.3), mannose (1.8), arabinose (0.9)로 확인되었으며, 함유된 단백질의 함량은 31.3 mg/g으로 이를 구성하는 아미노산 성분(mg/g)은 Asp (1.9), Glu (3.6), Ser (0.9), Gly (3.6), Thr (0.8), Arg (1.0), Ala (2.0), Tyr (0.4), Cys (4.8), Val (1.1), Phe (0.5), Ile (0.6), Leu (0.9)로 확인 되었다.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에 의해 측정한 치아 씨앗 단백다당체의 분자량 범위는 100,000~250,000 Da로 분자량 분포에 의한 평균 분자량은 170,000 Da이었다. 또한, 사람을 이용한 피부수분 보유 효과 및 피부 수분 손실량을 평가한 결과, 피부의 수분함량을 유지하는 효과가 우수하였으며 표피 수분 손실량 또한 적어서 피부 보습제로서 매우 우수하였다. 결론적으로 치아 씨앗의 다당체로부터 분리한 단백다당체를 화장품에 응용하면 우수한 보습효과를 가지는 화장품을 개발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가스치환 포장 및 감마선 조사된 소시지의 NO-Mb 함량과 색 특성 (Effects of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and Gamma Irradiation on NO-Mb Contents and Color of Sausage)

  • 안현주;김재현;조철훈;이주운;육홍선;변명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320-324
    • /
    • 2003
  • 감마선 조사에 의한 육제품의 색 변화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함기, $CO_2, \;N_2$, 및 $CO_2/N_2$ 포장한 후 각 포장환경에 따른 소시지의 NO-Mb 함량 및 CIE color values를 측정하였다. 감마선 조사에 의해 NO-Mb 함량이 다소 감소하여 조사에 의한 denitrosylation이 일어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CO_2/N_2$ 혹은 $CO_2$ 포장시 저장동안 NO-Mb 함량을 유지하는데 효과적이었다. CIE color values 중 $a^*$값은 감마선 조사 및 포장방법에 의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는데, 5kGy 이상의 감마선 조사시 $a^*$값이 감소하였으며, 함기포장구의 적색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CO_2/N_2,\;CO_2$와 같은 가스치환 포장시 감마선 조사에 의한 육색변화를 억제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두단백질(大豆蛋白質)의 효소적(酵素的) 변형(變形) : 분리대두단백질(分離大豆蛋白質)의 기능성(機能性)에 미치는 단백질가수분해(蛋白質加水分解)의 영향(影響) (Enzymatic Modification of Soy Proteins: Effects of Functional Properties of Soy Isolate upon Proteolytic Hydrolysis)

  • 강영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11-217
    • /
    • 1984
  • 본(本) 연구(硏究)는 분리(分離) 대두단백질(大豆蛋白質)에 단백분해(蛋白分解) 효소(酵素)를 작용(作用)시킬 때 일어나는 효소반응성(酵素反應性) 및 단백질(蛋白質) 기능성(機能性)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하였다. 사용(使用)된 효소(酵素)는 동물성(動物性)인 trypsin과 세균성(細菌性)인 alcalase 및 pronase였으며 열(熱) 처리(處理)되지 않은 대두단백질(大豆蛋白質)에 대(對)하여 trypsin보다 세균성(細菌性) 효소(酵素)가 높은 친화력(親和力)을 나타냈으며 열(熱) 처리(處理)된 대두단백질(大豆蛋白質)에 대(對)하여서는 효소종류(酵素種類)에 관계없이 기질농도(基質濃度)가 증가(增加)함에 따라 반응(反應)이 저해(沮害)되었다. 가수분해(加水分解)된 대두단백질(大豆蛋白質)의 전기명동(電氣鳴動) 결과(結果) alcalase가 특이적(特異的)으로 대두단백질(大豆蛋白質) 중(中) 2S 단백질(蛋白質)에 어떤 변화(變化)를 가져오는 것이 관찰되었다. 대두단백질(大豆蛋白質)의 기능성(機能性)에 있어서 효소처리(酵素處理)는 등전점(等電点)에서 $25{\sim}30%$의 가용성(可溶性) 단백질(蛋白質)의 증가(增加)를 가져왔으며 또한 열(熱) 응고성(凝固性)의 증가(增加), 칼슘 침전성(沈澱性)의 감소(減少)를 초래하였다. 그리고 에멀젼 특성(特性), 거품 형성능(形成能) 및 유리(遊離) SH기(基) 등에 대(對)하여서는 큰 변화(變化)가 없었으나 거품 안전성(安全性)은 크게 감소(減少)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옥테닐 호박산 베타글루칸의 유화 특성 (Emulsifying Properties of Octenyl Succinic Anhydride Modified β-Glucan from Barley)

  • 길나영;김산성;박은정;이의석;이기택;홍순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217-223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OSA-${\beta}$-glucan 유화제의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유화액을 제조하였다. 유화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pH 변화, NaCl 첨가에 따른 유화액의 지방구 크기, 제타전위의 변화 등 이화학적 성질을 조사하였고, OSA-${\beta}$-glucan에 대한 co-surfactant 선정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OSA-${\beta}$-glucan 유화액은 pH가 낮을수록, NaCl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응집으로 인해 안정도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는 유화액의 제타전위 측정 및 현미경 관찰 결과와 일치하였다. OSA-${\beta}$-glucan 유화제에 적합한 co-surfactant는 유화 지방구 크기 및 크리밍 안정도 측면에서 Tween 20으로 확인되었으며 적절한 농도는 0.2% 이상으로 나타났다. 또한 Tween 20 첨가에 대한 OSA-${\beta}$-glucan 유화액의 안정도 향상은 유화지방구 표면에서 OSA-${\beta}$-glucan과 Tween 20의 co-adsorption에 기인한 것으로 추정하였다.

감마선 조사와 아스코르브산 첨가가 소시지의 발암성 N-Nitrosamine 파괴 및 생성억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amma Irradiation and Ascorbic Acid on Reducing N-Nitrosamines in Pork Sausage)

  • 안현주;김재현;조철훈;권종숙;송현파;김희연;변명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384-388
    • /
    • 2002
  • 유화형 소시지의 휘발성 N-nitrosamine 생성에 대한 감마선 조사, 환원제 첨가 및 포장방법에 따른 영향을 저 장기간에 따라 조사하였다. 소시지는 아스코르브산을 첨가하거나 혹은N-nitrosamine 생성을 최대화하기 위해 첨가하지 않은 모델시스템 소시지를 제조하여 함기포장 및 진공포장을 한 후, 0, 5, 10 및 20 kGy의 선량으로 감마선 조사하였다. 아스코르브산 첨가구는 제조 직후 감마선 조사에 의한 NDMA 및 NPYR 함량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저장 4주째에는 조사구의 함량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아스코르브산 비첨가구의 경우 제조 직후 NDMA 및 NPYR 함량이 각각 5및 10kGy이상의 선량에서 감소하였고, 저장 4주 후에도 비조사구에 비해 감마선 조사시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또한 포장방법은 소시지의 N-nitrosamine 함량에 대한 뚜렷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