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EFL

검색결과 68건 처리시간 0.027초

Xe 플라즈마 평판 램프의 전기적 특성 (Electricla Properties of Xe Plasma Flat Lamp)

  • 최용성;조재철;홍경진;이우선;이경섭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광주전남지부
    • /
    • pp.35-38
    • /
    • 2006
  • As a display becomes large recently, Acquisition of high luminance and Luminance uniformity is becoming difficult in the existing CCFL or EEFL backlight system. So, study for a performance enhancement has enforced. but lamp development of flat type is asked for high luminance and a luminance uniformity security in of LCD and area anger trend ultimately. In this paper, we changed a tip shape of an electrode for production by the most suitable LCD backlight surface light source, and confirmed discharge characteristic along discharge gas pressure and voltage, and confirmed electric field distribution and discharge energy characteristic through a Maxwell 2D simulation. Therefore the discharge firing voltage characteristic showed a low characteristic than a rectangular type and round type in case of electrode which used tip of a triangle type, and displayed a discharge electric current as a same voltage was low.

  • PDF

The optical character analysis of the direct typed BLU for LCD TV

  • Yoon, D.K.;Park, D.S.;Han, J.M.;Oh, Y.S.;Bae, K.W.;Kim, Y.H.;Lim, Y.J.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 2004년도 Asia Display / IMID 04
    • /
    • pp.1058-1061
    • /
    • 2004
  • Recently, According to companies of TFT LCD are making large sized products more and more. In the vortex of Products with a monitor and LCD TV is applied in a technique of a high viewing angle(FFS, IPS, VA). Also, as a high luminance, high speed response time, high degree of a color purity, and so on are continuing to develop a high performance, it is necessary to improve a specific character of high luminance that apply to LCD TV as a LCD BLU. Because a LCD panel for TV usually has a lower resolution that compare to a monitor, the structure of present backlight system can't put out its power even though it has a merit in transmission. Therefore, the examination of improvement about the high luminance direct typed BLU for LCD TV that presupposes several uses of CCFL(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or EEFL(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is actively being progressed. Although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number of lamps for applying high performance by the direct type, in this case, because we can design the character of luminance for adoption of high performance. We can satisfy with a level of luminance for LCD TV. Accordingly, we analyzed a change of the number of CCFL, mechanical and optical character to produce the direct typed backlight in 32inches spec. Consequently, we achieved luminance of 6597nit,which was including polarization film, and secured the standard for LCD TV.

  • PDF

LCD 백라이트 국내외 표준화 동향 (A Trend of the National and International Standards for LCD Backlights)

  • 조미령;신상욱;이세현;황명근;이도영;양승용;함중걸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41-144
    • /
    • 2007
  • BLUs are major component in LCD industry which occupies 90% or more of FPD market worldwide and BLU market is expected to be expanded continuously according to the trend of miniaturization, slimness, low power consumption and low weight. The larger the BLU market scale, the more important standardization of performance evaluation techniques to clearly prescribe the product specification. Currently the government is promoting the establishment of related laws and coincidence with international standards to cope with agreements such as WTO/TBT, but the nongovernmental standardization activities are not enough to be actualized. Furthermore, BLU related components such as CCFL, EEFL, inverter and reflector are already developed for localization to substitute imports with home products but collective standardization, national standardization, and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are still not done. So, performance specifications and evaluation methods for normal fluorescent lamps or industrial lamps are being adopted and used as national standards and safety certification standards instead. Making these standards enables to prepare a chance to penetrate into global market and to promote world best products. Also, by making this collective standard, it provides chances to take part in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activities, to protect domestic industries and technologies, to obtain the trend of advanced technologies, and to be predominant over other countries. That is to say, CCFL standardization helps raise 21st century national strategic technology policy and go ahead of globalization of core technologies.

  • PDF

외부전극 헝광램프의 핀홀 현상 (Pinhole Phenomena in the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s)

  • 길도현;김상범;송혁수;유동근;이상훈;박민순;강준길;조광섭;조미령;황명근;김영욱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66-272
    • /
    • 2006
  • 외부전극 형광램프의 구동에서 과도한 전력을 인가하면, 외부전극 부분의 유리관 표면에 작은 원형의 구멍(핀홀)이 발생하여 램프가 파손된다. 핀홀은 외부전극과 유리관을 유전층으로 하는 캐패시터의 절연파괴이며, 이러한 절연파괴력은 인가되는 전력에 비례한다. 유전상수가 K인 램프에 흐르는 전류가 작을 때, 핀홀이 발생하는 유리관의 절연파괴 전기장의 세기는 약 3K kV/mm,이다. 이러한 절연파괴 전기장의 세기는 램프에 흐르는 전류가 커질수록 작아진다.

여러 가지 외부 전극층 재료를 사용한 형광램프의 전기적 및 광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lectrical and optical characteristics of single EEFL using different electrode materials)

  • 김수용;지석근;이오걸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6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878-881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전극재료로부터 빛의 밝기와 저항을 측정하였고 분석하였다. 외부전극의 새로운 재료와 공정기술은 램프제작에서 개선된 특성을 위해서 매우 중요하다. 본 실험에서는 외부전극을 형성하기 위한 다른 세가지 타입은 구리와 알루미늄 테이핑, 은 접착, 니켈과 구리의 무전해 도금 방법들이다. 밝기측정에서 램프유리위에 외부전극을 위한 니켈과 금플레이팅 방법에 의한 휘도의 결과를 나타내었고 또한 다른 전극재료를 사용한 방법에 의한 결과들과 비교하였다. 니켈과 금플레이팅 공정의 측정된 저항값은 휘도의 개선된 결과에도 불구하고 다소 더 높은 저항값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니켈과 니켈/금 도금방법은 가장 좋은 결과를 나타내었고 사전 표면 식각에 따른 약간의 다른 휘도를 나타내었다.

  • PDF

LCD-TV용 백라이트 광학시트의 휘도 정량화 (Luminance Normalization of Optical Sheets in a Backlight Unit for LCD-TVs)

  • 정종문;김정현;신명주;이미란;정재윤;정희석;김진선;강준길;홍병희;조광섭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424-432
    • /
    • 2007
  • 32인치 WXGA급 (해상도 1366$\times$768) LCD-TV용 백라이트를 구성하는 외부전극 형광램프 및 각 광학 부품들에 대한 휘도 특성을 조사하고, 광학시트들의 빛의 투과율을 계측하였다. 12등식과 18 등식의 백라이트에 대한 휘도 특성을 조사하였다. 휘도 균일도는 12등식 백라이트에서도 85 %의 휘도 균일도를 갖지만, 광학 부품들의 휘도 값과 백라이트의 효율은 18 등식의 백라이트에 비하여 낮다. 외부전극 형광램프 12 등식과 18 등식의 백라이트에 대하여 램프의 휘도를 100 %로 규격화하면, 확산판, 확산시트, 프리즘시트 (BEF) 및 편광시트 (DBEF)의 상대 휘도는 램프의 휘도 값과 무관하게 정량화된다. 광학 부품의 상대 휘도 값은 12등식은 18등식보다 낮다. 백라이트의 휘도 100 %에 대한 액정 패널의 투과도는 DBEF와 BEF를 사용한백라이트는 7.14 %, DBEF만을 사용하면 6.12 %, 그리고 BEF만을 사용하면 3.21 %이다. 본 실험에서 얻어진 광학 부품들의 상대 휘도의 정량화 데이터와 액정의 투과도는 백라이트 설계를 위한 기초 자료이다.

세관 양광주 방전에서 플라즈마 확산의 완전 해 (Exact Solutions of Plasma Diffusion in a Fine Tube Positive Column Discharge)

  • 김동준;정종문;김정현;황하청;정재윤;조윤희;임현교;구제환;최은하;조광섭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36-44
    • /
    • 2010
  • 관경이 수 mm인 세관 램프 내부에서 플라즈마의 확산을 조사하기 위하여 이극성(ambipolar) 확산방정식을 해하였다. 반경 방향의 확산에 의한 유리관 벽에서의 플라즈마 소멸 특성시간은 $\tau_r\;=\;(r_0/2.4)^2/D_a$로 주어진다. 반경 $r_0{\sim}1\;mm$이고 이극성 확산계수 $D_a{\sim}0.01\;m^2/s$ 이면, $\tau_r{\sim}17\;{\mu}s$이다. 이는 램프의 교류전원 구동에서 플라즈마를 유지하기 위한 구동 최소 주파수 ~30 kHz에 해당한다. 고전압이 인가되는 전극부에 발생한 고밀도의 플라즈마가 양광주로 확산되는 특성시간은 $\tau_z{\sim}0.1\;s$이다. 고밀도 플라즈마 경계에서의 시간에 대한 확산속도는 $t{\sim}10^{-6}\;s$일 때 $u_D{\sim}10^2\;m/s$이고, $t{\sim}10^{-3}\;s$이면 그 속도는 $u_D{\sim}1\;m/s$로 느려진다. 따라서 램프 길이 ~1 m에 대하여 전극부에서 생성된 고밀도 플라즈마가 양광주 전체로 확산되는 시간은 수 초가 걸린다.

유리관의 유전 특성이 외부전극 형광램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Glass Dielectric Property on the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s)

  • 신명주;정종문;김정현;김가을;이미란;유동근;구제환;홍병희;최은하;조광섭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330-337
    • /
    • 2007
  • 유전 장벽 방전이 특징인 외부전극 형광램프(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EEFL)에서 유리재의 유전 특성인 유전상수 K와 유전손실 tan ${\delta}$가 램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4 종류의 유리관을 사용하였다.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Borosilicate 유리재는 유전상수 $K=5.6{\sim}5.9$이고 유전 손실 tan ${\delta}=5.0{\times}10^{-3}{\sim}6.0{\times}10^{-3}$이다. Aluminosilicatae는 K=6.6이고 유전손실이 작은 tan ${\delta}=1{\times}10^{-4}$이다. Soda-lime 유리관은 유전상수가 큰 K=7.7이고, 유전 손실이 매우 큰 tan ${\delta}=1.37{\times}10^{-2}$이다. 유전 상수 K가 크면 외부전극 자체의 캐패시터를 크게 하여 방전 효율이 증가한다. 그러나 유전 손실이 크면 외부전극 자체의 전력 소모로 인하여 효율 저하와 핀홀 발생의 원인이 된다. 높은 유전상수 및 낮은 유전손실의 Aluminosilicate 외부전극 형광램프는 종래의 Borosilicate 외부전극 형광램프에 비하여 휘도와 효율이 $12{\sim}20%$ 증가하고, 핀홀에 매우 강하다. 유전상수와 유전손실이 큰 Soda-lime 외부전극 형광램프는 효율이 다소 낮고, 핀홀에도 매우 취약하다. 따라서 외부전극 형광램프는 유전상수 K가 크고 유전손실 tan ${\delta}$가 작은 유리관이 최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