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EA Assessment Model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4초

EA 성숙도 모형 개선 방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irections for Improving the EA Maturity Model)

  • 김성근;최원경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11권3호
    • /
    • pp.147-167
    • /
    • 2009
  • 최근 EA 성숙도모델의 개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현 모델의 한계점을 극복하고, 새롭게 진행되고 있는 EA 기반 국가정보화 정책의 변화를 반영하기 위함이다. 대부분의 EA 성숙도모델 개선 노력은 정책 노력의 일환으로 수행되다 보니 이론적 연구의 대상이 되지 못했다. 국내 일부 연구가 이론적 관점에서 다룬 게 전부였다. 그러나 이들 연구도 기존 모델과의 심층적 비교와 의사결정 요소의 체계화 노력이 부족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EA 성숙도 모델의 주요 의사결정 요소를 도출하고 이들 요소별로 대안을 분석하였다. 여기에 대한 전문가 의견을 토대로 EA 성숙도모델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공공부문 전사적 아키텍처 평가를 위한 성숙도 모델 (A Maturity Model to Assess the Enterprise Architecture in Government)

  • 서경석;이현정;정기원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21-32
    • /
    • 2006
  • 기관에 전사적 아키텍처(Enterprise Architecture, EA)를 도입하고 운영하는데 있어, 조직의 EA 업무 수행 능력을 평가하고, 개선하기 위해 어떤 노력을 해야 하는지 기준이 필요하다. 이러한 요구에 따라 조직의 EA 능력 진단과 개선사항 도출, 개선방안 제시, 향후 투자 방향을 결정하는데 참고가 되는 EA 성숙도 모델을 정의하였다. EA 성숙도 모델은 CMMI의 연속형 (continuous) 모델을 참고하여, EA 성숙도를 나타내는 5개의 단계와 EA평가를 위한 4개 평가영역의 15개 평가요소, 평가요소 별 성숙도 단계를 측정하기 위한 평가기준로 구성되어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성숙도 모델은 EA도입 및 정착에 주안점을 두었으며 범정부 차원의 기관 간 연계/통합으로 협업이 잘 될 수 있도록 정의하였다.

  • PDF

GQM 방법을 이용한 EA 평가모형 개발 프레임워크

  • 문성욱;홍사능
    • 한국경영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경영정보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11-116
    • /
    • 2007
  • 체계적인 정보화 투자 및 관리를 위한 전사적 아키텍처(EA)를 도입한 기관과 기업이 늘어남에 따라, EA 도입의 성과를 명확하게 평가해야 할 필요성도 높아지고 있다. EA를 도입한 나라의 약 36%에서 EA의 도입 현황과 성과를 측정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범정부 정보기술아키텍처 성숙도 평가모형을 개발하는 등, 다양한 접근 방법으로 EA 평가를 위한 방안을 연구하고 있다. 그러나 EA를 통해 추구하는 목적이 매우 다양하고, EA의 활용과 관리에 대한 표준체계가 없어 EA 평가모형의 적용 범위와 효용성은 매우 제한적이다. 본 연구는 조직의 EA 평가목적에 적합한 평가 대상 및 척도를 체계적으로 도출하기 위한 EA 평가모형 개발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프레임워크는 IEEE Std 1471의 아키텍처 표현 개념 프레임워크를 EA에 적용하여 EA 평가모형 체계를 구성하고, EA 내부와 외부 이해당사자의 관심사항을 토대로 GQM 기법을 적용하여 EA 평가의 대상인 관점(viewpoint)과 평가 척도(metric)를 도출한다. 제안된 프레임워크를 적용하면 기업 및 조직의 EA 이해당사자가 의도하는 목적이 반영된 EA 평가모형을 개발할 수 있다. 모형의 상세화와 더불어 프레임워크를 실무에 적용하기 위해서 필요한 객관적인 평가기준과 모형 개발과 적용을 지원하는 도구에 대한 연구가 향후 과제이다.

  • PDF

EA성과평가 모델의 설계 및 적용사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of EA Performance Evaluation Model and the Application Case)

  • 이석균;이영민;류성열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6D권3호
    • /
    • pp.395-406
    • /
    • 2009
  • 현재 정부 각 부처는 “정보시스템의 효율적 도입 및 운영 등에 관한 법률”에 의해 EA를 도입하여 운용하고 있으나 이의 평가 체계 및 지표는 제대로 갖춰져 있지 않다. 특히 EA의 성과평가를 위한 모델이 없을 뿐만 아니라 측정 할 수 있는 방법도 미흡하다. 본 연구에서는 EA성과평가를 위해 국내 범정부 성과참조모델과 미 연방 성과참조모델을 기반으로 8개의 평가 영역 및 17개의 평가지표를 도출하였다. 또한, 미 OMB 및 국내 범정부 EA성숙도 모델을 기반으로 8개의 평가 영역 및 10개의 평가지표를 도출하여, 이를 기반으로 EA 성과평가를 위한 업무, 고객, 프로세스, 인적자본 및 기술의 5개 영역으로 구성된 성과평가 모델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모델의 검증을 위해 3개 기관에 적용하여 각 기관의 EA 성과를 평가하였고, 평가 결과를 검증하기 위해 범정부 EA성숙도 모델의 성과평가 영역과도 비교 평가하였다. 또한, 제안한 성과평가모델의 측정지표를 기존의 EA성숙도 모델 및 성과참조모델과도 비교 분석하였다. 이러한 비교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제안한 성과평가모델을 검증하였다.

대안적 환경평가 시스템 연구: 통합적 의사결정을 위한 새로운 개념의 영향평가모형(APEMI IA MODEL)의 국내 적용방안 탐색 (A Study on the Alternative Environmental Assessment System in KOREA : Applying New Conceptual Model(APEMI IA MODEL) into Impact Assessment for Better Integrated Decision-Making)

  • 김임순;한상욱
    • 환경영향평가
    • /
    • 제14권4호
    • /
    • pp.179-193
    • /
    • 2005
  • As the world's attention turns to sustainability and the considerations of cumulative effects, the concept of Strategic Environmental Assessment(SEA) has become more significant and urgent and increasing number of countries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now undertake some forms of SEA. The term SEA, however, is variously defined and understood; generally it means a formal process of systematic analysis of the environmental effects on development policies, plans, programmes and other proposed strategic actions. This process extends the aims and principles of EIA upstream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beyond the project level in which major alternatives are still open. There is a shift toward more integrative approaches and greater use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EIA) and Strategic Environmental Assessment (SEA) as sustainability tools in cooperation with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EMS). Currently, Korea has EIA system and Prior Environmental Review System (PERS) which is different type of SEA as Environment Assessment (EA) system. APEMI IA MODEL integrated following three pillar(refer to attached figure.1) ; First pillar symbolized decision making cycle with planning process. Second pillar symbolized integrated assessment which tying SEA and EIA with specific impacts assessment(eg: social impact assessment, economic impact assessment, health impact assessment etc) in cooperation with EMS. Third pillar symbolized EA best practical procedure of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Impact Assessment(IAIA). Considering the above, we applied new conceptual model(APEMI IA MODEL) into Impact Assessment for better integrated decision-making in KOREA as an alternative IA system(IS IA MODEL A and B refer to attached figure 4, 5).

인식단계의 EA성숙도 측정을 위한 항목별 지침 (A Guidance for Maturity Model Assessment of Enterprise Architecture In the Awareness phase)

  • 하지연;서경석;이현정;정기원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511-514
    • /
    • 2006
  • 장기간동안 여러 기관의 협력을 통해 이루어지는 전사적 아키텍처(Enterprise Architecture, EA)의 특성상, 기관에서 EA를 도입부터 운영 및 정착, 그리고 고도화시키기 위해서는, 조직의 EA업무 수행 능력을 평가하고 개선하기 위한 적합한 EA기준이 필요하다. 하지만 국내 EA에 대한 연구는 아직 도입단계이기 때문에, EA조직의 수준측정을 위한 EA성숙도모델에 대한 연구는 활발하지 않다. 이러한 상황에 따라, EA조직의 수준측정을 위한 EA성숙도모델에 대한 연구는 활발하지 않다. 이러한 상황에 따라, EA성숙도 모델을 정의하고, 측정을 위한 평가항목과 해당 지침을 제시하고자 한다. EA성숙도 모델은 CMMI의 연속형 모델을 참고하여, EA성숙도 모델의 선진사례 분석과 정부 '정보시스템의 효율적 도입 및 운영 등에 관한 법률'을 기반으로 하여 총 4개영역 15개평가요소를 정의하였다. 성숙도 단계는 인식부터 최적화 단계까지 총 5단계로 정의하였으며, 이 중에서 첫 번째 단계인 인식단계의 평가항복별 지침을 제시하였다. 이렇게 각 항목에 대한 측정 대상자들의 이해를 높임으로써 좀 더 정확한 성숙도 평가 결과와 이를 기반으로 EA고도화를 위한 좋은 기준을 제시하고자 정의하였다.

  • PDF

도로와의 거리에 따른 도시 근린공원의 음이온 농도 분포차이 - 서울시 양재 시민의 숲을 대상으로 - (Distribution of Negative Air Ion Concentration in Urban Neighborhood Park by Distance to Road - A Case of Yangjae Citizen's Forest, Seoul -)

  • 이현진;이동근;김보미
    • 환경영향평가
    • /
    • 제27권2호
    • /
    • pp.152-169
    • /
    • 2018
  • 인간의 건강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음이온을 평가인자로 설정하고, 서울시 서초구 양재 시민의 숲을 대상으로 대기 중 음이온 농도 분포차이에 미치는 인접도로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대기 중 음이온, 양이온 농도와 대기온도, 상대습도, 풍속의 기상요소, 녹지용적계수(GVZ), 고속도로 및 일반도로로부터의 거리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고속도로 및 일반도로와 인접한 도로의 영향권에서는 평균 대기 중 음이온 농도가 $206ea/cm^3$, 대기 중 양이온 농도가 $416ea/cm^3$ 이었으며, 공원 내부지역인 도로의 비영향권에서는 평균 대기 중 음이온이 $339ea/cm^3$, 대기 중 양이온이 $229ea/cm^3$로 도로의 영향권 여부에 따른 대기 중 음이온 농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영향요인들과의 상관분석을 종합하여 음이온 농도모델을 제시하였으며 도로의 영향 요소를 추가함으로써 모델의 설명력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Biotic ligand model에 근거한 중금속 오염지역의 Pb 및 Cd 위해오염도 평가기법 개발 (Assessment of Risk Based Pollution Level of Pb and Cd in Metal Contaminated Soils Using Biotic Ligand Model)

  • 안진성;정슬기;문희선;남경필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6권4호
    • /
    • pp.23-30
    • /
    • 2011
  • Risk based pollution level of Pb and Cd in metal contaminated soils depending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oil in a target site was assessed using biotic ligand model. Heavy metal activity in soil solution defined as exposure activity (EA) was assumed to be toxic to Vibrio fischeri and soil organisms. Predicted effective activity (PEA) determined by biotic ligand model was compared to EA value to calculate risk quotient. Field contaminated soils (n = 10) were collected from a formes area and their risk based pollution levels were assessed in the present study using the calculated risk quotient. Concentrations of Pb determined by aqua regia were 295, 258, and 268 mg/kg in B, H and J points and concentrations of Cd were 4.73 and 6.36 mg/kg in G and I points, respectively. These points exceeded the current soil conservation standards. However, risk based pollution levels of the ten points were not able to be calculated because concentrations of Pb and Cd in soil solution were smaller than detection limits or one (i.e., non toxic). It was because heavy metal activity in soil solution was dominant toxicological form to organisms, not a total heavy metal concentration in soil. In addition, heavy metal toxicity was decreased by competition effect of major cations and formation of complex with dissolved organic carbon in soil solution.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consider site-specific factors affecting bioavailability and toxicity for estimating reliable risk of Pb and Cd.

다변량분석을 이용한 터널에서의 간편 RMR에 관한 연구 (A Study of Simple Rock Mass Rating for Tunnel Using Multivariate Analysis)

  • 위용곤;노상림;윤지선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0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493-500
    • /
    • 2000
  • Rock Mass Rating has been widely applied to the underground tunnel excavation and many other practical problems in rock engineering. However, Rock Mass Rating is hard to make out because it is difficult to estimate each valuation items through all kind of field situations and items of RMR have interdependence. So the experts of tunnel assessment have problems with rating rock mass. In this study, using multivariate analysis based on domestic data(1011EA) of water conveyance tunnel, we presented rock mass rating system which is objective and easy to use. The constituents of RMR are decided to RQD, condition of discontinuities, groundwater conditions, orientation of discontinuities, intact rock strength, spacing of discontinuities in important order. In each step, we proposed the best multiple regression model for RMR system. And using data which have been collected at other site, we examined that presented multiple regression model was useful.

  • PDF

Glass Dissolution Rates From MCC-1 and Flow-Through Tests

  • Jeong, Seung-Young
    •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2004년도 학술논문집
    • /
    • pp.257-258
    • /
    • 2004
  • The dose from radionuclides released from high-level radioactive waste (HLW) glasses as they corrode must be taken into account when assessing the performance of a disposal system. In the performance assessment (PA) calculations conducted for the proposed Yucca Mountain, Nevada, disposal system, the release of radionuclides is conservatively assumed to occur at the same rate the glass matrix dissolves. A simple model was developed to calculate the glass dissolution rate of HLW glasses in these PA calculations [1]. For the PA calculations that were conducted for Site Recommendation, it was necessary to identify ranges of parameter values that bounded the dissolution rates of the wide range of HLW glass compositions that will be disposed. The values and ranges of the model parameters for the pH and temperature dependencies were extracted from the results of SPFT, static leach tests, and Soxhlet tests available in the literature. Static leach tests were conducted with a range of glass compositions to measure values for the glass composition parameter. The glass dissolution rate depends on temperature, pH, and the compositions of the glass and solution, The dissolution rate is calculated using Eq. 1: $rate{\;}={\;}k_{o}10^{(ph){\eta})}{\cdot}e^{(-Ea/RT)}{\cdot}(1-Q/K){\;}+{\;}k_{long}$ where $k_{0},\;{\eta}$ and Eaare the parameters for glass composition, pH, $\eta$ and temperature dependence, respectively, and R is the gas constant. The term (1-Q/K) is the affinity term, where Q is the ion activity product of the solution and K is the pseudo-equilibrium constant for the glass. Values of the parameters $k_{0},\;{\eta}\;and\;E_{a}$ are the parameters for glass composition, pH, and temperature dependence, respectively, and R is the gas constant. The term (1-Q/C) is the affinity term, where Q is the ion activity product of the solution and K is the pseudo-equilibrium constant for the glass. Values of the parameters $k_0$, and Ea are determined under test conditions where the value of Q is maintained near zero, so that the value of the affinity term remains near 1. The dissolution rate under conditions in which the value of the affinity term is near 1 is referred to as the forward rate. This is the highest dissolution rate that can occur at a particular pH and temperature. The value of the parameter K is determined from experiments in which the value of the ion activity product approaches the value of K. This results in a decrease in the value of the affinity term and the dissolution rate. The highly dilute solutions required to measure the forward rate and extract values for $k_0$, $\eta$, and Ea can be maintained by conducting dynamic tests in which the test solution is removed from the reaction cell and replaced with fresh solution. In the single-pass flow-through (PFT) test method, this is done by continuously pumping the test solution through the reaction cell. Alternatively, static tests can be conducted with sufficient solution volume that the solution concentrations of dissolved glass components do not increase significantly during the test. Both the SPFT and static tests can ve conducted for a wide range of pH values and temperatures. Both static and SPFt tests have short-comings. the SPFT test requires analysis of several solutions (typically 6-10) at each of several flow rates to determine the glass dissolution rate at each pH and temperature. As will be shown, the rate measured in an SPFt test depends on the solution flow rate. The solutions in static tests will eventually become concentrated enough to affect the dissolution rate. In both the SPFt and static test methods. a compromise is required between the need to minimize the effects of dissolved components on the dissolution rate and the need to attain solution concentrations that are high enough to analyze. In the paper, we compare the results of static leach tests and SPFT tests conducted with simple 5-component glass to confirm the equivalence of SPFT tests and static tests conducted with pH buffer solutions. Tests were conducted over the range pH values that are most relevant for waste glass disssolution in a disposal system. The glass and temperature used in the tests were selected to allow direct comparison with SPFT tests conducted previously. The ability to measure parameter values with more than one test method and an understanding of how the rate measured in each test is affected by various test parameters provides added confidence to the measured values. The dissolution rate of a simple 5-component glass was measured at pH values of 6.2, 8.3, and 9.6 and $70^{\circ}C$ using static tests and single-pass flow-through (SPFT) tests. Similar rates were measured with the two methods. However, the measured rates are about 10X higher than the rates measured previously for a glass having the same composition using an SPFT test method. Differences are attributed to effects of the solution flow rate on the glass dissolution reate and how the specific surface area of crushed glass is estimated. This comparison indicates the need to standardize the SPFT test procedur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