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2F

검색결과 3,535건 처리시간 0.029초

NOTES ON A NON-ASSOCIATIVE ALGEBRAS WITH EXPONENTIAL FUNCTIONS I

  • CHOI, SEUL HEE
    • 호남수학학술지
    • /
    • 제28권2호
    • /
    • pp.197-204
    • /
    • 2006
  • For the evaluation algebra $F[e^{{\pm}{\chi}}]_M$, if M={$\partial$}, the automorphism group $Aut_{non}$($F[e^{{\pm}{\chi}}]_M$) and $Der_{non}$($F[e^{{\pm}{\chi}}]_M$) of the evaluation algebra $F[e^{{\pm}{\chi}}]_M$ are found in the paper [12]. For M={${\partial}^n$}, we find $Aut_{non}$($F[e^{{\pm}{\chi}}]_M$) and $Der_{non}$($F[e^{{\pm}{\chi}}]_M$) of the evaluation algebra $F[e^{{\pm}{\chi}}]_M$ in this paper. We show that a derivation of some non-associative algebra is not inner.

  • PDF

선형 요소에 의해 생성된 부분그룹의 크기에 관한 연구 (On The Size of The Subgroup Generated by Linear Factors)

  • 취쳉;황선태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5권6호
    • /
    • pp.27-33
    • /
    • 2008
  • 차수가 h인 다항식 ${\hbar}(x){\in}F_q[x]$에서, $x-s_1,\;x-s_2,\;{\cdots},\;x-s_n$에 의해 생성된 $\(F_q[x]/({\hbar(x))\)*$의 multiplicative subgroup의 크기를 결정하는 것은 대단히 중요한 과제이다. 여기서 $\{s_1,\;s_2,\;{\cdots},\;s_n\}{\sebseteq}F_q$이고 모든 i 에 대해서, ${\hbar}(x){\neq}0$이다. 지금까지 알려진 asymptotic lower bound는 $(rh)^{O(1)}\(2er+O(\frac{1}{r})\)^h$이며, 여기서 $r=\frac{n}{h}$이고 e(=2.718...)는 natural logarithm의 기저이다. 본 논문에서는, coding theory 문제와 연계해서 더 낳은 lower bound인 $(rh)^{O(1)}\(2er+{\frac{e}{2}}{\log}r-{\frac{e}{2}}{\log}{\frac{e}{2}}+O{(\frac{{\log}^2r}{r})}\)^h$를 증명하고자 한다. 여기서 log는natural logarithm을 나타내며, 또한 이방식의 제약점에 대해서도 논의한다.

일반화된 이진 Bent 시퀀스 (Generalized Binary Bent Sequences)

  • 길강미;노종선;신동준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7권1A호
    • /
    • pp.35-41
    • /
    • 2002
  • 본 논문에서 Olsen, Scholtz, Welch가 소개한 이진 bent 시퀀스군을 일반화시켜 최적의 상관 특성과 균형 특성을 갖는 일반화된 이진 bent 시퀀스를 생성하였다. 변형된 trace 변환이 정의되고 이로부터 ${F_{2^n}}$에서 중간체 ${F_{2^e}}$로의 선형함수를 사용하였다. 여기서 e|n이다. 만일 e=1이면 새로운 방법은 기존의 이진 bent 시퀀스의 경우와 같아진다. 또한 새로운 방법이 최적의 상관 특성과 균형 특성을 갖는 간단한 이진 시퀀스군을 생성시킨다는 것을 보여주고 몇 가지 예가 주어진다.

First Order Differential Subordinations and Starlikeness of Analytic Maps in the Unit Disc

  • Singh, Sukhjit;Gupta, Sushma
    • Kyungpook Mathematical Journal
    • /
    • 제45권3호
    • /
    • pp.395-404
    • /
    • 2005
  • Let α be a complex number with 𝕽α > 0. Let the functions f and g be analytic in the unit disc E = {z : |z| < 1} and normalized by the conditions f(0) = g(0) = 0, f'(0) = g'(0) = 1. In the present article, we study the differential subordinations of the forms $${\alpha}{\frac{z^2f^{{\prime}{\prime}}(z)}{f(z)}}+{\frac{zf^{\prime}(z)}{f(z)}}{\prec}{\alpha}{\frac{z^2g^{{\prime}{\prime}}(z)}{g(z)}}+{\frac{zg^{\prime}(z)}{g(z)}},\;z{\in}E,$$ and $${\frac{z^2f^{{\prime}{\prime}}(z)}{f(z)}}{\prec}{\frac{z^2g^{{\prime}{\prime}}(z)}{g(z)}},\;z{\in}E.$$ As consequences, we obtain a number of sufficient conditions for star likeness of analytic maps in the unit disc. Here, the symbol ' ${\prec}$ ' stands for subordination

  • PDF

k-PRIME CORDIAL GRAPHS

  • PONRAJ, R.;SINGH, RAJPAL;KALA, R.;NARAYANAN, S. SATHISH
    • Journal of applied mathematics & informatics
    • /
    • 제34권3_4호
    • /
    • pp.227-237
    • /
    • 2016
  • In this paper we introduce a new graph labeling called k-prime cordial labeling. Let G be a (p, q) graph and 2 ≤ p ≤ k. Let f : V (G) → {1, 2, . . . , k} be a map. For each edge uv, assign the label gcd (f(u), f(v)). f is called a k-prime cordial labeling of G if |vf (i) − vf (j)| ≤ 1, i, j ∈ {1, 2, . . . , k} and |ef (0) − ef (1)| ≤ 1 where vf (x) denotes the number of vertices labeled with x, ef (1) and ef (0) respectively denote the number of edges labeled with 1 and not labeled with 1. A graph with a k-prime cordial labeling is called a k-prime cordial graph.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the k-prime cordial labeling behavior of a star and we have proved that every graph is a subgraph of a k-prime cordial graph. Also we investigate the 3-prime cordial labeling behavior of path, cycle, complete graph, wheel, comb and some more standard graphs.

연부조직 육종에서 면역조직화학적 예후인자 (Immunohistochemical Prognostic Factors in Soft Tissue Sarcoma)

  • 최경운;김정일;문남훈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06-118
    • /
    • 2008
  • 목적: 세포주기의 조절곤란은 종양의 발생과 진행에 영향을 미친다. 몇가지 알려진 연부조직 육종에 대한 면역 조직화학적 예후인자 들이 있지만 상반된 연구도 있고 G1/S phase관계되는 인자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상태이다. 따라서 저자는 연부조직 육종의 재발 및 전이와 관계된 G1/S phase 세포조절주기 단백의 면역화학적 예후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8년 1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연부조직 육종으로 진단된 환자 중 최소한 1년이상 추시관찰이 가능하고 파라핀 블록의 보존상태가 비교적 양호한 43예의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지방육종 15예, 악성 섬유성조직구증 13예, 횡문근육종 5예, 활막육종 5예, 평활근육종 3예, 섬유육종이 2예였다. 모든 환자의 조직은 전 절제술로 제거된 조직을 대상으로 Cyclin D1, Cyclin E, CDK4, CDK, p16, p27, Rb, E2F-1, p53, Ki-67 등의 면역 조직화학적 발현을 조직 microarray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하고 환자의 국소 재발 및 전이에 따른 예후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국소 재발은 8예(19%)에서 일어났으며 이것은 Cyclin E(p=0.024), E2F-1(p=0.046)의 발현과 연관이 있었다. 전이는 16예(37%)에서 일어났으며 CDK4의 증가와 연관이 있었다(p=0.031). 결론: Cyclin E와 E2F-1이 연부조직 육종의 국소 재발과 관련있는 예후를 제공해주었고, CDK4가 전이를 예측할 수 있는 독립적인 예후를 제공해주었다. 따라서 조직 검사시 이들 표식자들의 적절한 사용이 환자의 예후를 예측하고 치료의 범위를 결정 짖는데 중요한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PDF

RANDOMLY ORTHOGONAL FACTORIZATIONS OF (0,mf - (m - 1)r)-GRAPHS

  • Zhou, Sizhong;Zong, Minggang
    • 대한수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1613-1622
    • /
    • 2008
  • Let G be a graph with vertex set V(G) and edge set E(G), and let g, f be two nonnegative integer-valued functions defined on V(G) such that $g(x)\;{\leq}\;f(x)$ for every vertex x of V(G). We use $d_G(x)$ to denote the degree of a vertex x of G. A (g, f)-factor of G is a spanning subgraph F of G such that $g(x)\;{\leq}\;d_F(x)\;{\leq}\;f(x)$ for every vertex x of V(F). In particular, G is called a (g, f)-graph if G itself is a (g, f)-factor. A (g, f)-factorization of G is a partition of E(G) into edge-disjoint (g, f)-factors. Let F = {$F_1$, $F_2$, ..., $F_m$} be a factorization of G and H be a subgraph of G with mr edges. If $F_i$, $1\;{\leq}\;i\;{\leq}\;m$, has exactly r edges in common with H, we say that F is r-orthogonal to H. If for any partition {$A_1$, $A_2$, ..., $A_m$} of E(H) with $|A_i|=r$ there is a (g, f)-factorization F = {$F_1$, $F_2$, ..., $F_m$} of G such that $A_i\;{\subseteq}E(F_i)$, $1\;{\leq}\;i\;{\leq}\;m$, then we say that G has (g, f)-factorizations randomly r-orthogonal to H. In this paper it is proved that every (0, mf - (m - 1)r)-graph has (0, f)-factorizations randomly r-orthogonal to any given subgraph with mr edges if $f(x)\;{\geq}\;3r\;-\;1$ for any $x\;{\in}\;V(G)$.

On regular groups over their endomorphism rings

  • Chung, Jae-Myung
    • 대한수학회논문집
    • /
    • 제11권2호
    • /
    • pp.311-314
    • /
    • 1996
  • Let G be an abelian group of finite rink and E be the endomorphism ring of G. Then G is a left E-module by defining $f\cdota = f(a)$ for $f \in E$ and $a \in G$. In this case a condition for an E-module G to be regular is given.

  • PDF

위상이동 방법에 의한 다결정 $Ir/H_2SO_4$ 수성 전해질 계면에서 과전위 수소흡착에 관한 해석 (An Analysis on the Over-Potentially Deposited Hydrogen at the Polycrystalline $Ir/H_2SO_4$ Aqueous Electrolyte Interface Using the Phase-Shift Method)

  • 천장호;문경현
    • 전기화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09-114
    • /
    • 2000
  • 다결정 $Ir/H_2SO_4$수성 전해질 계면에서 중간주파수 구간의 위상이동 변화와 Langmuir흡착등온식 사이의 관계를 교류임피던스 방법 즉 위상이동 방법을 이용하여 연구 조사하였다. 간소화된 계면 등가회로는 전해질저항(Rs), Faraday저항$(R_F)$, 흡착유사용량$(C_\phi)$ 등가회로 요소$(C_P)$의 직렬접속으로 구성된다. 음전위(E)에 대한 위상이동$(-\phi)$과 표면피복율$(\theta)$ 변화율$[\Delta(-\phi)/{\Delta}E,\;{\Delta}{\theta}/{\Delta}E]$을 비교 및 제시하였다. 지연되는 위상이동$(-\phi)$은 음전위(E) 및 주파수(f)에 따르며, $\phi=tan^{-1}[1/2{\pi}f(R_s+R_F)C_P]$이다. 중간주파수(1 Hz)에서 위상이동 변화$(-\phi\;vs.\;E)$는 Langmuir흡착등온식 $(\theta\;vs.\;E)$의 결정에 적용할 수 있는 실험적인 방법이다. 다결정 Ir/0.1 M $H_2SO_4$ 전해질 계면에서 수소의 흡착평형상수(K)와 흡착표준자유에너지 $({\Delta}G_{ads})$는 각각 $2.0\times10^{-4}$와 21.1kJ/mol이며 과전위 수소흡착(OPD H)에 기인한다.

DIFFERENTIAL EQUATIONS RELATED TO FAMILY A

  • Li, Ping;Meng, Yong
    • 대한수학회보
    • /
    • 제48권2호
    • /
    • pp.247-260
    • /
    • 2011
  • Let h be a meromorphic function with few poles and zeros. By Nevanlinna's value distribution theory we prove some new properties on the polynomials in h with the coefficients being small functions of h. We prove that if f is a meromorphic function and if $f^m$ is identically a polynomial in h with the constant term not vanish identically, then f is a polynomial in h. As an application, we are able to find the entire solutions of the differential equation of the type $$f^n+P(f)=be^{sz}+Q(e^z)$$, where P(f) is a differential polynomial in f of degree at most n-1, and Q($e^z$) is a polynomial in $e^z$ of degree k $\leqslant$ max {n-1, s(n-1)/n} with small functions of $e^z$ as its coeffici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