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Isolation

검색결과 837건 처리시간 0.022초

돼지에서 브루셀라병 항체조사 및 Yersinia enterocolitica O:9의 분리 (Seroprevalence of Brucellosis and Isolation of Yersinia enterocolitica O:9 in Pigs)

  • 정병열;변재원;김하영;신동호;박최규;정석찬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697-702
    • /
    • 2010
  • 2007년 전국 10개의 일반 양돈장에서 다양한 일령의 돼지 578두를 채혈하여 Rose Bengal test 진단액으로 스크리닝을 하고, 양성 혈청에 대해서는 시험관응집반응과 C-ELISA를 적용하여 브루셀라병 항체 분포도 양상과 브루셀라 교차반응 유발균의 분리를 시도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돼지에서 브루셀라병 Rose Bengal 스크리닝 결과, 10주령 미만(양성률; 14.6%, 95% CI; 10.1-19.1)자돈보다 10주령에서 17주령 미만(양성률; 31.3%, 95% CI; 22.8-39.8)과 17주령 이상(양성률; 30.4%, 95% CI; 34.3-36.4)의 돼지에서 양성률이 유의성 있게 높았다(p<0.05). 따라서 검사돈 중 139두 (24.0%)에서 Rose Bengal test 양성반응이 나타났다. 양돈장별 Rose Bengal test 양성률 조사에서 6개 양돈장이 10% 미만의 양성률을 보였고, 2개 양돈장에서는 70% 이상의 높은 양성률이 관찰되었다. Rose Bengal test 양성 혈청 139건을 시험관응집반응과 C-ELISA에 적용한 결과, 시험관응집반응에서 100배 이상의 양성이 48건(34.5%)이었으나 C-ELISA에서는 전 두수 음성으로 나타나 돼지 혈청에 대해서는 시험관응집반응 성적과 C-ELISA 성적에 많은 차이가 있었다. 시험관응집반응에서 높은 항체가를 보인 돼지의 직장 swab 시료(n=26)에서 브루셀라 균과 교차반응을 유발하는 균종에 대해 균분리를 실시한 결과 E. coli O157:H7, Salmonella N group은 분리되지 않았으나 Y. enterocolitica O:9은 7건(26.9%)이 분리되었다.

위성 DMB 중계기용 Cavity-Backed슬롯 배열 안테나 (Cavity-Backed Slot Array Antenna for a Repeater System of a Satellit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 정희철;이학용;정병운;강기조;박면주;이병제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366-372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2,630\;\cal{MHz}\~2,655\;\cal{MHz\$의 위성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지상 중계기 시스템에 적합한 낮은 부엽레벨과 높은 전후방 비를 갖는 슬롯배열 안테나를 제안하였다. 중계기용 안테나는 시스템의 특성상 고이득과 시스템간의 신호 간섭을 줄이기 위해 충분한 격리도가 확보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안테나의 부엽레벨을 억제시키고, 전후방 비는 증대시켜야 한다. 제안된 안테나는 도파관 구조의 직접급전이 가능한 CBSA(Cavity-Backed Slot Array) 안테나이다. 일반적인 마이크로 스트립 급전라인을 이용한 구조와는 달리 유전체 손실이나 급전라인의 손실이 없는 공기를 매질로 하므로, 고출력에 적합하며, 고효율을 가진다. 또한 tapered 배열 방식과 최적화된 수직 반사판을 이용하여 부엽레벨 및 전후방 비를 개선하고 이득을 증대시켰다. 제작 및 측정을 통하여 부엽레벨은 수평 및 수직면에서 각각 $-33.24\;\cal{dB}$ 이하, $-35.78\;\cal{dB}$ 이하를 얻었고 전후방비는 $37.84\;\cal{dB}$ 이상, 이득은 전 대역에서 $17\;\cal{dBi}$ 이상을 얻었다.

산수유의 용매분획별 항균활성 (Antimicrobial Activity of Solvent Fraction from Cornus officianalis)

  • 김용두;김황곤;김경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829-832
    • /
    • 2003
  • 다양한 기능성을 갖는 산수유를 대상으로 새로운 식품개발 및 천연 보존료 개발의 일환으로 물, 에탄올, 에칠아세테이트로 추출한 항균활성 물질을 몇종의 병원균과 식중독균 식품과 관련이 있는 세균, 젖산균 및 효모 등 10개 균주에 대하여 항균활성 검색을 하였으며, 항균력 이 강한 산수유 에탄올 추출물을 용매 계통분획하여 각 분획별 항균활성을 조사하였다. 또한 에탄을 추출물의 최소저해농도, 추출물에 함유된 항균성물질의 열안정성 pH등을 조사하였다. 산수유 과육과 씨 추출물의 항균활성은 에탄을 추출물과 물 추출물이 10균주중 세균에 대하여 항균활성이 강하였으나, 젖산균 및 효모에 대해서는 항균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산수유의 에탄올 추출물을 핵산, 디에칠에테르, 에칠아세테이트 및 물로 용매계통분획하여 얻은 각 분획물의 항균활성은 에칠아세테이트와 물층에서 강한 항균활성을 보였고 균주별로 일반세균은 항균활성이 나타났으며, 효모와 젖산균에서는 항균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산수유 과육과 씨의 에탄올 추출물의 최소저해농도는 세균이 0.25 mg/mL이었고, 효모와 젖산균 이 2 mg/mL이었다. 산수유의 과육 에탄을 추출물 농도의 영향은 B. subtilis는 0.25 mg/mL 이하의 농도에서는 균 증식이 증가되었으나 0.5 mg/mL 농도에서는 억제되었다. E. coli는 0.25 mg/mL이하의 농도에서는 배양 16시간까지 균 증식이 억제되다가 그 이후 서서히 증가되었다 산수유의 에탄을 추출물에 함유되어 있는 항균활성 물질은 121$^{\circ}C$에서 15분간 가열한 후에도 그 활성이 유지된 것으로 보아 열에 안정하였으며, pH의 변화에도 항균활성의 변화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와 돼지유래 Salmonella속 균의 혈청형 및 약제감수성 (Serotype and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of Salmonella spp. isolated from pigs and cattle)

  • 이우원;정병열;이강록;이동수;김용환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49-59
    • /
    • 2009
  • At the present study, it was aimed to explore the states of antimicrobial resistant Salmonella spp. isolates from 3,850 pigs (2,732 ileocecocolic lymphnodes and 1,118 cecal contents) and 1,764 cattle (965 cecal lymphnodes and 799 cecal contents) slaughtered in Busan province from December 2000 to November 2001. Among 5,614 samples, 457 of Salmonella spp. were isolated from pig lymphnodes (13.5%), pig cecal contents (4.4%), cattle lymphnodes (3.5%) and cattle cecal contents (0.5%). Salmonella spp. were showed different isolation ratio, that was 10.8% in summer, 9.0% in autumn, 8.4% in spring and 5.0% in winter. As a result of serotyping, B group (65.4%) were identified as the most common in pigs and cattle, in order of $C_1$ (14.0%), $D_1$ (5.5%), $C_2$ (4.2%), $E_1$ (4.2%) and L (3.5%). 34 serotypes were found, among them, Salmonella Typhimurium (S. Typhimurium) (21.0%) was the most common serotype from pigs and cattle. The major serotypes were in order of S. Derby (15.3%), S. Schwarzengrund (14.7%), S. Typhimurium var Copenhagen (9.2%), S. Mbandaka (5.7%), S. Enteritidis (5.5%) and S. Ruiru (3.5%). The most common serotype was S. Typhimurium in pigs, and S. Ruiru in cattle. S. Ruiru was firstly isolated from pigs and cattle in Korea. In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test, all the isolates were demonstrated susceptibility to norfloxacin and ofloxacin. But the isolates were showed resistance other antibiotics in order of doxycycline (68.3%), tetracycline (67.8%), penicillin (54.5%) and streptomycin (52.5%). S. Typhimurium were exhibited resistance to ampicillin (34.8%), chloramphenicol (36.2%), streptomycin (94.9%), sulfamethoxazole/trimethoprim (34.8%) and tetracycline (97.8%). There were 53 strains (38.4%) which had multi drug resistant (MDR) isolates, resistant to more than 6 antimicrobial agents. The most common resistance patterns of MDR isolates were ampicillin, chloramphenicol, carbenicillin, doxycycline, nalidixic acid, penicillin, streptomycin, sulfamethoxazole/trimethoprim and tetracycline (ACCbDNaPSSuT).

생리활성분획 추적방법을 통한 오미자 추출물의 항염증 활성 분석 (Activity-guided Screening of Anti-inflammatory Compounds from the Hexane Extracts of Schisandra chinensis Fruit)

  • 최희정;최영환;백선용;김봉선;안순철;이문수;윤식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311-318
    • /
    • 2013
  • 예로부터 한방이나 민간요법에서 다양한 약리효능을 가진 약제로 알려져 있는 오미자 열매로부터 항염증 활성을 갖는 유용한 물질을 동정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오미자의 hexane 추출물로부터 38개의 분획물을 분리한 다음 각 분획의 항염증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오미자 분획물 중 생리활성이 높은 SCKH1을 선택하여 활성분획 추적방법을 통해 SCKH1PAIBPB을 분리하였다. SCKH1PAIBPB는 VCAM-1, MCP-1, IL-6 및 IL-8의 발현을 감소시키며, 혈관내피세포와 단핵구 사이의 부착능을 억제시킨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규명된 오미자 분획물 및 SCKH1PAIBPB의 항염증효과 뿐만 아니라 혈관내피세포 증식 및 생존능 촉진작용을 응용하여, 다양한 허혈성질환 뿐만 아니라 염중성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내열성 한천분해효소를 생산하는 해양세균의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Marine Bacterium Producing Thermotolerant Agarase)

  • 박근태;이동근;김남영;이어진;정종근;이재화;허문수;이정현;김상진;이상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884-888
    • /
    • 2005
  • 제주도 동북해역의 해수에서 한천분해활성을 보어는 해양성 세균을 분리하였으며 16S rDNA유전자 염기서열분석과 형태학적, 배양적 및 생화학적 특징을 조사하여 해양기원의 Agarivorans 속에 속하는 균주임을 확인하고 Agarivorans sp. JA-1으로 명명하였다. Agarivorans sp. JA-1이 생성하는 한천 분해효소(agarase)는 한천의 존재유무에 상관없이 발현되며 성장의존성인 것으로 확인되었고 효소활성을 위한 최적 pH는 pH 8.04 (50 mM glycine NaOH 완충용액)이고 최적 온도는 $40^{\circ}C$로 나타났다. 한천분해효소는 기능성올리고당 생산이 가능한 베타-한천분해효소이며 내열성을 보여 $60^{\circ}C$까지 $80\%$ 이상 그리고 $80^{\circ}C$까지 $70\%$의 잔존활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리한 Agarivorans sp. JA-1 균주가 나타내는 한천분해효소를 이용하여 $40^{\circ}C$ 이상에서 액체상태로 있는 한천을 이용한 기능성올리고당 생산에 유용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우량질소고정균(優良窒素固定菌)의 탐색분리(探索分離) 및 생리적(生理的) 특성(特性) (Isolation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Rhizobia with Good Nitrogen Fixation Ability)

  • 박우철;이광희;김진호;이인구;조진기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5권
    • /
    • pp.40-51
    • /
    • 1987
  • 광교(光敎)를 비롯한 12개품종(個品種)의 대두근류(大豆根瘤)로부터 탐색분리(探索分離)한 질소고정균(窒素固定菌)의 생리적(生理的) 특성(特性) 및 숙주작물(宿主作物)과의 접종친화성(接種親和性)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YMA배지(培地)에서 자란 질소고정균(窒素固定菌)의 색상(色相)은 백색상(白色相), 반투명색상(半透明色相), 투명색상(透明色相)이 각각(各各) 60%, 30%, 10%였으며 Litmus milk 반응(反應)은 alkali, acid serum, alkali serum, acid가 각각(各各) 51%, 29%, 9%, 11%로 나타났다. 2. 우량질소고정균(優良窒素固定菌)의 YM배지(培地)에서의 생육속도(生育速度) 및 pH의 변화(變化)는 S 022, S 096이 생육속도(生育速度)가 느리고, alkali를 생성(生成)하였으며 S 080, S 090, S 118은생육속도(生育速度)가 빠르고 산(酸)을 생성(生成)하였다. 3. YM배지(培地)의 초기(初期) pH가 6.0~7.0의 범위(範圍)에서 Rhizobia의 생육(生育)이 가장 좋았다. 4. 질소원(窒素源)으로서 glutamine, asparagine, allantion 등(等)은 Rhizobia의 생육(生育)을 촉진(促進)시켰다. 5. 분리(分離)한 균주(菌株) 전부(全部)가 대두(大豆)에 근류(根瘤)를 형성(形成)시켰으며, 우량질소고정균주(優良窒素固定菌株)는 그중 색상(色相)이 백색(白色)이고 colony가 소형(小型)이며 질산환원력(窒酸還元力)이 있고 아질산환원력(亞窒酸還元力)이 없으나 비교적(比較的) 높은 질소고정력(窒素固定力)을 나타냈다. 6. 동일균주(同一菌株)라도 숙주작물(宿主作物)의 친화성(親和性)에 따라서 질소고정능력(窒素固定能力)에 차이(差異)가 있었으며, 질소고정능력(窒素固定能力)이 없는 무효근류(無效根瘤)를 형성(形成)하는 균주(菌株)도 있었다.

  • PDF

Compounds Obtained from Sida acuta with the Potential to Induce Quinone Reductase and to Inhibit 7,12-Dimethylbenz-[a]anthracene-Induced Preneoplastic Lesions in a Mouse Mammary Organ Culture Model

  • Jang, Dae-Sik;Park, Eun-Jung;Kang, Young-Hwa;Su, Bao-Ning;Hawthorne, Michael-E.;Vigo, Jose-Schunke;Graham, James-G.;Cabieses, Fernando;Fong, Harry H.S.;Mehta, Rajendra-G.;Pezzuto, John-M.;Kinghorn, A.-Douglas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6권8호
    • /
    • pp.585-590
    • /
    • 2003
  • Activity-guided fractionation of the EtOAc-soluble extract of the whole plants of Sida acuta using a bioassay based on the induction of quinone reductase (OR) in cultured Hepa 1c1c7 mouse hepatoma cells, led to the isolation of ten active compounds of previously known structure, quindolinone (1), cryptolepinone (2), 11-methoxyquindoline (3), N-trans-feruloyltyramine (4), vomifoliol (5), loliolide (6), 4-ketopinoresinol (7), scopoletin (8), evofolin-A (9), and evofolin-B (10), along with five inactive compounds of known structure, ferulic acid, sinapic acid, syringic acid, ($\pm$)-syringaresinol, and vanillic acid. These isolates were identified by physical and spectral data measurement. A new derivative of quindolinone, 5,10-dimethylquindolin-11-one (1a) was synthesized and characterized spectroscopically. Of the active substances, compounds 1-3 and 1a exhibited the most potent QR activity, with observed CD (concentration required to double induction) values ranging from 0.01 to 0.12 $\mu$ g/mL. Six compounds were then evaluated in a mouse mammary organ culture assay, with cryptolepinone (2), N-trans-feruloyltyramine (4), and 5,10-dimethylquindolin-11-one (1a) found to exhibit 83.3, 75.0, and 66.7% inhibition of 7,12-dimethylbenz[a]anthracene-induced preneoplastic lesions, respectively, at a dose of 10 $\mu\textrm{g}$/mL.

황(thiosulfate)을 이용하는 탈질 미생물의 분리 및 특성 파악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Sulfur-oxidizing Denitrifying Bacteria Utilizing Thiosulfate as an Electron Donor)

  • 오상은;주진호;양재의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409-414
    • /
    • 2006
  • 황산화 미생물인 Genus Thiobacillus 중 몇 종류의 탈질균은 여러 종류의 황 화합물($S^{2-}$, So, $S_2O{_3}^{2-}$, $S_4O{_6}^{2-}$, $SO{_3}^{2-}$)을 황산염이온으로 산화시키면서 동시에 질산성질소를 질소 가스 형태로 전환시킨다. 이는 독립영양 미생물이므로 외부 탄소원이 필요치 않으며, C/N비가 낮은 폐수에 에탄올 대신 값이 싼 황 입자의 투입으로 경제적이며 효과적인 탈질화를 유도할 수 있다. 후탈질시 인위적인 유기물의 투입대신 값 싼 황입자를 사용하여 질소를 제거하며, 처리효율이 안정적이고, 운전이 쉬워, 최근 이 공정은 세계적으로 많이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탈질시 알칼리도가 파괴되어 특히 알칼리도가 낮은 폐수의 경우 고농도 탈질시 pH가 떨어져 탈질이 더 이상 진행되지 않으며, 고농도의 질산성질소를 처리할 경우 부산물로서 고농도의 황산염이온이 생성된다는 부수적인 단점을 안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MCR로부터 독립영양 미생물을 분리 characterization 및 미생물 동정을 하였다. MCR내에는 주로 Paracoccus denitrificans and Paracoccus versutus (formerly Thiobacillus versutus)가 주종을 이루었으며 이들 미생물들은 유기물도 에너지원으로 이용할 수 있는 facultative autotrophic denitrifier이었다. 이들 미생물을 탈질에 이용할 시 유기물이 있는 조건에서도 성장하기 때문에 유입 폐수 내 유기물 농도에 영향을 받지 않고 또는 인위적으로 소량의 유기물을 넣어 독립영양탈질과 종속영양탈질을 동시에 일어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독립영양탈질의 단점인 높은 황산염이온 생성 및 알칼리도 파괴를 막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당근 지상부 추출물 유래 항염 및 항균 활성 성분 (Anti-inflammatory and Anti-bacterial Constituents from the Extracts of Daucus carota var. sativa Aerial Parts)

  • 김정은;조연정;이남호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427-436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당근 지상부 추출물 및 용매 분획물의 항염, 항균 활성을 확인하고 유효성분을 분리하여 화학구조를 동정하였다. 당근 지상부 에탄올 추출물 및 용매 분획물의 항염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LPS로 자극된 RAW 264.7 세포를 이용하여 NO 생성 억제 활성을 확인하였다. 그 중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NO의 생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키는 효과가 나타났고, 추가적인 항염 기전 연구를 위해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 대해 $PGE_2$,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량 및 iNOS, COX-2 단백질의 발현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PGE_2$, IL-$1{\beta}$, IL-6의 생성을 감소시키고, iNOS, COX-2 단백질의 발현도 억제 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표피포도상구균과 여드름균을 이용한 활성 실험 결과, 헥산 및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항균 활성이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 대해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3개의 화합물을 분리하였으며, $^1H$$^{13}C$ NMR 데이터 분석과 문헌을 통하여 화학구조를 동정하였다; diosmetin (1), disomin (2), cynaroside (3). 분리된 화합물 1-3에 대해 항염 및 항균 활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 화합물 1-3 모두 NO의 생성을 저해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화합물 3은 여드름균에 대해 항균 활성이 우수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당근 지상부 추출물을 이용한 항염 및 항균 효과를 갖는 천연 화장품 소재로의 개발이 가능할 것이라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