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Drying Temperature

검색결과 1,494건 처리시간 0.024초

배할 및 자상-인사이징 처리가 소나무 정각재의 고온건조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Knife-Incising and Longitudinal Kerfing Treatment on High-Temperature Drying Characteristics of Red Pine Square Timber)

  • 이창진;이남호;오승원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5호
    • /
    • pp.677-684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배할과 자상-인사이징 처리가 두께 15 cm 크기 소나무 정각재의 고온건조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건조 후 최종함수율은 5.6% ~ 7.5% 범위였으며, 전처리조건에 따른 함수율분포에 차이는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배할의 경우 재면할렬 발생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였으며, 뒤틀림은 약간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배할과 자상-인사이징 처리는 내부할렬과 건조 수축률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Dehydration Kinetics of Rehmannia (Rehmannia glutinosa Liboschitz)

  • Rhim, Jong-Whan;Kim, Ji-Hye;Jeong, Won-Chul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5호
    • /
    • pp.771-777
    • /
    • 2007
  • Sliced and whole root of rehmannia were dehydrated in a laboratory dryer at 40, 60, 80, and $100^{\circ}C$ to evaluate the kinetic parameters for dehydration of rehmannia. The drying curves of both samples were characterized by a falling-rate drying period only. Sliced rehmannia dried 1.1 to 3.1 times faster than whole root of rehmannia depending on drying temperature. Equilibrium moisture content (EMC) of rehmannia samples at the drying temperature tested were 0.069-0.078 g water/g dry solid, which was coincided with the monolayer moisture content (0.06 and 0.07 g water/g dry solid) evaluated from desorption isotherms using GAB (Guggenheim-Anderson-de Boer) model. A logarithmic model for thin layer drying was applied to evaluate the drying time to reach EMC ($t_{EMC}$) and drying constant (k). The effect of temperature on $1/t_{EMC}$ and k was described by the Arrhenius model with activation energy values of 32.56 and 47.14 kJ/mol determined using the former parameter, and 34.27 and 38.26 kJ/mol determined using the latter parameter for sliced and whole root of rehmannia, respectively.

풀칠·고명기로 제조된 김부각의 물리적 건조 및 튀김 특성 (Physical drying and frying characteristics of kimbugaks made by a pasting & garnishing machine)

  • 유수남;최영수
    • 농업과학연구
    • /
    • 제42권4호
    • /
    • pp.439-446
    • /
    • 2015
  • Kimbugak is one of Korea's traditional snacks made of lav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hysical drying and frying characteristics of kimbugaks made by a pasting & garnishing machine. The drying and frying characteristics should be analyzed to develop a continuous operation system for manufacturing kimbugak because kimbugak has a high moisture content after pasting process. Materials for pasting and garnishing on laver were rice gruel and sesame. The aluminum shelf with square hole was selected as a drying shelf. The recommended size of the square hole type was $1.5mm{\times}1.5mm$ because characteristics of deformation and easy separation from the shelf were excellent at the hole size. The drying time of 2 hours was also recommended with the drying temperature of $70^{\circ}C$ based on the test results such as dried condition (good), moisture conten t (3.7%), deformation (12.1 mm), and shrinkage rate (19.8%). As the frying conditions for dried kimbugaks, recommended oil temperature and frying time were $170^{\circ}C$, 15 seconds, respectively when corn oil was used. In the case of frying for undried kimbugaks, recommended oil temperature and frying time were $210^{\circ}C$, 2 - 3 minutes, respectively for improvement of work efficiency.

Drying characteristics of lotus root under microwave and hot-air combination drying

  • Joe, Sung Yong;So, Jun Hwi;Lee, Seung Hyun
    • 농업과학연구
    • /
    • 제47권3호
    • /
    • pp.519-532
    • /
    • 2020
  • Because lotus root has a short shelf life, the quality easily deteriorates. Thus, the harvested lotus roots are processed into a variety of products. Drying is one of the simplest food preservation methods, which can increase food stability. However, the convective drying method takes a long time and requires high energy consumption. Combination drying methods have emerg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convective drying metho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rying characteristics of lotus root and determined the optimal drying model of lotus root depending on the microwave and hot-air combination drying conditions. The lotus root slices (5 mm in thickness and 40 mm in diameter) were dried by different drying conditions that were combined with three microwave power levels (50, 100, and 150 W) and two hot air temperatures (50 and 60℃) at a velocity of 5 m·s-1. Eight drying models were tested to evaluate the fit to the experimental drying data, and the effective moisture diffusion (Deff) values of the lotus root slices dried by combination drying were estimated. The combination drying time of the lotus root was significantly reduced with the high air temperature and microwave power. The effective moisture diffusion (Deff) of lotus root was more affected by the air temperature than microwave power intensity. Logarithmic model was most suitable to describe the drying curve of lotus root in the microwave-hot air combination drying method.

탄소나노섬유를 열원으로 적용한 세탁물 건조기의 개발 (Development of the Dryer with a Heat Source of Carbon Nanofibers)

  • 이정환;원상연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3권3호
    • /
    • pp.25-34
    • /
    • 2018
  • 본 논문은 세탁물 건조기의 고효율과 건조성능 향상을 위한 탄소나노섬유의 열원(히팅모듈)을 설명하였고, 이 열원의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는데 집중하였다. 제안된 히팅모듈의 설계를 위해, 탄소나노섬유램프의 표면온도와 표면온도분포특성에 관한 실험이 수행되었다. 그 램프의 표면온도는 램프에 흐르는 전류의 증가와 함께 선형적으로 증가하였고, 그 램프의 길이가 짧을수록 증가하는 패턴을 보였다. 제안된 히팅모듈은 건조효율, 세탁물의 수분증발률, 건조동작 중 드럼의 내부온도를 기반으로 평가되었다. 건조효율은 KS C 9319의 기준인 45%를 충족하였고, 수분증발률과 드럼의 내부온도는 각각 98.88%와 평균 $61.1^{\circ}C$로 S사의 제품과 대등한 건조성능을 보였다. 그 평가와 실제 건조실험 결과로부터, 제안된 탄소나노섬유램프 히팅모듈은 건조효율과 건조성능의 측면에서 세탁물 건조기의 열원으로 적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높은 온도의 열원, 우수한 발열량, 원적외선 방출에 의한 건조성능의 향상과 세탁물의 살균효과를 얻을 수 있다. 추가적으로, 그 건조기들 사이에 건조효율 성능차이가 열원의 소비전력을 기반으로 상세히 분석되었다.

열풍건조온도에 따른 수삼건조속도 및 건조수삼의 이화학적 특성 (Drying Rate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Dried Ginseng Root at Different Temperature)

  • 하대철;이종원;도재호;박채규;류기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741-746
    • /
    • 2004
  • 압출성형공정을 홍삼화 공정에 적용하기 위하여 수삼을 압출성형하려면 35% 이하로 수삼을 건조하는 전처리가 필요하다. 수삼을 건조하기 위하여 파쇄한 수삼과 뇌두부위와 미근과 세근부위를 제거하고 주근과 지근을 가진 주근수삼으로 각각 전처리하여 건조온도 80, 100, 12$0^{\circ}C$에서 수분함량의 감소속도 및 건조수삼의 이화학적 성질을 분석하였다. 파쇄수삼의 건조온도는 8$0^{\circ}C$에서 건조시간이 35% 이하로 수분을 감소시키는데 6.2시간이 걸리고 생성된 총 진세노사이드의 양도 10$0^{\circ}C$와 12$0^{\circ}C$ 건조보다 낮았으므로 전처리 건조조건으로 적당하지 않았다. 또한 10$0^{\circ}C$와 12$0^{\circ}C$ 건조를 비교할 때 35% 이하의 수분함량으로 걸리는 시간은 5.7시간과 3.5시간으로 12$0^{\circ}C$ 건조조건에서 2시간 정도 단축되었으나 적색도는 5.20에서 7.23으로 1.39배 증가하여 가루의 색깔이 홍삼과 차이가 있었다. 75% 에틸렌으로 추출한 추출액의 갈색과 적색의 반응속도는 건조온도가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Rb1, Rb2, Rc, Rd, Rg1, 총 진세노사이드 함량 및 정성적으로 측정한 말톨의 양은 10$0^{\circ}C$와 12$0^{\circ}C$ 건조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그러므로 총 진세노사이드와 말톨 양을 고려할 때 12$0^{\circ}C$보다 10$0^{\circ}C$에서 압출성형 전처리공정으로 수삼을 열풍 건조하는 것이 적당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수산식품의 건조방법에 관한 연구 1 . 오정어의 고정층건조 (Studies on the Drying Methods of Sea Foods 1 . Fixed Bed Drying of Squid)

  • 허종화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07-110
    • /
    • 1982
  • Fixed bed drying method was selected to reduce the initial drying time of squid and the effects of drying air temperature and bed height on the drying rate were investigated, with following results. 1. The drying rate in the fixed bed dryer was faster than that of natural convection type dryer heated indirectly and that of hot air dryer heated directly. 2, Shirai-equation was applicable to squid being dried. Using the equation, drying rate constant obtained was as shown in table 1.

  • PDF

마늘의 저온저장 후 2차 건조가 품질에 미치는 영향 (Secondary Drying Effects on Garlic Quality after Low Temperature Storage)

  • 녕효봉;강태환;박종원;한충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9호
    • /
    • pp.1452-1460
    • /
    • 2013
  • 마늘은 일반적으로 $0{\sim}-4^{\circ}C$의 저온에서 저장하는 방법이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저온저장 후 상온보관 시 마늘은 휴면이 일직 타파되고 생육이 촉진되어 품질이 떨어지게 된다. 그리고 저장온도가 낮고 상온과의 온도 차이로 마늘의 표면에 결로가 생기며, 이 결로로 인해 발생된 수분이 마늘의 미생물 생장을 촉진시켜 부패율 증가에 큰 원인이 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저온저장 후 상온유통 시 후처리에 대한 연구가 매우 미진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마늘의 저온저장 후 건조처리 방법에 따라 상온 보관성 향상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적정저장 및 2차 건조조건을 확립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마늘의 중량감소율은 2차 건조조건에 따라 $40^{\circ}C$ 2일 건조조건에서 2.5~4.1%로 가장 크게 나타났다. 그러나 2차 건조 후 상온보관에 따른 마늘의 중량감소율은 $40^{\circ}C$ 2일 건조조건에서 5%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2차 건조 후 상온보관 기간에 따른 마늘의 맹아율은 상온보관 15일까지 20% 급속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30일 이후부터는 소폭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차 건조조건에 따른 마늘의 맹아율은 건조하지 않은 조건에서 그 증가폭이 10% 정도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2차 건조조건 중 $35^{\circ}C$ 3일과 $40^{\circ}C$ 2일 건조조건에서의 맹아 생장이 가장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저온저장 후 2차 건조조건에 따른 마늘의 부패율 변화는 저온저장 후 2차 건조하지 않은 조건에서 부패율이 5~10% 높았으며, $40^{\circ}C$ 2일 건조조건에서의 부패율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저온저장 후 상온보관에 따른 마늘의 경도변화는 저온저장 후 2차 건조를 수행하지 않은 조건에서 그 변화 폭이 20~50 gf 크게 나타났고, 2차 건조 후 상온보관에 따른 마늘의 경도 감소는 $35^{\circ}C$ 2일과 $40^{\circ}C$ 2일 건조조건에서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마늘의 저온저장 후 상온보관 시 적정조건은 저온저장 직후 2차 건조를 하며, 2차 건조조건 중 $40^{\circ}C$ 2일 동안 건조하는 것이 마늘의 고품질 유지를 위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된다.

가소화(可塑化)된 파스타의 건조(乾燥) (The Drying of Plasticized Pasta)

  • 헨리지슈와츠버그;김공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4권1호
    • /
    • pp.29-39
    • /
    • 1981
  • 삶은 스파게티를 10%, 20%와 40% 글리세린 수용액에 10분간 담가둔결과 차후의 건조 과정에서 가소화(可塑化)시키는데 충분한 글리세린을 흡수했다. 글리세린의 가소화작용으로 높은 건조온도와 건습구온도의 큰차에서도 스파게티가 균열되고 표면에 주름지는 것이 방지되었다. 그러한 보호가 가능한 건조온도와 건습구온도차는 글리세린의 농도가 높을수록 높아졌다. 건조속도의 감소에도 불구하고 스파게티의 수분활성도를 0.65로(저장안정성에 필요한 수준) 내리는데 필요한 건조시간은 글리세린양이 증가함에 따라 짧아졌다. 글리세린의 첨가로 늪은 건조온도에서 스파게티의 갈변화 정도가 심해졌고 갈변화를 유도하는 기간이 짧아졌으나 갈 변화는 모든 경우에 스파게티의 수분활성 가 건조완성에 필요한 0.65에 도달한 훨씬 후에 시작되었다. 글리세린의 첨가로 건조시간을 단축하고 더 높은 온도에서 건조할 수 있기 때문에 약간의 글리세린을 (0.15 kg glycerine/ kg dry spaghetti) 첨가함으로써 스파게티의 건조시간을 약 80%에서 93%까지 단축시킬 수 있다.

  • PDF

잔골재 특성에 따른 콘크리트 건조수축 모델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odelling for Prediction of Concrete Drying Shrinkage according to Properties of Aggregate)

  • 박도경;양극영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73-77
    • /
    • 2006
  • Drying Shrinkage has much complexity as it has relations with both internal elements of concrete and external factors. Therefore, experiments on Concrete Drying Shrinkage are carried out in this study under simplified circumstances applying temperature & Humidity test chamber which enables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fy. Comparative analyses have been made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consequences aiming at modelling for prediction of Concrete Drying Shrinkage and making out measures to reduce it. As a result Strain Rate of Drying Shrinkage of concrete was measured to increase by average $10{\times}10^{-5}$ in proportion to additional 4% increase in fine aggregate ratio, when water/cement ratio constant. Strain Rate of Drying Shrinkage in pit sand concrete increased 20% higher than measured when in river sand under the condition of 90-day material age. 6. Strain Rate of Drying Shrinkage in sea sand concrete increased $10%{\sim}15%$ higher than measured when in river sand. The results of prediction of Rate of Drying Shrinkage by Response Surface Analysis are as fellows. The coefficient of correlation of Drying Shrinkage in concrete was over 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