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Drama Program

검색결과 68건 처리시간 0.028초

프로그램 유형에 따른 중간광고에 대한 시청자 반응 연구 (A Study on the Viewers' Reponses to In-Program Advertising According to TV Program Genre)

  • 이현선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43권
    • /
    • pp.282-313
    • /
    • 2008
  • 본 연구는 현재 논의되고 있는 중간광고에 관해 고찰하였다. 지상파 TV의 중간광고 재도입 논쟁과 관련된 문제의 핵심을 시청자들에 맞추어 시청자들의 입장에서 중간광고에 관한 반응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중간광고에 대한 반응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하여 프로그램의 유형에 따른 반응의 차이를 고찰하였다. 분석결과, 전체적으로 중간광고를 집행하는 경우 프로그램 전, 후 광고만을 집행하는 경우보다 시청자 반응, 방송사에 대한 태도, 그리고 중간광고를 집행하는 광고주에 대한 태도가 부정적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중간광고의 도입에서 제외되어야 한다고 제안된 뉴스와 교양 프로그램을 포함하여 드라마와 오락 프로그램에 중간광고를 도입하여 그 반응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이들 프로그램의 유형에 따른 반응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고, 중간광고를 실시하는 경우 실시하지 않는 경우보다 프로그램에 대한 반응이 전체적으로 모두 낮게 나타났다.

  • PDF

학령전기아동의 정서지능 및 친사회적 행동 증진을 위한 장기집단상담프로그램 효과연구 (Effectiveness of the Long-term Group-Counseling Program to Improve Emotional Intelligence and Prosocial Behavior in Preschooler)

  • 이정숙;유정선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5권1호
    • /
    • pp.29-43
    • /
    • 2007
  • Effectiveness of Long-term Group-counseling in Improving Emotional Intelligence and Prosocial Behavior in Preschool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long-term group-counseling in preventing children's maladjustment at school. for this study, six children were selected for an experimental group and another six for a control group. They were tested using the Emotional Intelligence Rating System and the Prosocial Behavior Skill Situations Measure for Preschool Level. In addition to quantitative analysis, a qual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group processes and changes in each child.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socio-drama, group art therapy, and game play therapy whereas the control group did not receive any treatment. In order to examine the impact of the intervention, pre-program tests and post-program tests were conduc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was improved with group counseling.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motional intellig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s. Second,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ability alsoimprove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ocial ability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s.

초등학생의 긍정적 심리 향상을 위한 방학 중 단기 활동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Short-term Activity Program during Vacation to Improve Positive Psycholog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김은진;고시용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0호
    • /
    • pp.604-614
    • /
    • 2013
  •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긍정적 심리 향상을 위하여 연극과 마음챙김을 주요 활동으로 하는 방학 중 단기활동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양적분석과 질적분석을 함께 사용하여 프로그램 효과를 다각적으로 검증하였는데, 본 연구를 통해 확인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은 자발적이기보다는 부모 등의 권유에 의해 참여한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둘째, 프로그램 실시 후 자아존중감, 행복감이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며 스트레스, 우울은 유의하게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약 65~70%대의 학생들이 재밌었다, 도움이 되었다, 배우는 게 있었다, 다른 친구에게도 추천하고 싶다는 의사를 보였으며, 학생들이 긍정적 정서의 지각과 경험적 지식의 습득을 많이 경험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언을 논하였다.

장르와 배역 크기에 따른 연예인의 구성원 관계 의식 고찰 (Exploring the Genres and Cast Portions' Influences on Broadcasting Entertainers' Relationship Perception)

  • 이인혜;권상집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27-40
    • /
    • 2020
  • TV 프로그램의 인기 및 수출에 관해 연예인들이 상당한 기여를 하면서 이들에 대한 관심은 최근 더욱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런 흐름을 감안, 인터뷰 연구를 통해 연예인들의 관계 의식을 심도 있게 살펴봤다. 연예인의 의식 체계는 그들의 행위 및 태도에 다각도로 영향을 주기에 이 부분에 대한 연예인의 의식 고찰 연구는 매우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이를 위해 드라마와 예능으로 장르를 구분하고 주연, 조연, 단역으로 배역의 크기를 구분한 후 48명의 연예인을 대상으로 이들의 관계 의식을 탐색적으로 고찰, Nvivo 11 프로그램을 통해 해당 인터뷰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예인의 관계 의식을 확인하기 위해 그들과 방송 현장에서 가장 많은 시간을 공유하는 PD, 작가, 동료 연예인과의 관계를 중점적으로 고찰했다. 연구 결과, PD와 작가의 권한, 대우, 소통 의식에 관해 장르별, 배역 크기별 중요한 차이가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동료 연예인과의 관계에서는 선·후배의 관계, 그리고 경쟁의식, 소통 의식 등에서 예능과 드라마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연예인들의 관계 의식을 다양한 방면으로 고찰하고 새로운 실무적 시사점을 제안했지만 실제 연예인들이 어떻게 조화로운 관계 의식을 추구해야하는지에 대한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하지 못 했다. 후속 연구에서는 좀 더 다양한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는 연구를 진행해야 할 것이다.

중국 CCTV-9 채널 시청자의 프로그램 관람 만족도 결정요인 분석 (Analysis of Influence Factors on the Satisfaction of Viewers on China's CCTV-9 Channel)

  • 궈위엔;왕지봉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8호
    • /
    • pp.107-116
    • /
    • 2021
  • 최근 수년간 시청자들의 프로그램 관람 후 만족도에 대한 연구는 다양한 분야에서 진행돼 왔다. 하지만 새롭게 구축된 CCTV-9 채널의 시청자 만족도 요인을 단순 분석하는 연구의 전례가 없었다. 그러므로 CCTV-9에서 어떻게 하면 빅데이터 시대에 대중적 욕구를 출발점으로 삼아 산업발전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인가 하는 전략은 매우 중요한 일환(一環)이라고 할 수 있다. 본문은 CCTV-9의 시청자만족도와 관련된 영향 요인을 탐색적으로 연구하고 설문조사 방식으로 연령, 학력, 전공, 소득을 달리하는 101명의 남녀를 설문조사 하여 이 채널의 만족도 표본을 검증하여 채널만족도와 관련된 영향 인자로 아홉 가지 가설을 시험적으로 제시하였다. 실증분석을 통해 기록채널의 시청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을 연구하고 측정의 신뢰성과 유효성을 적절히 분석했으며 모든 가설을 통계적으로 검증했다. 본 연구의 실증 결과는 재제내용, 프로그램 형식, 프로그램 섹션 편성, 방송시간, 채널의 광고 포지션, 시리즈 다큐멘터리, 다양화 홍보 플랫폼, 입체화 브랜드 이미지는 시청자 만족도와 큰 관련이 있다.

방송프로그램의 구간 별 부가정보 기술 방법과 이를 활용한 데이터서비스 개발 사례 (A Method for Describing the Information of the Broadcasting Program's Time-Slots and Its Application to a Data Service)

  • 고광일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19-25
    • /
    • 2015
  • 비록 디지털방송의 데이터서비스가 방송통신융합의 대표 서비스로 관련 산업계의 관심과 기대를 받고 있지만 현재까지는 방송프로그램 시청 위주의 TV 시청행태와 열악한 데이터서비스 운영 환경 (방송 수신기의 저 사양, 리모컨 조작의 불편함 등)으로 시청자들로부터 대중적인 인지도를 형성하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은 데이터서비스가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시청자의 방송프로그램 시청에 시너지를 더하는 형태로 발전해야 한다는 전문가들의 의견을 바탕으로 데이터 서비스가 방송프로그램의 주요 부가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시간이 지나면서 변하는 방송프로그램의 주요 부가정보를 정형적으로 기술하는 방법과 이 부가정보를 디지털방송 표준에 정합된 형태로 정리, 전송하는 방법을 고안하고 활용 사례로 국내 모 개발사와 티커 형태의 시범적 데이터서비스를 개발하였다.

미국동부 카운티 내 지역교회에 관한 건축적 특성에 연구 (A Study on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Church in County, VA in U. S. A.)

  • 정건채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3권2호
    • /
    • pp.79-86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a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local church in Virginia, U. S. This study focuses on not only analyzing the worship and service program inherent in the site planning of local church but also introducing worship service space and chancel elements of it in the village of garden area. We surveyed five protestant churches where are located in suburban and rural area outside of Midlothian city in the early August, 2010. I surveyed church building site and worship service space of churches focused on platform design, interviewed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program of churches with ministers, and corrected annual calender and newslette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site plan have a comfortable parking lots and site of churchyard(cemetery) with playground that can take an activities out of chapel. The axis of church building follows to front street. Second, worship services keep two types of traditional and comtemporary worship in order to consider of both adult and youth members. The worship hall has a balance of bilateral symmetry. Third, the form of platform is built that is able to perform a music drama and movement of sermon without only one church, GraceLand Church that church building has over fifty years, and they stick to simple traditional type of Chancel that is established by pulpit, table(altar), baptistery(only baptist church), music instruments, and so on.

Feature Analysis and Detection Techniques for Piracy Sites

  • Choi, Seul-Ki;Kwak, Jin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4권5호
    • /
    • pp.2204-2220
    • /
    • 2020
  • In recent years, digital content has become easily accessible because of internet technology. Representative examples of such digital content include various types, such as music, TV, (program, sport, drama etc.) and films. However, there are cases where internet technology is used in illegal ways without the authorization of the copyright holder for digital content. Such actions have a direct impact on copyright owners' profits and further affect the development of the digital culture industry adversely. Therefore, in this study, we analyze features to detect piracy sites that cause copyright infringement. Further, we develop a piracy site detection crawler based on these features and present the analysis of its performance.

리얼리티 표방 TV 프로그램 장르의 문화계발 효과: 현실유사성 인식의 매개와 숙명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Genre-specific Cultivation Effect of Reality-based TV Programs: Perceived Realism's Mediation and Fatalistic Beliefs)

  • 나은경;김도연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57권
    • /
    • pp.181-201
    • /
    • 2012
  • 이 연구는 (1) 기존의 텔레비전 전체 시청량이나 TV 뉴스와 드라마 장르에 집중되어온 문화계발 효과연구의 관심을 전환하여 근래 늘어나고 있는 리얼리티 표방 프로그램이라는 구체적인 장르의 효과에 주목하고, (2) 텔레비전의 시청이 계발하는 '사회적 현실 인식과 태도' 가운데 일상적인 삶의 가치와 태도로서 숙명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며, (3) 이러한 확장적 계발효과의 추론 근거로 '텔레비전 내용의 현실유사성 인식'의 매개효과를 탐구했다. 설문조사 자료 분석 결과, 고전적인 문화계발 효과이론이 주장하듯이 전체적인 TV 시청 총량은 숙명적 태도의 계발에 유의미한 예측변인으로 작용했다. 텔레비전 시청 총량을 통제한 상황에서도 리얼리티 표방 프로그램 이용은 수용자의 숙명적 태도와 유의미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유사한 계발효과를 내는 것으로 기존 연구들에서 집중해 왔던 뉴스(사실) 장르와 드라마(허구) 장르의 이용을 통제한 상태에서도 여전히 같은 모습을 보였다. 그리고 리얼리티 표방 프로그램 시청의 이러한 계발효과는 텔레비전에 그려지는 내용이 수용자 자신은 물론 주변 사람들의 실제 현실과 비슷하다고 느낄수록 더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엘리자베스 왕조시대 극장의 공간구성 및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pace composition and character of the Elizabethan Theater)

  • 임종엽;이철재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5호
    • /
    • pp.111-118
    • /
    • 2000
  • This study examines the space composition and character of Elizabethan Theater base on the theory of drama and Shakespeares play in the english traditional theater. Contemporary multi purpose theater and public space is considered as a symbolic representation of the Elizabethan theaters organization and renaissance culture. In the historical theory, the Shakespeares theater was a common tool and best systeme in reflecting peoples lives. This role of theater as mass culture and new style of theater permanent design has get its value with the population increase and the urban centralization of the city and urban common sense. This study attempts to reevaluate the need of public space in modern society through a critical review of theater and its use as a open space design. Content analysis was used to discuss the topics of this study including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theater, the relationship between Greek culture and modern design, and the role of scenery, auditorium and its impact on urban environment. The scope of the study is limited to the comparison of Elizabethan theater and space use program from the space critic and sociologist. Today the concept of theatrical space is altered with the advent of non-objects and multi media space. This study provides insights for the future implications of theatrical space in developing public space for its a new definition as cultural represent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