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Influence Factors on the Satisfaction of Viewers on China's CCTV-9 Channel

중국 CCTV-9 채널 시청자의 프로그램 관람 만족도 결정요인 분석

  • Guo, Yuan (Department of Drama and Film, ShanXi Normal University in China) ;
  • Wang, Zhifeng (Department of Drama and Film, Hainan Tropical Ocean University in China)
  • 궈위엔 (산시 사범학교 연극영상학부) ;
  • 왕지봉 (해난 열대해양 대학교 인문사회학과)
  • Received : 2021.11.19
  • Accepted : 2021.12.27
  • Published : 2021.12.31

Abstract

In recent years, the research on audience satisfaction after watching programs has been carried out in various fields. However, there is no precedent for the study of simply analyzing the influencing factors of audience satisfaction with the newly established CCTV-9 channel. For CCTV-9, how to explore the strategy of industrial development based on the needs of the audience in the era of big data is a very important part. This article exploratively focuses on the influencing factors related to CCTV-9 audience satisfaction. Using questionnaires, 101 samples of the satisfaction with the channel of men and women of different ages, education backgrounds, majors, and incomes were collected to test, and 9 hypotheses were tentatively proposed as relevant influencing factors of channel satisfaction. Through empirical analysis, this research searches for the determinants.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measurement were properly analyzed, and all hypotheses were statistically tested.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subject matter, program format, program scheduling, program broadcast time, channel advertising, simulcast series of documentaries, diversified communication platforms, brand image packaging and audience satisfaction are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최근 수년간 시청자들의 프로그램 관람 후 만족도에 대한 연구는 다양한 분야에서 진행돼 왔다. 하지만 새롭게 구축된 CCTV-9 채널의 시청자 만족도 요인을 단순 분석하는 연구의 전례가 없었다. 그러므로 CCTV-9에서 어떻게 하면 빅데이터 시대에 대중적 욕구를 출발점으로 삼아 산업발전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인가 하는 전략은 매우 중요한 일환(一環)이라고 할 수 있다. 본문은 CCTV-9의 시청자만족도와 관련된 영향 요인을 탐색적으로 연구하고 설문조사 방식으로 연령, 학력, 전공, 소득을 달리하는 101명의 남녀를 설문조사 하여 이 채널의 만족도 표본을 검증하여 채널만족도와 관련된 영향 인자로 아홉 가지 가설을 시험적으로 제시하였다. 실증분석을 통해 기록채널의 시청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을 연구하고 측정의 신뢰성과 유효성을 적절히 분석했으며 모든 가설을 통계적으로 검증했다. 본 연구의 실증 결과는 재제내용, 프로그램 형식, 프로그램 섹션 편성, 방송시간, 채널의 광고 포지션, 시리즈 다큐멘터리, 다양화 홍보 플랫폼, 입체화 브랜드 이미지는 시청자 만족도와 큰 관련이 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This paper was supported by the research grant of the "Research Project Supported by Shanxi Scholarship Council of China" in 2021.(Project number: 2021-099).

References

  1. R. L. Oliver(1997). A cognitive model of the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satisfaction decision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7, 460-469. https://doi.org/10.2307/3150499
  2. Wu Hongyu(2008). Research on the Demands of Contemporary Chinese TV Audiences, Doctoral Dissertation of Fudan University, 49.
  3. 장푸잉(2018). 중국소비자의 한국영화에 대한 지각된 가치와 후속변수 간의 구조적 관계연국: 중국소비자를 중심으로. 청주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4. 주희(2016). 한국영화 캐릭터 형성과정에서 연기와 분장과의 상관관계 연구. 청주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118.
  5. 송은아, 표원섭, 임준묵(2017).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1(4), 37-47.
  6. 양재연(2012). 힐링체험욕구와 트랜스포메이션 행동의도 관계연구: 힐링관여도의 매개.조절 역할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1-127.
  7. Pieters, R.& Wedel, M(1997). Goal control of attention to advertising: The Yarbus implication.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34(2), 224-233. https://doi.org/10.1086/519150
  8. 천후(2012). 세계문화유산관광이미지와 후생 변수 간의 구조적 관계. 청주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9. 송은아(2014). 공연예술산업에서 연극의 관객 만족도 모형 연구. 청주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10. 송은아(2015). 예술성-대중성 측정을 위한 개념 탐색,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9(1).
  11. 조수선, 김봉현(2021). 어린이의 유튜브 이용량에 미치는 영향 요인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15(7), 45-47.
  12. Bai Kai.(2011). On the application and testing of non-response option of Likert-Type scales in tourism research. Tourism Tribune, 29-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