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xploring the Genres and Cast Portions' Influences on Broadcasting Entertainers' Relationship Perception

장르와 배역 크기에 따른 연예인의 구성원 관계 의식 고찰

  • Lee, In-Hye (School of Theatre & Film Art, Kyungsung University) ;
  • Kwon, Sang-Jib (Department of Business Administration, Dongguk University Gyeongju Campus)
  • 이인혜 (경성대학교 예술종합대학 연극영화학부) ;
  • 권상집 (동국대학교 상경대학 경영학부)
  • Received : 2020.01.15
  • Accepted : 2020.02.25
  • Published : 2020.02.28

Abstract

Recently, popular entertainers have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the achievement of TV program and exportation, which make them attract more attention.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perception of broadcasting entertainers in inductive interview study. Thoughts of entertainers can affect theirs' behavior and attitude as well as value and thought, which makes it necessary on celebrity studies to examine entertainers' ideas. This study divides into drama and variety show for genres and cast portions a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leading, supporting, and minor role. We conducted an interview study on 48 entertainers in drama and variety entertainment programs and have explored data by using Nvivo 11 program. Entertainers' perception on their relationship in program can be sub-categorized into ideas on PDs, script writers, and colleague entertainers. Perception on PD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 on consciousness on PDs' and script writers' authority, treatment, and communication. In addition, perception on colleague entertainers revealed significant result on colleague membership, relationship between seniors and newcomers, competition, and communication with colleagues. Because this study covered all relationship perceptions, and it is possible to come up with new practical implications, it is difficult to suggest diverse guidance for the harmonious awareness of entertainers. Therefore, future studies should be analyzed to address these limitations and provide more implications.

TV 프로그램의 인기 및 수출에 관해 연예인들이 상당한 기여를 하면서 이들에 대한 관심은 최근 더욱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런 흐름을 감안, 인터뷰 연구를 통해 연예인들의 관계 의식을 심도 있게 살펴봤다. 연예인의 의식 체계는 그들의 행위 및 태도에 다각도로 영향을 주기에 이 부분에 대한 연예인의 의식 고찰 연구는 매우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이를 위해 드라마와 예능으로 장르를 구분하고 주연, 조연, 단역으로 배역의 크기를 구분한 후 48명의 연예인을 대상으로 이들의 관계 의식을 탐색적으로 고찰, Nvivo 11 프로그램을 통해 해당 인터뷰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예인의 관계 의식을 확인하기 위해 그들과 방송 현장에서 가장 많은 시간을 공유하는 PD, 작가, 동료 연예인과의 관계를 중점적으로 고찰했다. 연구 결과, PD와 작가의 권한, 대우, 소통 의식에 관해 장르별, 배역 크기별 중요한 차이가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동료 연예인과의 관계에서는 선·후배의 관계, 그리고 경쟁의식, 소통 의식 등에서 예능과 드라마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연예인들의 관계 의식을 다양한 방면으로 고찰하고 새로운 실무적 시사점을 제안했지만 실제 연예인들이 어떻게 조화로운 관계 의식을 추구해야하는지에 대한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하지 못 했다. 후속 연구에서는 좀 더 다양한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는 연구를 진행해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심재웅, 황재원 (2016). 청소년의 연예인에 대한 관심과 섭식 장애: 연예인 숭배 개념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60(4), 328-349.
  2. 이인혜, 권상집 (2018). 방송제작 환경 및 드라마 제작 요소에 대한 연기자의 인식 고찰,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2(7), 47-62.
  3. 김윤미 (2017). 한류드라마와 동아시아 문화 정체성: SBS 드라마 '별에서 온 그대'를 중심으로, 드라마연구, 53, 71-98.
  4. 이유진, 유세경 (2016). 한국 예능 프로그램 포맷 수출 활성화 방안 연구: 글로벌 예능 프로그램 포맷 특성과의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6(12), 160-169
  5. 이인혜, 권상집 (2019). 장르와 배역 크기에 따른 방송 연예인의 직업의식과 프로그램 의식 고찰,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3(3), 55-75.
  6. 한은경, 이보영, 문효진 (2007). 연예인 평판의 척도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 중국, 싱가포르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21(5), 298-341.
  7. 김두일, 손명원 (2009). 방송 영상물의 배경을 활용한 지형 단원 수업 방안: 영화, 드라마, 예능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5(4), 494-509.
  8. 노동열 (2011). 디지털 기술 도입이 TV 콘텐츠에 미친 영향 연구: 드라마와 예능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방송문화연구, 23(2), 131-169. https://doi.org/10.22854/SBC.2011.23.2.131
  9. Jehn, K. A., & Bezrukova, K. (2004). A field study of group diversity, workgroup context, and performance,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25(6), 703-729. https://doi.org/10.1002/job.257
  10. De Dreu, C. K. W., Bechtoldt, M. N., & Nijstad, B. A. (2007). Team personality diversity, group creativity, and innovative ness in organizational teams, Position Paper of Research Task, 32(2), 1-26.
  11. Lampel, J. (2001). The core competencies of effective project execution: The challenge of diversity, International Journal of Project Management, 19(8), 472-483.
  12. Dulewicz, V., & Higgins, M. (2005). Assessing leadership styles and organizational context, Journal of Managerial Psychology, 20(2), 105-123. https://doi.org/10.1108/02683940510579759
  13. 유건식, 정해룡 (2019). 지상파 TV의 시즌제 드라마 도입 방안 연구,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20(1), 5-45. https://doi.org/10.22876/BNC.2019.20.1.001
  14. 이형숙, 권상집 (2018). 국내 지역 지상파 방송사의 지속 가능성을 위한 전략 방안 고찰,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2(6), 41-56
  15. 권상집 (2016). 변혁적 리더십과 서번트 리더십과 조직 구성원의 조절초점 성향이 개인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내재적 동기의 매개효과, 지식경영연구, 17(3), 137-159. https://doi.org/10.15813/kmr.2016.17.3.007
  16. 이인혜, 권상집 (2017). tvN의 콘텐츠 혁신: 폐기학습 및 흡수역량을 통한 탐험과 활용,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1(8), 355-368.
  17. 오윤홍 (2018). 역할유형에 관한 연기연구: 드라마 '미스터 션샤인'의 주조연 배우를 중심으로,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2(8), 65-73.
  18. 김유정, 구수연 (2012). 예능 프로그램에 나타나는 끼어들기와 반응하기 현상 연구: <무한도전>과 <해피투게더3>를 중심으로, 어문논집, 66, 101-140.
  19. Eisenhardt, K. M., & Graebner, M. E. (2007). Theory building from cases: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50(1), 25-32. https://doi.org/10.5465/AMJ.2007.24160888
  20. Edmondson, A. C., Bohmer, R. M., & Pisano, G. P. (2001). Disrupted routines: Team learning and new technology implementation in hospitals,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46(4), 685-716. https://doi.org/10.2307/3094828
  21. Weick, K. E. (2007). The generative properties of richnes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50(1), 14-19. https://doi.org/10.5465/AMJ.2007.24160637
  22. 백서인, 권상집 (2015). CJ E&M의 혁신 및 성장 메커니즘: 기업가적 지향성, 융.복합 전략, 공유가치 창출, 기업경영연구, 22(5), 201-228.
  23. 권상집 (2016). 한류 증진을 위한 CGV의 성장 전략: 중국 시장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6), 576-588. https://doi.org/10.5392/JKCA.2016.16.06.576
  24. Yin, R. k. (2007). Case study research: Design and methods, Sage Publications.
  25. Edmondson, A. C., & McManus, S. E. (2007). Methodological fit in management field research,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32(4), 1155-1179. https://doi.org/10.5465/AMR.2007.26586086
  26. Peltier, S. (2004). Mergers and acquisitions in the media industries: Were failures really unforeseeable?, Journal of Media Economics, 17(4), 261-278. https://doi.org/10.1207/s15327736me1704_2
  27. Pratt, A. C. (1997). The cultural industries production system: Employment change Britain, 1984-1991, Environment and Planning A: Economy and Space, 29(11), 359-369.
  28. 권상집 (2016). 한류 확산을 위한 CJ E&M의 디지털 및 글로컬 콘텐츠 전략,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12), pp. 78-90. https://doi.org/10.5392/JKCA.2016.16.12.078
  29. Krumsvik, A. H. (2012). Impact of V. A. T. on portfolio strategies of media house, Journal of Media Business Studies, 9(2), 115-128. https://doi.org/10.1080/16522354.2012.11073547
  30. 최병춘 (2018). 한국 엔터테인먼트 기업의 CSR 활동이 기업신뢰 및 브랜드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2(6), 1-12.
  31. 이문행 (2016). TV와 웹미디어 간 콘텐츠 순환에 관한 연구, 영상문화, 29, 218-242.
  32. 권상집 (2015). 안정그룹 애착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영향력 인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Andragogy Today: Interdisciplinary Journal of Adult & Continuing Education, 18(1), 103-127. https://doi.org/10.22955/ACE.18.1.201502.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