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ouble eaves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2초

조선후기 홑처마이면서 사래를 갖는 건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ingle Eaves Buildings Constructing Sarae in the Late Joseon Dynasty)

  • 이연노
    • 건축역사연구
    • /
    • 제26권4호
    • /
    • pp.45-54
    • /
    • 2017
  • This thesis mainly deals with the meaning of single eaves buildings which have Chunyeo with Sarae. As a rule, building with single eaves does not construct Sarae. But we can find some special buildings using Chunyeo with Sarae in the corners of the eaves. At this time, many people say that lower part of the member so called Alchunyeo, and upper part of the member so called Chunyeo. And they also say that the using of Alchunyeo was caused by the shortage of timber which can make Chunyeo properly. As a result, single eaves buildings using Chunyeo with Sarae in the corners of the eaves were not caused by the shortage of timber. That kinds of buildings were made by the hierarchy of building. Single eaves buildings with Sarae have lower rank than double eaves buildings, and also have higher rank than those without Sarae. And we have to say that lower part of the member is Chunyeo, and upper part of the member is Sarae.

석조유구(石造遺構)에 표현(表現)된 고대건축(古代建築) 연구 - 부도(浮屠)의 건축요소(建築要素) 분석(分析)을 중심으로 - (Ancient Korean Architecture Presented in Stone Remains - Focused on the Analysis of the Architectural Elements of the Stone Stupa -)

  • 박재평;이재헌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4권1호
    • /
    • pp.45-60
    • /
    • 2002
  • This research is the second attempt to illustrate the phases of ancient Korean architecture through a comparative study of historical materials such as historical ruins, relics, stone remains and art products. Among these the stone stupa (budo), contains many architectural aspects of old times, which give clues to trace the characteristics of the antient Korean structures. The study brings about following results: 1. The pillar employs an entasis technique, and the bracket system (gongpo) consists of cross beams (changbang) and small supporting blocks (soro) thereupon. A type of the bracket arm (chomcha) is also found on top of the pillar. 2. Windows and doors are assumed from the carved features on the stone stupa to be pair-doors which could be folded twice sideways and upwards. 3. There are two types of eaves; the single eaves and the double eaves consisting of a rafter and a flying rafter. 4. The roof has furrows formed by the concave tiles and the convex ones and also the tiles at the edge of eaves. And there are evidences that a variety of small images of animal and human figures were decorated along on top of the eaves.

  • PDF

영건의궤 및 산릉의궤에 기록된 건축부재 구로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Gurodae, archiectural member recorded on Yeonggeonuigwes and Sanleunguigwes)

  • 이연노
    • 건축역사연구
    • /
    • 제18권3호
    • /
    • pp.45-59
    • /
    • 2009
  • This thesis mainly deals with what is th Gurodae, recorded of the YeonggeonUigwe and the SanleungUigwe. Gurodae makes diverse appearance In Uigwes.(久老代, 仇老代, 求路代, 仇老臺, 仇露臺, 求露臺, 仇累臺, 九累臺) It seems that Gurdae was an architectural member used on the roof. Especially that was a member of the eaves. Gurodae looks like a Pyeonggodae, located on the end of the rafters. But it differs in the shape compare to that of Pyeonggodae, Gurodae has the shape of combined members, Pyeonggoaed and Chakgo. Chakgo is a member covering the spae, between two Buyeons So Gurodae has the shape of prominence and depression. The result obtained by surveying the Uigwes is the Gurodae is the Gurodae used until 1789. After the publication of HyeonlyungwonUigwe in 1789, that member was no longer existed on the other Uigwes. In 1794, the making Hwaseong fortress, Gurodae divieed into two members, Chopyeonggodae and Chakgo. Since then Chopyeonggodae and Chakgo never combined again.

  • PDF

한옥 설계의 최근 경향 연구 - 최근 10년간 건축전문 잡지에 게재된 신축 한옥을 대상으로 - (The Recent Trends of Hanok Design -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Hanoks Appeared in Architecture Magazines in the Last 10 Years -)

  • 이주옥;한필원
    • 건축역사연구
    • /
    • 제21권1호
    • /
    • pp.171-186
    • /
    • 2012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recent trends of hanok design based on 58 hanoks appeared in architecture magazines in the last 10 years. The cases are analyzed in terms of location, size, building form, spatial organization, material, roof form, and the ceiling form of living room. The consequence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Most of the recent hanoks are built in rural area (91.4%), which shows the hanok is not accepted as an urban house type. Hanoks tend to be built in 2 stories whose 2nd floor is smaller than the 1st floor. (34.5%) The preferred size is total floor area of $99.2{\sim}165.2m^2$ (62.0%), 3 rooms (46.6%) with a traditional ondol room (60.3%). The buildings with ㄱ-shape (43.1%) and linear-shape (27.6%) are preferred, and the compact plan type similar with apartment house appears (13.8%). In the roof design that greatly influences the appearance of building, the traditional design factors such as half-hipped roof (55.2%), double eaves (27.6%), and eaves curve tend to be sustained. In terms of spatial organization, most of recent hanoks have double-layed plan (74.2%). The living room mostly has separately defined space. (82.8%) The indoor and outdoor tend to be connected by a narrow wooden veranda (39.7%), while some cases don't have any wooden floor space (48.3%). The entrance is adopted as an important spatial element in front part of building (75.9%), and it influences the appearance of building. The living room, the counterpart of the wooden floor hall in traditional hanok, and kitchen tend to be interiorized. In terms of material, the cement roof tile and red clay brick are preferred. Consequently, the walls of recent hanoks have the image of brick structure rather than the wooden frame structure of traditonal hanok.

한국 고대 건축의 부연(浮椽) 사용 시기에 관한 연구 (The Beginning of the Usage of Buyeon (浮椽) in Ancient Korean Architecture)

  • 한욱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4권3호
    • /
    • pp.90-105
    • /
    • 2021
  • 한국 목조 건축에서 외형의 아름다움을 결정하는 요소로 지붕의 형태는 매우 중요하다. 그 가운데에서도 처마의 곡선은 한국 목조 건축의 특징을 가장 잘 나타내는 요소이다. 이 처마의 곡선을 만들어내는 것이 바로 서까래와 부연(浮椽)이라는 부재이며, 특히 날렵한 처마곡을 만들어 육중한 지붕의 느낌을 보다 가볍고 역동적으로 보이도록 하는 것은 부연이다. 부연의 기능과 역할에 대해서는 이미 알려져 있지만 처음 사용 시기와 관련해서 명확하게 알려진 바는 아직 없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한국 건축에서 부연이 최초로 사용된 시기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한국·중국·일본의 고대 건축과 관련된 기록이 남아 있는 문헌, 발굴 유구, 현존 건축물과 건축물이 표현된 회화 및 조각 등의 고찰을 차례로 진행하고 이를 종합하여 한국 고대 건축의 부연 사용 시기를 추정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의 경우 6세기 중반 북제에서 처음 부연 사용이 나타나지만 일반화된 것은 당대인 7세기부터로 판단된다. 둘째, 일본의 경우 수도를 비조 지역에서 나라 지역으로 이전하는 8세기 중반 이후 부연 사용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는 중국의 당과 직접적인 문화 교류를 추진하는 시기와 겹친다. 셋째, 한국의 경우 부연 사용은 6세기 중반 중국 북제로부터 백제로 도입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나 일반화되지는 못하였던 것으로 보이며, 이후 신라 통일기인 7세기 중반 중국 당과의 활발한 교류가 이루어지면서 보편화되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기후 특성과 관련된 제주도의 민가 경관 (The characteristics of folk house related to climate in Cheju island)

  • 김기덕;이승호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29-43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제주도의 기후 자료와 문헌 자료, 현지 답사 자료를 분석하여, 기후 특성과 관련된 제주도의 민가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여름철의 강수와 습도는 한라산 남쪽의 민가에, 겨울철의 바람은 한라산의 북쪽 민가에 영향을 미쳤다. 축굽은 강수와 관련이 있으며 제주도 전역에 분포한다. 재창문은 여름철 습도가 높은 한라산의 남쪽에 분포한다. 겹집 구조와 낮은 처마, 완만한 경사의 지붕, 돌담 등은 제주도 전역에 분포하며, 강한 바람과 관련 있다. 겨울 계절풍이 강한 한라산 북쪽에는 이중문이 보편적이며, 북쪽 해안지역에서는 이문간이 추가된다. 외벽, 풍채, ㄱ랑채 등은 강한 바람과 동시에 많은 강수에 대비한 것이다. ㄱ랑채는 한라산 북쪽 전지역과 한라산의 남동쪽에 분포한다. 한라산 남쪽의 민가가 한라산 북쪽의 것보다 개방적이다. 한라산 북쪽의 민가는 이문간의 유무에 의해 해안형과 중산간형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한라산 남쪽에서는 ㄱ랑채 시설의 빈도에 의해 동부형과 서부형으로 구분된다.

  • PDF

한옥의 경사처마와 이중바닥구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clined balcony and double deck structure of Korean traditional housing)

  • 노영숙;김정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8408-8415
    • /
    • 2015
  • 본 논문은 공동주택에 적용 가능한 한옥구조 평면기술에 관한 연구로서, 한옥의 특징들을 구조적, 기능적 측면으로 분석하여 이를 공동주택 평면에 적용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기존 지붕처마 각도를 중심으로 하지, 동지의 남중고도를 반영한 실내 일사깊이를 계산하여 효율적인 슬래브 경사 및 층고를 갖는 경사발코니 구조를 제안하였다. 이는 해당 슬래브 하부층에 적용되는 것으로 기존의 단층적인 한옥의 한계를 극복하여 모든 층의 동일한 일사량 및 전망권을 제공할 수 있으며 한옥의 정원개념을 수직공동주택에 적용가능하게 해준다. 전통 한옥의 처마 내밀기와 귀솟음을 응용한 경사발코니의 각도는 30o도 내외가 적당하고, 층고는 $4.5{\pm}0.25m$가 경제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기존 한옥의 뜬 바닥 구조를 분석하여 소음, 진동, 온도 전달에 관련된 원리들을 공동 주택 평면에 적용 가능하도록 개선안을 모색하였으며 기존 공동주택과 달리 복층바닥구조는 단일슬래브에 비하여 바닥충격음 66%정도 저감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바닥구조는 주택 평면에서 사라지고 있는 수직적 공간(다락 및 하부저장공간)을 제공함으로써 효율적인 내.외부 공간관리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건물배치도를 이용한 국가기본도 수시수정 방법 개선 (The Improvement of Real-time Updating Methods of the National Base Map Using Building Layout Drawing)

  • 신창수;박문재;최윤수;백규영;김재명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48권1호
    • /
    • pp.139-151
    • /
    • 2018
  • 국가기본도 구축은 전국을 두 권역으로 나누어 2년 주기로 항공사진에 의한 수정도화를 실시하는 정시업무와 현지조사와 준공도면 등에 의하여 주요 변화 지형지물을 2주 이내에 수정하는 수시수정업무로 이루어지며, 이 중 국가기본도 수시수정 지형자료추출 업무에 활용되는 부동산종합공부시스템(일사편리) 건물배치도의 경우 지역측지계 기반의 좌표체계로 세계측지계 기반 국가기본도에 활용할 경우 좌표변환오차가 위치오차에 포함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국가기본도는 수치지형도 건물 등록선인 건물 최외곽선(처마선)을 기준으로 등록하고 있고, 지적 및 건축 분야는 건물 중심선을 기준으로 등록하고 있어 건물 객체 관리기준이 불일치하고 있다. 이에 개선방법연구를 위해 부동산종합공부시스템(일사편리)건물배치도 위치에 직접 네트워크 RTK 측량을 실시하여 국가기본도 평면 도화위치 기준과 비교하여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이중 벽체와 처마의 차이가 있는 일반건축물의 경우 위치정보가 상이한 것 이외에 벽체와 처마의 차이만큼 건물 객체 비율에 차이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부동산종합공부시스템(일사편리) 건물배치도를 수시수정업무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건물 중심선과 건물 최외곽선(처마선)의 이중레이어의 기초자료 제공이 필요하다 판단된다. 또한, 최신성 및 정확성을 동시에 확보 가능한 유기적인 지도갱신 프로세스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북촌도시한옥의 지붕가구(架構) 특징에 관한 연구 (The Roof Construction Method of Urban Hanok in Bukchon, Seoul)

  • 송인호;김영수
    • 건축역사연구
    • /
    • 제14권4호
    • /
    • pp.87-100
    • /
    • 2005
  • We have focused on the roof construction method of Urban Hanok in Bukchon, Seoul. The Urban Hanok, urban traditional housing type, had been evolved In modern context from 1930's to 1960's. We have confused Urban Hanok with traditional Hanok, because they have similar figures. But Urban Hanok have the characteristics as a result of the roof construction metho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fine Urban Hanok more concretely, thus we payed attention to the roof structure, specially to the comer that each roof structure meets. So we got some characteristics of the roof construction method of Urban Hanok in Bukchon. First, the roof construction methods of the roof are transformed at the corner parts, where three purlin structure and five purlin structure meet. The collision of the different roof structure has made a lot of types. Second, the roof slope of Urban Hanok is more gentle than traditional Hanok, that is caused by ornamental double eaves and awnings. Finally these characteristics are results of the compact lot size in urban neighborhood. The construction method is a inclusive word that contain materials, composition, ornament and social common sense. With the understanding on the roof construction method of Urban Hanok, we can define the identity and the value of Urban Hanok, And we can suggest the policy and the design guidelines for the reservation and rehabilitation for Urban Hanok of Bukchon, Seoul.

  • PDF

성주지역 참외 재배용 온실구조 현황 및 모델 개발 (Current Status and Development of Greenhouse Models for Oriental Melon Cultivation in Seongju Region)

  • 이종원;백철현;이현우;정성원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95-108
    • /
    • 2014
  • 본 연구는 성주지역에 적합한 참외재배용 내재해형 온실을 개발하기 위하여 참외 재배온실의 구조현황 조사, 최근 기상자료가 반영된 설계하중 산정, 온실모델 설정 및 구조안전성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성주지역 참외온실의 구조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현장 조사한 결과, 온실의 지붕형상은 아치형이 가장 많았으며, 최근에 시공한 온실일수록 복숭아형이 많았으며 폭이 넓어지고 동고도 높아지는 추세였다. 그리고 성주지역에 가장 인접한 구미기상대의 기상자료를 이용하여 재현기간에 따른 설계풍속 및 설계적설심을 산정할 수 있는 계산식을 유도하였으며, 내재해형 온실규격을 만족하는 재현기간 30년의 적설심은 23.7cm, 풍속은 $33.8m{\cdot}s^1$로 계산되었다. 이러한 성주지역의 내재해형 설계기준을 만족하는 참외재배용 단동온실 4종, 2연동온실 및 연결온실을 각각 1종씩 총 6종의 모델을 개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