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ose-dependency

검색결과 114건 처리시간 0.026초

Mechanism of Intestinal Transport of an Organic Cation, Tributylmethylammonium in Caco-2 Cell Monolayers

  • Hong Soon-Sun;Moon Sang-Cherl;Shim Chang-Koo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9권4호
    • /
    • pp.318-322
    • /
    • 2006
  • Many quaternary ammonium salts are incompletely absorbed after their oral administration and may also be actively secreted into the intestine. However, the underlying mechanism(s) that control the transport of these cations across the intestinal epithelium is not well understood. In this study, the mechanism of absorption of quaternary ammonium salts was investigated using Caco-2 cell monolayers, a human colon carcinoma cell line. Tributylmethylammonium (TBuMA) was used as a model quaternary ammonium salts. When TBuMA was administrated at a dose of 13.3 imole/kg via iv and oral routes, the AUC values were $783.7{\pm}43.6\;and\;249.1{\pm}28.0{\mu}mole\;min/L$ for iv and oral administration, indicating a lower oral bioavailability of TBuMA $(35.6\%)$. The apparent permeability across Caco-2 monolayers from the basal to the apical side was 1.3 times (p<0.05) greater than that from the apical to the basal side, indicating a net secretion of TBuMA in the intestine. This secretion appeared to be responsible for the low oral bioavailability of the compound, probably mediated by p-gp (p-glycoprotein) located in the apical membrane. In addition, the uptake of TBuMA by the apical membrane showed a $Na^+$ dependency. Thus, TBuMA appears to absorbed via a $Na^+$ dependent carrier and is then secreted via p-gp related carriers.

Lactobacillus brevis FSB - 1의 균체성분에 의한 면역증진 활성 (Immunopotentiating Activities of Cellular Components of Lactobacillus brevis FSB - 1)

  • 김성영;신광순;이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9호
    • /
    • pp.1552-1559
    • /
    • 2004
  • 새로운 probiotic 유산균으로써의 잠재적 이용가능성을 평가할 목적으로, 김치로부터 분리한 Lactobacillus brevis FSB-1을 대상으로 각종 면역증진활성의 특성이 조사되었다. L. brevis FSB-1을 전균체, 세포벽, 세포질 및 균체외 획분으로 각각 분리하고 장관면역 활성을 측정한 결과, Peyer's patch 세포를 매개로 한 골수세포 증식활성의 경우, 세포벽 및 세포질 획분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활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보인 반면, 직접적인 골수세포 증식활성은 나타내지 않았다. 마크로파지의 활성화능은 전균체, 세포벽 및 세포질 획분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splenocyte mitogen 활성의 경우, 이들 획분에서 공히 대조군의 약 200%이상의 활성 증가가 관찰되었다. 그러나 양성대조군인 LPS의 활성에는 다소 미치지 못하였다. 한편 보체계 활성화능을 검토한 결과, 균체외 획분을 제외한 모든 획분에서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특히 세포질 획분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매우 강력한 활성을 나타냈다. 또한 세포질 획분에 의한 보체계 활성화는 anti-human C3를 이용한 2차원 면역전기영동에 의해 classical 및 alternative pathway 양 경로를 경유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고 선량률 근접치료시 사용되는 Ir-192 선원의 방사능 평가 (Measurement of Ir-192 Source Activity for High Dose Rate Brachytherapy)

  • 최동락;허승재;안용찬;임도훈;김대용;우홍균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8권1호
    • /
    • pp.25-29
    • /
    • 1997
  • 고선량률 근접치료시 사용되는 Ir-192 선원의 방사능을 이온형 전리함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측정지점으로부터 각각 10 cm 떨어진 거리에 선원을 일정시간동안 위치시킨 후 측정된 전하량을 방사능값으로 환산하였으며 측정된 결과는 제작회사로부터 제공된 값과 비교하였다. 선원의 방사능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므로 일정기간동안 규칙적으로 방사능를 측정하였으며 측정값은 Ir-192 에 대해서 알려진 반감기를 고려한 계산 값과 비교 분석하였다. 선원의 방사능 측정의 정확도는 측정장치 setup의 정확도에 크게 영향을 받기 때문에 원격조정으로 제어되는 선원위치의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필름에 감광된 감마선의 영상을 Film scanner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프로그램된 지점에 제대로 위치하는지의 정도를 평가하였다. 예상된 선원위치와 실제 선원위치간의 차이는 최대 1 mm 이내이었으며 이러한 조건하에서 제작회사로부터 제공된 방사능값과 본 연구를 통하여 측정된 값과의 차이는 0.7$\pm$1.5 % 이며 시간에 따른 선원의 변화량을 확인해 본 결과 0.l$\pm$1.2%이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사용된 측정방법에 의한 실측값과 제작회사로부터 제공된 방사능값은 현재까지 서로 잘 일치하였고 치료기의 정확성도 확인되었다, 그러나 고선량률 근접치료시 사용되는 선원의 정확한 위치 및 방사능값은 환자치료의 성패를 결정짓는 매우 중요한 인자이므로 지속적인 정도관리가 요구된다.

  • PDF

맥문동 에탄올 추출물(Liriope platyphylla ethanol extract)의 Streptococcus mutnas와 Porphyromonas gingivalis에 대한 항균력과 성장억제 효과 (Antibacterial and Growth Inhibitory Effects of Liriope Platyphylla Ethanol Extract on Streptococcus Mutnas and Porphyromonas Gingivalis)

  • 천수현;박주연;이현지;정지은;차은숙;박충무;윤현서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125-133
    • /
    • 2023
  • Purpose :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Liriope platyphylla ethanol extract (LPEE) against Streptococcus mutans and Porphyromonas gingivalis and to validate its potential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dental caries, gingivitis, and periodontal disease. Methods : To verify the antibacterial effect of L. pulsatilla ethanolic extract (LPEE) against S. mutans and P. gingivalis, the disk diffusion method was used to determine the inhibition zones at concentrations of 50, 100, 200, and 300 mg/㎖. To determine the minimum inhibition concentration (MIC), the final dose of LPEE was .2, .4, .8, 1.6, 2.5, and 5.0 mg/㎖, and the minimum bactericidal concentration (MBC) was determined based on the MIC results. To confirm the growth inhibitory effect of LPEE on both pathogens, the absorbance was measured at 600 nm after each incubation for 0, 3, 6, 12, and 24 hr at concentrations of .8, 1.6, 2.5, and 5.0 mg/㎖. Results : The cytotoxicity of LPEE was evaluated and the cell viability was more than 70 % at 400 mg/㎖. Therefore, concentrations of 50, 100, 200, and 300 mg/㎖ were used in this study. The antimicrobial effect against S. mutans was seen at 100 mg/㎖ and grew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while P. gingivalis was effective at 50 mg/㎖ with the dose dependency. The MIC was .8 mg/㎖ for both strains, and the MBC was 1.6 mg/㎖ with the same results. The growth inhibitory effect of LPEE on S. mutans and P. gingivalis was observed, even at low concentrations. Conclusion : The antibacterial effect of LPEE was evaluated through the analysis of MIC, MBC, and growth inhibition effect on S. mutans and P. gingivalis, which suggests LPEE might have the possibility of utilization as a preventive and therapeutic composition for oral diseases.

발육 중의 백서 태아 대뇌 피질에서 방사선에 의한 아포토시스 (Radiation-induced Apoptosis in Developing Fetal Rat Cerebral Cortex)

  • 정웅기;남택근;이민철;안성자;송주영;박승진;나병식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1권4호
    • /
    • pp.315-321
    • /
    • 2003
  • 목적: 발육 중인 백서 태아 대뇌 피질에서 방사선조사에 의한 아포토시스 반응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임신 백서의 태령 17 내지 19일(E17$\~$E19)에 선형가속기의 X-ray를 이용하여 어미 쥐의 복부에 방사선을 조사하였다. 방사선량에 따른 아포토시스를 보기 위하여 1, 2, 3, 4 Gy를 전후 조사면으로 방사선조사를 시행하고 5시간 후 백서 태아의 뇌를 획득하였다. 시간 경과에 따른 아포토시스를 보기 위하여 E7$\~$E19에 2 Gy의 방사선을 조사한 후 1, 3, 6, 12, 24시간에 각각 백서 태아의 뇌를 획득하였다. 대조군은 방사선을 조사하지 않은 임신 쥐를 같은 조건하에서 사육하여 각 군당 3마리씩 할당하였다. 아포토시스 세포는 면역조직화학적 방법(TUNEL, In situ 707-mediated dUTP nick end labeling)으로 염색하여 관찰하였다 결과: 백서 태아 대뇌 피질에서 TUNEL 양성인 세포는 광학현미경하에서 전형적인 아포토시스의 형태학적 특징을 나타내었다 대조군에서는 대뇌 피질의 전 층에서 TUNEL 양성세포를 거의 발견할 수 없었다. 1 Gy의 방사선 조사 후 5시간에 대뇌피질 전 층에서 미약하게 관찰되었으나 2 Gy에는 전 층에서 1 Gy 경우보다 더 증가하였고 그중 뇌실대와 중간대에서 피질대보다 더 많이 나타났다. 조사된 1$\~$4 Gy 범위에서 방사선량이 증가할수록 TUNEL양성세포가 더욱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2 Gy의 방사선 조사 후 3시간부터 TUNEL양성세포가 관찰 되기 시작하여 방사선 조사 후 6시간에 최고점을 이루었으며 이는 24시간까지 지속되었다. 결론: 발육 중인 백서 태아 대뇌피질에서 방사선에 의한 아포토시스의 전형적인 형태학적 특징을 관찰할 수 있었다. 아포토시스는 뇌실대와 중간대에서 피질대보다 더 많이 나타났으며 이는 줄기세포와 초기의 분화세포에서 방사선조사에 대한 감수성이 더욱 민감함을 시사하였다.

MOSFET 선량계 특성분석을 위한 팬톰 개발 및 특성 비교 (Development of Phantom and Comparison Analysis for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MOSFET Dosimeter)

  • 정진범;이정우;김연래;이두현;최경식;김재성;김인아;홍세미;서태석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18권1호
    • /
    • pp.48-54
    • /
    • 2007
  • 본 연구는 MOSFET (Metal Oxide Semiconductors Fleid Effect Transistors) 선량계의 교정과 특성분석을 위해서, 자체 팬톰을 개발하고 이 팬톰을 적용하여 표준감도와 고감도 두 종류의 MOSFET선량계의 특성을 비교 평가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팬톰은 직경 10cm의 반구형 모양인 팬톰과 1cm 두께 $30{\times}30cm^2$의 평판형의 팬톰으로 아크릴로 제작되었다. 평판형 팬톰은 MOSFET 선량계의 교정과 선량재현성, 선량직선성, 선량률 의존성을 측정하는데 사용하였으며 반구형 팬톰은 빔 입사각도 및 선량계 방향에 대한 MOSFET 선량계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서 사용하였다. 모든 측정과정은 선형가속기(CL21EX, Varian, USA)의 6 MV 광자선, SSD 100cm, 조사면 $10{\times}10 cm^2$에서 수행하였다 선량계 교정과 선량재현성 평가에 사용된 5개의 표준감도와 고감도 MOSFET 선량계에 각각 200 cGy로 5번 반복 조사하여 $1.09{\pm}0.01{\sim}1.12{\pm}0.02,\;2.81{\pm}0.03{\sim}2.85{\pm}0.04mV/cGy$. 범위의 평균 교정계수가 결정되었고 선론쌔현성은 두 선량계 모두 2%이내로 거의 동일하였다. $5{\sim}600\;cGy$ 범위에서의 선량직선성은 두 MOSFET 선량계 모두 결정계수 $R^2=0.997$, 0.999인 좋은 선량직선성을 나타내었다. 200 cGy로 $100{\sim}600\;MU/min$ 범위의 선량률 의존성도 1%이내로 두 선량계가 동일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빔 입사각도와 선량계 방향의 의존성 평가에서, 표준감도와 고감도 MOSFET선량계는 평균적으로 빔 입사각도에 대해 13%, 10%의 변동폭과 ${\pm}4.4%$${\pm}2.1%$의 표준편차가 있었으며, 선량계 방향에 대해 5%, 2%의 변동폭, ${\pm}2.1%$${\pm}1.5%$의 표준편차로 두 선량계 간 현저한 차이를 나타났다 그러므로 여러 방향의 치료빔을 사용하는 방사선 치료의 선량검증을 위해서는 빔 입사각도와 선량계 방향의 의존성이 적은 고감도 MOSFET 선량계를 사용하는 것이 표준감도 WOSFET 선량계를 사용하는 것보다는 더 정확한 선량검증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Wedge Factor의 임상적 응용 (Clinical Application of Wedge Factor)

  • 최동락;안용찬;허승재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3권3호
    • /
    • pp.291-296
    • /
    • 1995
  • 목적 : 환자에 투여될 선량계산시 사용되는 wedge factor는 조사면과 깊이에 대한 의존성은 무시되고 에너지 및 wedge angle에 따라 측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wedge factor의 조사면과 깊이에 따른 의존성을 체계적으로 조사함으로써 보다 합리적인 선량계산을 도모하고자 한다. 방법 : 4-, 6-, 그리고 10-MV X 선을 이용하여 각각의 wedge angle에 따라서 $5{\times}5\;cm^2$부터 $20{\times}20\;cm^2$ 까지의 조사면에 대해서 여러 깊이에서 측정하였으며 측정된 값을 열린 조사면에서의 측정값으로 나누어 줌으로써 wedge factor가 결정되었다. 이 때 사용된 가속기는 본원이 보유하고 있는 CLINAC 600C 와 2100C 이며 사용된 에너지는 6- 그리고 10-MV X 선을 사용하였다. 측정기가 빔의 중심에 정확히 놓여졌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여러 콜리메이터 각도에서 측정하였다. 결과 : 각 측정값의 재연성에 관한 표준편차는 $0.3\;%$ 이내였으며 각각의 에너지에 대해 깊이에 따라 측정된 wedge factor의 의존성은 저에너지로 갈수록 커지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4-, 6- X 선의 경우 wedge angle이 $45^{\circ}$ 이상일 때 깊이에 따른 wedge factor의 변화량은 $5\%$ 이상 차이가 남을 알 수 있었다. 반면에 wedge factor의 조사면에 대한 의존성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 측정을 통하여 wedge factor는 조사면에 대해서는 거의 무관하나 깊이에 따른 의존성이 비교적 크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선량계산시 wedge factor를 합리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는 평균값을 나타내는 깊이에서 측정된 값을 사용하거나 깊이에 따라서 wedge factor를 달리 적용시켜야 한다. 본 실험의 결과, 각 wedge filter에 대해 단일 wedge factor를 사용하고자 하면 조사면 $10cm{\times}10cm$, 깊이 10cm에서 측정된 값을 쓰는 것이 가장 합리적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Thelephoric acid의 CYP2J2 효소 활성 저해제 평가 (Inhibitory Potential of Thelephoric Acid on CYP2J2 Activities in Human Liver Microsomes)

  • 오철학;이보람;송경식;류광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9호
    • /
    • pp.1126-1132
    • /
    • 2013
  • CYP2J2 효소는 간외의 조직에 존재 하는 효소로써, 주로 심혈관계에 발현되어 있다. CYP2J2는 내인성 대사체 및 여러 치료 약물들의 대사에 중요한 작용을 하고 있다. 또한 CYP2J2는 인체의 종양조직이나 종양 세포주에서 과발현되어 있어, 종양 치료를 위한 새로운 표적이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천연물 10종을 대상으로 시토크롬 2J2 동효소에 저해능을 가지는 화합물을 발굴하고자 하였다. 10종의 천연물 중 thelephoric acid는 CYP2J2에 의해 매개되는 에바스틴($IC_{50}=5.32{\mu}M$), 아스테미졸($IC_{50}3.23{\mu}M$) 및 터페나딘($IC_{50}=3.27{\mu}M$) 대사를 강력하게 저해하였다. 향후, 이 약물을 대상으로 한 항암 활성 평가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난소 절제된 백서에서 에스트로젠 투여용량에 따른 대퇴골주 변화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trabecular change of Femur according to $17{\beta}-Estradiol$ Dosage in Ovariectomized Rat)

  • 김성주;김경욱;이재훈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2권2호
    • /
    • pp.155-163
    • /
    • 2000
  • Osteoporosis is the consequence of an imbalance between osteoclastic and osteoblastic activity, coupled with an increased rate of bone turnover observed with menopause. Estrogen is generally considered to maintain bone mass through suppression of bone resorp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at femoral trabecular change not only in the deficiency of estrogen but also in the administration of estrogen following ovariectomy(OVX). 30 female Sprague-Dawley rats were subjected to bilateral OVX or sham surgery(control). Groups of OVX were divided into 4 groups. The first group was injected daily with vehicle alone for 20 days after 20 weeks following OVX. The additional groups of OVX was injected daily with low, medium, or high doses of $17{\beta}-estradiol$(10, 25 or $50{\mu}g/kg$ BW, respectively). All rats were sacrified 23 weeks after OVX, and their femur were processed for H&E, MT stain and histomorphometr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the histomorphometric analysis, the trabecular bone volume/tissue volume, trabecular thickness and trabecular seperation were respectively $31.2{\pm}8.3%$, $54.3{\pm}4.8{\mu}m$ and $280.7{\pm}16.4{\mu}m$ in vehicle treated OVX group and $48.6{\pm}7.3%$, $90.4{\pm}4.5{\mu}m$ and $126.3{\pm}5{\mu}m$ in sham operation group, and they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compare to control group. 2. The trabecular bone volume/tissue volume, trabecular thickness and trabecular separation were respectively $44.4{\pm}4.3%$, $109.5{\pm}12.3{\mu}m$ and $94.9{\pm}8.5{\mu}m$ in low doses of $17{\beta}-estradiol$ injected group and they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compare to OVX group. 3. The trabecular bone volume/tissue volume, trabecular thickness and trabecular separation were respectively $44.4{\pm}4.3%$, $109.5{\pm}12.3{\mu}m$ and $94.9{\pm}8.5{\mu}m$ in medium doses of $17{\beta}-estradiol$ injected group and they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compare to OVX group, but they didn't show statistical significance compare to low doses of $17{\beta}-estradiol$ injected group. 4. The trabecular bone volume/tissue volume, trabecular thickness and trabecular separation were respectively $46.4{\pm}4.5%$, $154.4{\pm}13.2{\mu}m$ and $113.7{\pm}12.8{\mu}m$ in high doses of $17{\beta}-estradiol$ injected group and they also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compare to OVX group, but they didn't show statistical significance compare to other experimental groups. From the above results, metaphyseal bone formation was markedly reduced in OVX rate but treatment of OVX rats with $17{\beta}-estradiol$ resulted in normalization of femur trabecular bone volume. But they didn't show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effect of bone formation according to the dose dependency.

  • PDF

인간 대장암 세포주에서 capsaicin 처리에 의한 차별적인 유전자 발현의 p53 의존성 분석 (Analysis of p53-Dependency of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by Capsaicin in Human Colorectal Cancer Cell)

  • 김효은;장민정;임승현;김효림;김순영;이건주;김종식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13-218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대장암 세포주 모델에서 파이토케미칼 capsaicin에 의한 항 생장 활성과 유전체 수준에서의 유전자 발현 변화를 연구하였다. 그 결과, 처리한 capsaicin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 생존율이 감소함을 확인하였고, capsaicin은 다양한 유전자의 발현 변화를 유도하였다. DNA microarray 실험결과 $100\;{\mu}M$ capsaicin의 처리에 의해 2배 이상 증가되는 유전자 103개가 확인된 반면, 2배 이상 발현이 감소되는 유전자 153개가 확인되었다. 발현이 증가되는 유전자 중 4개(NAG-1, DDIT3, GADD45A 그리고 PCK2)를 선택하여 RT-PCR을 수행한 결과, DNA micorarray 실험과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100\;{\mu}M$ capsaicin의 처리에 의해 암 억제유전자인 p53의 발현이 증가됨을 RT-PCR과 real-time PCR 방법으로 확인하였다. 게다가, NAG-1, DDIT3 그리고 GADD45A 유전자는 p53의 존재에 관계없이 발현이 증가되는 반면, PCK2 유전자는 반드시 p53에 의해 발현이 유도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는 대장암 세포주에서 capsaicin에 의한 항암 기전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