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ocumentation

검색결과 845건 처리시간 0.027초

경부청소술 시료의 기록과 자료의 보관 (Documentation and Data Collection of Neck Dissection and its Specimen)

  • 최은창;고윤우;김철호;김동영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8-12
    • /
    • 2001
  • It is well established that cervical lymph node metastasis is the base of clinical study on head and neck cancer. But few studies have been reported on lymph node metastasis of head and neck cancer in Korea. We consider it essential that studies on cervical lymph node metastases are conducted on pathologically proven database. Therefore, We must have database and consitent system for documentation and data collection of neck dissection specimen for prospective and retrospective study. Herein, We suggest several points from our experiences performing the proper data collection and documentation of neck dissection specimen.

  • PDF

미술콘텐츠 디지털화를 위한 데이터요소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ata Elements of Digital Contents in Art Documentation System)

  • 황동열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93-113
    • /
    • 2002
  • 미술사학자의 미술연구방법과 미술콘텐츠 활용의 이론적 검토를 통하여, 미술관도큐멘테이션 활동과 미술연구에서 공통적으로 추출되는 최적의 데이터요소를 규명하고, 미술콘텐츠의 디지털화에 필요한 데이터요소의 설정과 적정수준을 제시하였다.

  • PDF

Analysis of a crop growth model using Unified Modeling Language

  • Kim, Kwang Soo;Kim, Do-Gyeom;Kim, Sey Hyun;Hwang, Grim;Jeong, Haneul
    • 한국농림기상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림기상학회 2011년도 학술발표회
    • /
    • pp.12-14
    • /
    • 2011
  • Crop growth simulation models have been developed as research and management tools. When these models are needed to incorporate new knowledge on phenology and physiology of crops, programming languages have been used for development and documentation of these models. However, researchers may have limited skill in programming languages. Furthermore, software developer may find it challenging to improve the crop models because documentation of the models are rarely available. The Unified Modeling Language (UML) can provide a simple approach for development and documentation of model. A template for implementation of the model can be obtained using the UML, which would facilitate code re-use and model improvement.

  • PDF

Sustainability Made Possible by Documentation: Exploring Assemble's Granby Four Streets (2013)

  • Yoon, Jimin;Lim, Sha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9권4호
    • /
    • pp.1-8
    • /
    • 2021
  • Since the late 20th century, various projects in the public domain where local communities and art organizations collaborate have been attempted in miscellaneous ways. In terms of anticipating an active attitude of the community, socially engaged project focuses on proactively changing everyday life and environment of people. An art collective, Assemble who won the Turner Prize in 2015 for one of their projects named Granby Four Streets (2013) has been admitted as an exemplary of this phenomenon, and it appears frequently in discussions about community-led projects. We investigate Granby Four Streets, as well as the documentation formed by the perspective of third parties based on the surveillance and criticism aspects. It asserts that the limitation of socially engaged projects that are kept ephemerally and easily forgotten could be overcome with the concept of documentation and its practice.

중소제조업의 체계적 문서화가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Small Manufacturing Firms' Systematic Documentation on Productivity)

  • 정상홍;김석권
    • 산업진흥연구
    • /
    • 제1권2호
    • /
    • pp.49-54
    • /
    • 2016
  • 본 연구는 중소제조업의 체계적 문서화가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문서화 업무체계 확립은 불량감소(p<.01)와 설비가동률 향상(p<.05)에 영향을 미쳤으며 문서화 교육훈련 정도는 불량감소(p<.05)와 생산성 향상(p<.01)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문서화 경험은 생산성 향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는 못했다. 즉, 문서화 업무체계가 높을수록 불량감소, 설비가동률 향상 정도가 높으며 문서화에 대한 교육훈련이 잘 되어 있을수록 불량감소, 생산성 향상의 긍정적 효과를 보이고 있어 중소제조업은 문서화의 경험적 측면에 의존하기 보다는 문서화 업무체계를 확립하고 교육훈련을 실시하여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중소제조업의 체계적 문서화가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불량감소, 생산성향상, 설비가동율 향상에 대한 문서화 요인의 중요도를 파악하고 품질관리 측면에서 문서화의 효과를 검증한 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부마민주항쟁 결락기록의 도큐멘테이션 전략 마산항쟁을 중심으로 (Documentation Strategy of Missing Archives in BUMA Democratic Uprising : Focusing on MASAN Uprising)

  • 최규명
    • 기록학연구
    • /
    • 제73호
    • /
    • pp.125-159
    • /
    • 2022
  • 이 연구는 부마항쟁 결락기록에 관한 수집 등의 기록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기록학적 수집방법론을 검토하고 Larry Hackman과 Joan Warnow-Blewett이 제시한 '도큐멘테이션 전략'의 실행모델을 적용하여 예비분석을 진행하였다. 먼저 부마항쟁을 개괄적으로 살펴보고, 효과적인 기록화 방안을 도출하기 위해서 범위를 마산항쟁으로 좁혀, 마산항쟁을 중심으로 예비분석을 수행하였다. 이어서 마산항쟁의 행위그룹의 유형과 활동을 분석하여 마산항쟁 도큐멘테이션의 영역을 정리하였다. 마지막으로 마산항쟁의 일부 행위그룹을 선정하여, 직접 기록을 조사하였다. 이를 토대로 결락기록의 현황 조사 및 분석, 수집정책 마련과 능동적 수집, 수집기록의 관리정책 수립 및 통합적 관리에 관한 세부적인 관리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동시대 미술작가들의 작품활동 기록화 현황과 지원 방안 (A Support Plan for the Documentation of Contemporary Artists' Work Activitie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ir Current Situation)

  • 김송이;설문원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231-256
    • /
    • 2024
  • 이 연구는 국내 동시대 미술작가들을 대상으로 개인기록의 생산 및 관리 현황을 조사하고 이를 토대로 교육 등 작가들의 작품활동 기록화에 필요한 지원 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첫째, 동시대 미술에서 작품활동 기록화의 중요성과 이를 위한 지원 동향을 문헌 연구를 통해 정리하였다. 둘째, 다양한 형식과 매체를 활용하는 동시대 미술작가 6명에 대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인터뷰를 통해 작품활동 과정별로 기록 생산 현황을 조사하였고, 기록유형별로 관리실태를 조사하였다. 셋째, 조사 내용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작가, 미술관, 아키비스트 등이 작품 기록화를 위하여 협력, 지원해야 할 사항을 제안하였다. 지원 영역은 교육프로그램의 제공, 미술관의 작품활동 기록화, 기록화를 위한 도구 개발 및 지원으로 구분하였다.

기관기능분석 방법론을 적용한 기록화 전략 사례 연구 미국 의회 기록화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A Case Study on Documentation Strategy Applying the Institutional Functional Analysis Methodology)

  • 김장환
    • 기록학연구
    • /
    • 제44호
    • /
    • pp.5-49
    • /
    • 2015
  • 최근 기록학계에 기록화 전략(documentation strategy)에 관한 연구가 꾸준히 발표되고 있으나, 우리나라에서 헬렌 사무엘스가 제시한 기관기능분석(institutional functional analysis) 방법론을 적용한 실제 사례나 연구는 진행된 바가 거의 없다. 기관기능분석은 거시적인 차원에서 기관의 본질적인 기능을 정의함으로써 기록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제공하는 방법론이다. 기관기능분석으로 도출된 기록화 영역은 아키비스트가 기관의 기록을 선별하여 남기기 위한 일종의 선험적인 틀로 기능한다. 즉, 기관기능분석 방법론을 통해 기관의 기능을 분석함으로써, 현행 기록처리일정표에서 담보하지 못하는 기능을 거시적인 차원에서 식별하여 해당 조직의 업무 활동에 대한 설명책임성 확보가 가능한 것이다. 미국의 기록화 프로젝트는 이러한 배경에 부합하는 대표적인 사례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국 의회의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미국 의회와 같은 성격의 국가기관인 우리나라 국회에 기관기능분석을 적용할 때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하여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선행연구의 성격으로 기관기능분석에 관한 이론적 논의를 살펴보았다. 둘째, 미국 의회 기록화 프로젝트를 기관기능분석에 따른 기능별로 사례 분석하였다. 셋째, 사례 분석 결과를 토대로 시사점을 도출함으로써 우리나라 국회에 적용 가능한 기록화 영역을 제안하였다.

국회 기록화 전략 모형 수립 연구 (A Study on Establishing a Documentation Strategy of the National Assembly of Korea)

  • 김장환
    • 기록학연구
    • /
    • 제46호
    • /
    • pp.189-231
    • /
    • 2015
  • 본 연구는 국회의 설명책임성을 보장하고 국회와 관련된 당대의 역사적 사건을 기록화하기 위한 평가방법론을 마련하는 것이 목적이다. 국회의 처분지침(records schedule)인 현행 국회기록분류기준표에 따른 평가는 국회의 활동을 포괄적으로 기록화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특히 국회기록물분류기준표는 국회사무처 등 4개 소속기관 중심으로 분류체계가 설계되어 있어, 국회의원실을 포함하여 국회가 관계를 맺고 있는 다양한 외부기관과 영역의 산출물을 기록화하는 데에 근본적인 한계가 있다. 결국 국회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이슈와 역사적 사건들을 현행 평가 체제하에서는 포괄적으로 기록화하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는 첫 번째 단계로 기관기능분석(institutional functional analysis)을 통해 기관의 설명책임성을 담보하는 평가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기관기능분석 방법론만으로 국회의 본질적 기능과 관련하여 진행되고 있는 당대의 역사적 사건 또는 사회적 사건을 총체적으로 조직화하는 것은 어렵다. 이에 기관기능분석방법론에 따라 도출된 국회의 기능 영역으로부터 당대의 사회 현상 및 역사적 사건과 관련된 기록을 거시적인 관점에서 선별하는 평가 방법론을 수립하는 주제 중심의 기록화 방법론을 설계함으로써 실제 국회에 적용 가능한 기록화 전략 모형을 설계하였다.

지역 기록화를 위한 도큐멘테이션 전략의 적용 (Directions of Implementing Documentation Strategies for Local Regions)

  • 설문원
    • 기록학연구
    • /
    • 제26호
    • /
    • pp.103-149
    • /
    • 2010
  • 자치시대에 지방의 기록관리는 지역의 고유한 특성을 반영하여 독립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아직 제대로 된 지방영구기록물관리기관이 한 곳도 설립되어 있지 않은 상황에서 다각적이고 적극적인 해결책을 모색할 필요가 있는데 지방기록관리의 방향을 '시설' 중심에서 '기록'과 '전문적 관리(사람)' 중심으로 바꾸는 것이 하나의 대안이다. 특히 중앙의 기록관리 프로세스라는 보편성에 매몰되었던 개별 지역의 다양성과 역동성을 찾기 위해서는 새로운 지역 기록화 전략을 적극 탐구할 필요가 있다. 도큐멘테이션 전략은 특정 지역, 주제, 사건 등에 관한 적절한 정보를 기록 생산자, 보존 기록관, 기록 이용자의 상호 협력을 통해 선별하여 수집하는 방법론으로서 80년대에 미국을 중심으로 제안되고 다양한 분야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실험되어온바 있다. 이 연구에서는 도큐멘테이션 전략이 지역 기록화를 위한 방법론으로 어떤 의미를 갖는지 살펴보고 우리의 지역 환경에 적용하기 위해서 고려해야할 점과 추진 방향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서구에서 개발된 도큐멘테이션 전략이 현 상황에서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아카이브즈 및 아키비스트의 능동적 역할을 추구하며 특히 지역사회에서 기록전문직의 가치를 인식시키는 데에 기여할 수 있다. 이 전략은 지방기록관리기관들은 행정사를 넘어서 지역사를 포괄적으로 기록화 하는 주체가 될 것을 촉구한다. 이에 따라 지방의 기록전문직들은 공공기록을 수동적으로 이관 받는 데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능동적으로 지역의 기록을 수집하고 이를 서비스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둘째, 지역 내 기록 수집기관들의 협력을 통해 단일 조직의 기능 재현에서 폭넓은 사회적 재현을 성취할 수 있다는 점이다. 서구에서 이러한 협력 모델은 과도한 업무 부담으로 실패한 경우가 많았지만 디지털 환경은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지역 내에 존재하는 다양한 기록 생산 및 소장기관들과 협력을 통해 지역의 지식역량은 물론 지역정보서비스의 수준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도큐멘테이션 전략은 다양한 집단들과의 연대를 추구한다. 이 전략은 도큐멘테이션 주제와 관련된 집단이나 공동체로부터 열정과 에너지, 전문지식을 가져올 수 있는 장점을 가지며, 도큐멘테이션 전략은 기억을 남기고자 하는 주체들이 실천적 기록문화운동을 추진하는 하나의 방법론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우리의 지역 현실에 적합한 기록화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선택적이고 집중적인 기록화를 지향한다. 지역에 관한 모든 영역에 관한 포괄적 기록화를 추진하기 보다는 지역의 로컬리티를 가장 잘 반영하는 영역과 대상을 선정하여 기록화를 추진한다. 지역을 구성하는 다양한 요소들인 사람, 사회 문화, 조직과 제도, 건조(建造) 환경, 공간 등이 상호작용하면서 만들어지고 변화하는 실체인 로컬리티를 규명하기 위해서는 전문가 집단과 지역민의 의견을 반영하는 구조가 필요하다. 둘째, 분산 보존과 통합적 재현을 지향한다. 기록화 주관기관은 다양한 기록 소장기관들과 소장자들을 연결하는 협력체계를 구축하여 분산 소장된 기록들을 통합적으로 검색할 수 있도록 한다. 즉, 한 지역의 역사 기록을 집중 보존할 기관을 정하기보다는 연계를 통한 기록화를 추진하는 것이 현실적일 것이다. 이를 위한 도구로서 지역 게이트웨이 구축을 제안하였다. 셋째, 열린 구조의 디지털 기록화를 지향한다. 지역 기록화는 맥락 재구성을 바탕으로 기록을 수집하는 방법론을 적용하게 되므로 선별된 기록에는 이미 수집자나 맥락 해석자의 의도가 반영되어 있다. 특히 맥락 분석에 의거하여 스토리를 구성하고 이에 따라 기록을 수집하거나 연계할 경우, 자의적이고 주관적인 선별이라는 비판을 받기 쉽다.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기록 맥락의 해석과 기록화 영역의 선정 등의 과정에 지역 내 다양한 집단의 의견이 반영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며, 디지털 네트워크를 통해 여러 집단 및 개인의 참여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보장해야 한다. 넷째, 지역 내 협력기관들의 영역별 기록화 수준을 정한다. 기록화에 참여하는 기관들이 디지털 기록화에 맞는 역할을 분담 받아야 하고, 각 기관은 협력적 기록화에 참여함으로써 자관 이용자들에게는 더 나은 포괄적인 기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도서관의 디지털 장서개발에 활용하는 컨스펙터스 모형을 응용하여 디지털 기록화 방법론을 새롭게 설계할 것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