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20923/kjas.2022.73.125

Documentation Strategy of Missing Archives in BUMA Democratic Uprising : Focusing on MASAN Uprising  

Choi, Gyu Myeong (경상남도경찰청)
Publication Information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 v., no.73, 2022 , pp. 125-159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study reviewed the archival collecting methodology so that the documentation method such as collecting about missing archives in BUMA Democratic uprising is prepared for and it progressed the pre-analysis by applying to working models of 'documentation strategy' that Larry Hackman and Joan Warnow-Blewett suggested. First of all, I generally examined BUMA Democratic Uprising and narrowed the scope into MASAN Uprising in order to deduce the effective documentation method, performing the pre-analysis centering on MASAN Uprising. In succession, by analyzing the type and activity of an action group of MASAN Uprising, I organized the area of MASAN Uprising documentation. Finally, by selecting some action groups of MASAN Uprising, I investigated archives in person. Based on this, I suggested the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the present-condition of missing archives, the preparation for collecting policies, active collecting, the establishment of management policy of collecting archives and the detailed management strategy about integrated management.
Keywords
BUMA Democratic Uprising; MASAN Uprising; Missing Archives; Documentation Strategy; Collecting of Archives; Archive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9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고나경 (2019). 동시대 사건 기록화를 위한 도큐멘테이션 전략 연구: L코믹스 사태를 중심으로. 기록학연구, 62, 185-224.   DOI
2 김경호 (2000). 부마민주항쟁의 배경과 정치사적 의의. 21세기정치학회보, 10(1), 1-21.
3 김장환 (2015). 국회 기록화 전략 모형 수립 연구. 기록학연구, 46, 189-231.   DOI
4 오항녕 (2003). 아키비스트의 역할과 윤리. 기록학연구, 7, 109-127.   DOI
5 이상민 (2002). 역사를 위하여 : 아키비스트와 역사가의 역할-공공기록보존소를 중심으로. 기록학연구, 6, 225-262.   DOI
6 부마민주항쟁기념사업회 (2019). 부마민주항쟁 40주년 기념사업백서.
7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 법률 제16661호.
8 부마민주항쟁기념재단 사료 관리 지침 (2020).
9 이은진 (2020). 부마민주항쟁의 기억과 기념, 부마민주항쟁 학술총서: 1979 부마민주항쟁을 기억하다, 170-196.
10 차성환 (2011). 부마항쟁과 한국언론. 항도부산, 27, 47-97.
11 장성미 (2016). 동학농민혁명 기록물의 현황과 기록학적 분석 시론. 기록학연구, 50, 231-271.   DOI
12 정상희 (2016). 청남대 건립 관련 잔존 기록물 조사 연구. 기록학연구, 47, 161-193.   DOI
13 정승안 (2018). 부마민주항쟁시기의 한국경제와 지역사회의 여건. 사회사상과 문화, 21(2), 189-225.
14 정주신 (2019). 마산의 민주화 운동 비교 분석: 1960년 3.15의거와 1979년 10.18 부마항쟁. 한국과 국제사회, 3(2), 5-58.   DOI
15 한국기록학회 (2008). 기록학 용어 사전. 서울: 역사비평사.
16 홍순권 (2011). 부마민주항쟁 연구의 현황과 과제. 항도부산, 27, 1-46.
17 Ham, F. Gerald. The Archival Edge. 1975. The American Archivist, 38(1), 5-13.   DOI
18 Samuels, Helen. 1986. Who Controls the Past. The American Archivist, 49(2), 109-124.   DOI
19 부마민주항쟁기념사업회 (2020). 부마민주항쟁기념사업회 30년 1989-2019」.
20 부마민주항쟁기념재단홈페이지. http://buma1979.or.kr/new_buma/
21 부마민주항쟁 관련자의 명예회복 및 보상 등에 관한 법률. 법률 제17373호.
22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대통령령 제32223호.
23 박범종 (2021). 한국현대사에 부마민주항쟁의 의미와 역사적 과제. 한국과 국제사회, 5(6), 297-326.   DOI
24 김유승, 류반디 (2015). 노근리사건 도큐멘테이션 전략 수립을 위한 예비 분석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5(4), 173-194.   DOI
25 설문원 (2010). 지역 기록화를 위한 '도큐멘테이션 전략'의 적용. 기록학연구, 26, 1-47.
26 신동희, 김유승 (2016). 노근리 디지털 아카이브 수집정책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6(3), 1-30.   DOI
27 안병욱 (2020). 부마항쟁의 의의와 한국 민주화운동에서 차지하는 위상. 부마민주항쟁 학술총서: 1979 부마민주항쟁을 기억하다, 6-17.
28 이은진 (2008). 1979년 마산의 부마민주항쟁 - 육군고등군법회의 자료를 중심으로. 창원: 불휘.
29 부마민주항쟁진상규명및관련자명예회복심의위원회 (2021). 부마민주항쟁 진상조사 보고서(부마민주항쟁진상규명및관련자명예회복심위원회공고제2021-5).
30 Hackman, Larry & Warnow-Blewett, Joan. 1987. The Documentation Strategy Process: A Model and a Case Study. The American Archivist, 50(1), 12-47.   DOI
31 최현진 (2021. 9. 2.). '민주화 성지' 라는 자부심. 국제신문, 출처 : http://www.kookje.co.kr/news2011/asp/newsbody.asp?key=20210903.22019000655.
32 부마민주항쟁기념사업회 (1989). 부마민주항쟁 10주년 기념 자료집.
33 이상민 (2016). 인권 의식과 민주주의의 진전을 위한 5.18광주민주화운동 기록의 수집전략. 기록학연구, 48, 5-44.   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