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tribution Network Communication Security

검색결과 112건 처리시간 0.03초

한국형 NCW를 위한 전술네트워크에서의 악의적인 노드 검출 모델 (Detection Model of Malicious Nodes of Tactical Network for Korean-NCW Environment)

  • 양호경;차현종;신효영;유황빈;조용건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71-77
    • /
    • 2011
  • NCW(네트워크 중심전)은 컴퓨터의 자료 처리 능력과 네트워크로 연결된 통신 기술의 능력을 NCW(네트워크 주임전)은 컴퓨터의 자료 처리 능력과 네트워크로 연결관 통신 기술의 능력을 활용하여 정보의 공유를 보장함으로서 효율성을 향상한다는 개념으로, 정보기술의 발전에 따라 무기체계 위주의 재래전에서 네트워크 기반의 네트워크 중심전으로 바뀌어 가고 있다. 이런 환경적인 변화에서 안전한 통신을 보장하기 위한 보안 알고리즘의 필요성이 중요시 되고 있다. 무선 Ad-hoc 네트워크에서의 악의적인 노드를 식별하는 방안들은 정상적인 노드들도 거짓으로 신고했을 때 확인절차 없이 경로를 재탐색하고 변경되어 최적의 전송환경을 활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NCW환경의 Ad-hoc에서 보안경로 탐색 프로토콜인 MP-SAR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경로에서 악의적인 노드를 검증하고, 유효한 최단 경로를 통해 데이터 전송을 하는 기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제안 기법을 사용하게 되면 노드에 대한 신고가 있을 경우 확인절차를 거쳐 불필요한 경로 재탐색을 막을 수 있게 된다.

안전한 WEB of Things 응용을 위한 개체 인증 기술 (Entity Authentication Scheme for Secure WEB of Things Applications)

  • 박지예;강남희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8B권5호
    • /
    • pp.394-400
    • /
    • 2013
  • WoT(Web of Things)는 웹 표준화 기술을 이용하여 사물간 지능화 통신을 실체화하기 위해 제안된 기술이다. WoT 환경은 LLN(Low-power, Lossy Network)과 자원이 제한적인 센서 장치 등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기존 인터넷 환경에 적용했던 보안 기술들을 그대로 적용하기는 어렵다. 최근 IETF 표준화 그룹에서는 WoT 환경에서 보안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DTLS 프로토콜을 이용한 방안이 제시되었다. 하지만 DTLS 프로토콜은 사전 설정(핸드 쉐이킹) 과정의 복잡성과 전송되는 메시지양이 많아 WoT 환경에서 종단간 보안 서비스를 제공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개선하기 위해 WoT 환경을 DTLS 적용 가능 구간과 경량화 보안 기술이 적용될 구간으로 나누고, 경량화 구간을 위한 상호 인증 및 세션키 분배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사용자의 관리가 용이한 스마트기기를 모바일 게이트웨이 및 WoT 프락시로 사용한다. 제안기술은 ISO 9798 표준화 기술을 수정하여 메시지 전송량을 줄이고 암호 프리미티브 계산량을 감소시키도록 했다. 또한 제안 기술은 재전송 공격, 스푸핑 공격, 선택 평문/암호문 공격, 및 DoS 공격 등에 대응 할 수 있다.

Big Data 분석을 활용한 통신망 관리 시스템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nhancement Process of the Telecommunication Network Management using Big Data Analysis)

  • 구성환;신민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2호
    • /
    • pp.6060-6070
    • /
    • 2012
  • 시장의 변화 및 소비자의 요구 변화를 비롯한 기업 내외부의 상황변화에 대응해서 얼마나 빠르게 적응할 수 있는가 하는 것이 실시간 기업의 핵심요건이다. 이러한 실시간 기업이 가진 변화의 속도를 지원하기 위해서 최근 Big Data 처리 기술이 각광받고 있다. 특히 최근 유무선 통신망의 진화 및 고도화가 가속되고 있는 상황에서 대규모 통신 트래픽을 실시간으로 처리하여 안정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과 강력한 보안 관제 기능은 매우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의 Big Data처리기술을 활용하여 통신 사업자들이 갖고 있는 경영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효과적인 통신망 관리 시스템의 운영에 관한 연구를 진행한다.

홈 네트워크 서비스를 위한 인증시스템 구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lementation of Authentication System for Home Networking Service)

  • 이기영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1091-1098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홈 네트워킹 서비스를 위한 인증 시스템을 설계하고 이것을 실제 센서 노드에 적용하였다.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키 관리 기법인 대칭키 사전 분배방식과 계층적인 키 구조를 적용하여 인증키의 노출을 방지하였다. 또한 SPINS를 기반으로 CBC(cipher block chain) 방식의 RC5 암호화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인증키 및 데이터의 암호화를 수행하였다. 베이스 스테이션(BS)과 센서 노드로 실험 환경을 구축하였고, 각 센서 노드들은 수신된 데이터를 암호화된 인증키와 함께 BS로 전송하게 된다. 실험은 홈 네트워크 서비스에서 발생할 수 있는 보안 위협에 대한 시나리오를 설정하여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TinyOS의 TOS_Msg 데이터 구조를 약간 변경하여 인증을 위한 8바이트의 인증키를 저장하고 각 센서 노드의 인증 및 데이터의 암호화를 가능하게 하였다. 이를 통해 다른 그룹의 센서노드와 BS 사이의 통신 및 악의적인 목적으로 추가된 센서 노드와의 통선으로 인한 오동작을 막을 수 있었고 생체신호와 같은 중요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암호화를 통한 안전한 홈 네트워킹 서비스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헬스케어 빅데이터 유통을 위한 블록체인기술 활성화 방안 (Blockchain Technology for Healthcare Big Data Sharing)

  • 유형원;이은솔;고우균;한호성;한현욱
    • 한국빅데이터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73-82
    • /
    • 2018
  • 미래 의학의 핵심은 개인을 중심으로 한 정밀의료(Precision Medicine)의 실현이다. 이것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헬스케어 데이터를 언제 어디서나 열람, 관리 및 유통 할 수 있는 개방형 생태계를 갖추어야 한다. 하지만, 헬스케어 데이터는 민감한 개인정보를 다루기 때문에 상당한 수준의 신뢰성과 보안성이 동시에 요구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최근 의료계에서도 블록체인 기술에 주목하고 있다. 블록체인 기술은 거래정보를 중앙 서버에 저장 및 관리하는 기존의 정보통신 인프라와는 달리 유통되는 데이터를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모든 사용자가 분산 및 관리하는 방식의 분산 운영망 이다. 본 연구에서는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해 헬스케어 데이터 유통 실증에 필요한 기술적 및 법리적 제반 사항, 코렌(KOREN SDI)망 기반 헬스케어 빅데이터 유통 실증 연구의 소개 및 헬스케어 분야에서 블록체인 기술을 활성화하기 위한 정책적 전략에 대해 논의한다.

빅데이터 연구동향 분석: 토픽 모델링을 중심으로 (Research Trends Analysis of Big Data: Focused on the Topic Modeling)

  • 박종순;김창식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1-7
    • /
    • 2019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rends in big data. Research abstracts were extracted from 4,019 articles, published between 1995 and 2018, on Web of Science and were analyzed using topic modeling and time series analysis. The 20 single-term topics that appeared most frequently were as follows: model, technology, algorithm, problem, performance, network, framework, analytics, management, process, value, user, knowledge, dataset, resource, service, cloud, storage, business, and health. The 20 multi-term topics were as follows: sense technology architecture (T10), decision system (T18), classification algorithm (T03), data analytics (T17), system performance (T09), data science (T06), distribution method (T20), service dataset (T19), network communication (T05), customer & business (T16), cloud computing (T02), health care (T14), smart city (T11), patient & disease (T04), privacy & security (T08), research design (T01), social media (T12), student & education (T13), energy consumption (T07), supply chain management (T15). The time series data indicated that the 40 single-term topics and multi-term topics were hot topics. This study provides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전자상거래 지불시스템을 위한 보안 프로토콜 설계 (The Design of the Security Protocol for Electronic Commerce Payment System)

  • 이상덕;한승조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112-117
    • /
    • 2007
  • 현대 사회는 인터넷의 급속한 보급과 발전으로 사회활동 전반에 걸친 변화를 주도하고 있으며, 새로운 형태의 상거래인 인터넷을 이용한 전자상거래(Electronic Commerce)가 확산 발전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공용 키 (PKI)에 기초를 두는 네트워크형 전자지불 프로토콜을 제안하고자 한다. 제안된 프로토콜은 컨텐츠 거래를 위해 개발된 NetBill 시스템의 익명성을 보장하지 못했던 단점을 보완하였다. 또한 온라인 상에서 제공된 디지털 콘텐츠에 대해 인증번호를 부여함으로써 무단 복제를 방지하고 최대한 안전성이 확보되도록 하였다.

  • PDF

MPEG비디오 부호화기 내의 scrambling 기술 (Scrambling Technology in MPEG Video Environment)

  • 권구락;윤주상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3권7호
    • /
    • pp.1279-1284
    • /
    • 2009
  • 멀티미디어 기술의 발달로 인터넷을 이용하는 사용자 사이의 멀티미디어 공유가 현재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이는 일반적인 네트워크에서 보호되지 않은 컨텐츠와 보호된 컨텐츠가 사용자에게 P2P 배포로 전송 가능하다. 필연적으로 이러한 환경은 무료로 저작권이 있는 미디어 데이터가 제공되어지고 불법적인 기술들이 발생한다. 결과적으로 불법적인 공격과 배포를 보호하기 위해서 디지털저작권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DES 암호기술을 이용하여 저작권이 있는 멀티미디어를 보호하기 위해 복잡도가 낮은 scrambling 기술을 제안한다. 실험적인 결과에서 제안한 기술은 압축속도, 안전성, 파일크기를 고려하여 좋은 성능을 실험을 통해 확인된다.

Study on Digitalisation of the Tourism Industry in the Regions of the Russian Federation

  • Ivanova, Raisa;Skrobotova, Olga;Polyakova, Irina;Karaseva, Galina;Strelnikova, Marina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8호
    • /
    • pp.385-391
    • /
    • 2022
  • The relevance of the published study lies in the fact that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first Global Distribution System, new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e constantly been changing the tourism industry. In the context of a current digital environment, travel agencies can't avoid participating in digital transformation processes aimed at rethinking operational models, skills, and organisational structures in the regions. This publication aims to present and provide a critical overview of digitalisation processes in tourism development in the regions of the Russian Federation, as well as to reflect on the challenges to the widespread digitalisation processes in the regional tourism sector. The subject of research is digitalisation processes, as they radically transform the modern tourism industry, in the regions as well. The pragmatic research paradigm was considered the most appropriate for the study of tourism digitalisation processes in the regions, as it does not require the selection of a specific theoretical basis for data collection. The pragmatic approach forms an alternative to classical theoretical approaches and serves as a particular type of grounded theory, combining both inductive and deductive methods. No software was used for the inductive part of the analysis. The deductive part was conducted using the qualitative data analysis software Nvivo 11. Given the wide diversity of interested parties in the regional tourism digital area, a stratified purposive sampling method was preferred due to its ability to adequately represent the full picture of the phenomenon under study. The selection and stratum criteria were chosen to maximise the representation of different perspectives in the regional tourism digital area. The novelty of the study is due to the digitalisation processes, with an implication of new needs, while opening up promising opportunities for more productive tourism business in the regions of the Russian Federation. Currently, e-tourism in the Russian Federation has become a subject of lively debate among scholars and practitioners. However, the involvement of advanced digitalisation technologies in the field of information processes in the regions of the Russian Federation is of a very sporadic character.

텔레메틱스 환경에서 이동성과 보안성을 고려한 지문정보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프로토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ingerprint-based User Authentication Protocol Considering both the Mobility and Security in the Telematics Environment)

  • 김태섭;오룡;이상준;이성주;김학재;정용화;조충호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2권11A호
    • /
    • pp.1128-1137
    • /
    • 2007
  • 최근 인터넷 및 이동통신 기술의 발전과 함께 차량에서 무선 단말을 이용하여, 유선 네트워크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텔레메틱스 환경이 실현되고 있다. 텔레메틱스 환경 구축에 앞서 선결해야 하는 문제로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보안성을 고려한 사용자 인증의 문제, 보안성과 이동성의 상충성, 인증의 가용성 등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텔레메틱스 환경 구축에 있어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효율적인 사용자 인증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사용자 인증 프로토콜에서는 차량에서 사용자의 인증이 용이하고 분실, 도난 망각의 위험이 없는 생체정보(지문정보)를 이용하고, 사용자 인증 정보를 암호화하기 위한 임시키(Session Key)를 생성하기 위한 마스터키(Master Key)분배가 이루어진다. 특히, 이동성을 고려하여 보안상 취약점을 최소화하고 보다 효율적인 시스템을 위하여 액세스포인트(Access Point)간의 인증정보를 보다 안전하게 전달할 수 있는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또한 텔레메틱스의 여러 환경 중 무선랜 환경에서 제안한 프로토콜을 구현하였고, 제안한 프로토콜에 대한 다양한 공격으로부터의 안전성을 분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