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tinctiveness

검색결과 148건 처리시간 0.033초

호텔 레스토랑의 방문동기, 소비자태도, 재방문 의도와의 영향관계 (Relationships between Hotel Restaurant Visit Motivations, Consumer Attitudes, and Revisit Intention)

  • 장동옥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54-264
    • /
    • 2016
  • 본 연구는 2016년 3월 1일 경부터 3월 31일에 이르는 약 한 달 정도의 조사기간을 두어 실시하였고, 자료 수집은 서울 시내 특급 호텔을 대상으로 연구목적과 설문내용을 관리자에게 충분히 설명한 후, 관리 책임자의 책임 하에서 방문하는 고객에게 자기기입식으로 응답하게 하였다. 첫째, 호텔 레스토랑 방문동기와 인지도는 이미지 B=0.524(p<.001), 음식 B=0.121(p<.05), 독특성 B=0.251(p<.001)은 소비자 태도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력이 있었다. 둘째, 호텔 레스토랑 방문동기와 선호도는 이미지 B=0.577(p<.001), 사회성 B=0.192(p<.001), 독특성 B=0.173(p<.01)은 소비자 태도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력이 있었다. 셋째, 호텔 레스토랑 방문동기와 구매 의도간에는 이미지 B=0.705(p<.001), 주변성 B=0.113(p<.01)로 소비자 태도 중 구매의도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력이 있었고, 음식 B=-0.135(p<.01)와 사회성 B=-0.123(p<.001)은 부(-)의 영향력이 있었다. 또한, 소비자 태도와 재방문 의도를 살펴보면 인지도 B=0.464(p<.001), 선호도 B=0.321(p<.001), 구매의도 B=0.205(p<.001)로 전부 유의적인 정(+)의 영향력이 있었다.

STA(Short-term Attractive) 정보의 인지특성에 따른 시각화 속성과 정보 표현 (Attributes and Methods for Information Visualization according as Cognitive Features of STA(Short-term Attractive) Information)

  • 한지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0호
    • /
    • pp.483-491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정보의 즉각적 인지가 가능하면서 미적 문화적 특수성을 내재'하고 있는 STA(Short-term Attractive) 정보의 인지적 특성을 파악하고 그에 맞는 시각화 속성과 표현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다. 정보디자인과 인지심리학을 바탕으로 STA 정보의 인지적 특성을 도출하고, 정보의 노출빈도와 인지도 관계에 따른 정보 속성에 관한 선행연구를 토대로 STA 정보의 시각화 속성 네 가지를 도출하였다. 정보 인지적 측면에서 STA 정보의 주요 시각화 속성인 '이해 할만한(Understandable)', '간결성(Conciseness)'에 대한 주요 표현 방법으로 은유, 환유, Indexical Image와 Context의 활용, 수사학, 기억보조장치(Mnemonic Device)를 제안하였다. 정보의 감성적 지각 측면에서는 주요 시각화 속성인 '타당성(Relevance)', '가치 있는(Valuable)'에 대한 주요 표현 방법으로 익살, 패러디, 특수성, 친근감, 키치, 조형적 아름다움, 새로움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표현 방법들과 정보 적용 환경에 따른 인지도 관계 분석을 진행하고자 한다.

집단 성과급제도의 공정성이 신뢰에 미치는 영향 - 인사시스템 신뢰강도의 조절효과로 - (A Study on the Effect of Fairness Perception of Incentive System on Manager-Trust -The moderating effect on HRM strength-)

  • 김성건;김해룡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9호
    • /
    • pp.199-214
    • /
    • 2016
  • 기업에서 매년 성과급 지급과 관련하여 노사 간의 협상이 이루어지고 있다. 협상에 따라 노사 간의 갈등을 초래하기도 한다. 이러한 집단적 노사관계에 있어서 인사시스템에 대한 신뢰는 매우 중요하다. 성과급 이슈에서 시작된 본 연구는 성과급 공정성이 경영자 신뢰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분석하고 인사시스템 신뢰강도가 어떻게 조절효과를 나타내는가를 파악하여 인적자원관리 선택이 경영자신뢰에 미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성과급의 공정성과 경영자 신뢰도는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친다고 나타났다. 그리고 성과급제도의 공정성과 경영자 신뢰의 영향관계에 있어서 인사시스템 신뢰강도의 조절작용 효과를 검정한 결과, 분배공정성과 경영자 신뢰도의 관계에서 명확성, 일관성, 합의성은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절차공정성과 경영자 신뢰도의 영향관계에서는 일관성, 합의성은 조절효과가 없었으나 명확성은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성과급 공정성의 인식정도가 높을수록 경영진의 신뢰가 증가하며, 인사시스템의 신뢰강도에 있어서 다른 항목보다도 명확성이 보다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에서 적용가능한 보전지역 평가기준에 대한 고찰 (Review for Evaluation Criteria for the Establishment of Conservation Areas in Korea)

  • 신현탁;김용식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47-256
    • /
    • 2001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 나라의 실정에 맞는 보전지역의 평가기준을 마련하여 적용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현재가지 발표되는 평가기준에 관한 논문과 보고서 등을 바탕으로 평가기준을 마련하고, 우리 나라 상태에서 적용가능한 평가기준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평가기준 중에서 현재 기초자료의 부족으로 보편적 자료로 활용할 수 없는 기준은 제외하고 우리 나라 실정에 맞으며. 기초자료의 수집이 가능한 요소만을 평가기준으로 선정하였다. 보전지역에 대한 평가기준을 설정하기 위하여 국내외 선행연구와 기존문헌을 조사하여 보전가치에 대한 평가항목을 분석한 결과, 총 27개의 항목이 평가기준으로 사용되었으며, 희귀성 21회, 유용성 및 다양성 15회, 면적, 자연성 및 인간의 간섭이 각각 73회, 대표성 72회, 허약성 70회로 나타났다 국내외 평가기준 중에서 정량적으로 다루어 진 평가기준은 총 13개였으며 이 중 희귀성 9회. 인간의 간섭 8회, 면적 5회의 빈도를 보였다. 총 27개의 평가기준 중 우리 나라의 상황에 맞는 평가기준을 선정한 결과. 희귀성, 분류학적 특이성, 인간의 간섭 등 3가지이며 그 외에 유용성 등과 같은 기준은 인접분야에 대한 연구와 조사가 이루어지면 유용하게 사용될 기준이다.

  • PDF

The Relationships among Food Image, Tourist Satisfactions and Destination Loyalty Intention: A Case of Hanoi Local Cuisine

  • Tu, Minh;Lee, Kwang-Woo;Park, Soo-Han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70-77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ourist satisfaction towards Hanoi local food image as well as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ose two variables with tourist destination loyalty intention. A self-administered survey was carried out in Hanoi, Vietnam. Of the distributed 400 questionnaires, a total 393 respondents of foreign tourists were used to data analysis by a convenience sampling method.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underlying dimensions of what foreign tourists expect most from Hanoi local food image. The results showed that foreign tourist perceived Hanoi local food image as, food quality, food culture, contexture features and atmospheric. The finding showed that Hanoi local food image had a direct effect on foreign tourist's satisfaction and destination loyalty intention. In addition, tourist satisfaction had a positive influence on destination loyalty intention. At last, considering the results from this study, it is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create and maintain the identity of image by formulating appropriate strategies and it is instrumental to promote local food image based on its distinctiveness and diversity which stands for the unique native culture.

악보자료 목록의 기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cription of Printed Music Cataloging)

  • 한경신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231-256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오늘날 악보자료의 목록을 위해 사용되는 목록규칙의 분석을 통해 악보자료의 목록규칙에 관한 올바른 이해를 돕고, 우리의 악보자료에 대한목록과 목록규칙의 발전을 위한 토대를 마련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악보자료의 특성과 종류에 대해 살펴보고 기존의 악보자료에 관련된 목록규칙들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현재 악보자료 목록규칙의 근간을 이루는 ISBD(PM)을 비롯하여, 주요 목록규칙으로 사용되는 AACR2R 2002 Revision 2004 Update 제5장 Music과 KCR4 제5장 악보, 그리고 KORMARC(통합서지용)과 MARC21 (Bibliographic Data)의 악보부문을 대상으로, 악보자료 목록시 다른 자료들과 구별되는 기술영역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들 영역은 기술의 정보원, 표제와 자료유형표시, 악보의 종류에 관한 사항, 발행사항, 형태사항, 주기사항 등에서의 특징과제문제 등이다.

  • PDF

20세기 그래픽 디자인의 미니멀 경향 (Minimal Graphics in Twentieth-Century Design)

  • 강현주
    • 디자인학연구
    • /
    • 제16권3호
    • /
    • pp.123-132
    • /
    • 2003
  • 본 연구는 1990년대 후반 이후 다시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 그래픽 디자인에서의 미니멀한 경향을 디자인사적인 맥락에서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 하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제1장 에서는 "적을수록 많다", "적을수록 지루하다", "나는 적음과 많음을 믿는다" 등의 세 개의 디자인 경구를 통해 20세기 디자인의 전개 과정과 그 주제들을 살펴보았고, 제2장에서는 그래픽 디자인에 나타난 미니멀한 디자인 경향과 그 특성들을 시기별로 고찰해보았다. 최근의 미니멀 그래픽스 경향은 그래픽 디자이너들이 20세기 후반의 사회적ㆍ문화적 기술적 변화들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면서 분야의 전문성과 정체성을 새롭게 재정의해 가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기 등장한 것이다. 이제 디자인의 내용과 형식, 스타일, 작업논리와 학문적 체계의 구성 등에 대해 보다 심화되고 확장된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라 생각된다.보다 심화되고 확장된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라 생각된다.

  • PDF

Lysobacter ginsengisoli sp. nov., a Novel Species Isolated from Soil in Pocheon Province, South Korea

  • Jung, Hae-Min;Ten, Leonid N.;Im, Wan-Taek;Yoo, Soon-Ae;Lee, Sung-Taik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9호
    • /
    • pp.1496-1499
    • /
    • 2008
  • A Gram-negative, aerobic, rod-shaped, nonspore-forming bacterial strain, designated Gsoil $357^T$ was isolated from soil sample of a ginseng field in Pocheon Province (South Korea). The isolate contained Q-8 as the predominant ubiquinone and iso-$C_{16:0}$, iso-$C_{17:1}$ ${\omega}9c$, and iso-$C_{15:0}$ as the major fatty acids. The G+C content of the genomic DNA was 69.3 mol%. A phylogenetic analysis based on 16S rRNA gene sequences revealed that strain Gsoil $357^T$ was most closely related to Lysobacter gummosus (97.6%) and Lysobacter antibioticus (97.6%). However, the DNA-DNA relatedness value between strain Gsoil $357^T$ and its phylogenetically closest neighbors was less than 17%. On the basis of its phenotypic properties and phylogenetic distinctiveness, strain Gsoil 357T should be classified as representing a novel species in the genus Lysobacter, for which the name Lysobacter ginsengisoli sp. novo is proposed. The type strain is Gsoil $357^T$ (=KCTC $12602^T$=DSM $18420^T$).

몽타주 기법과 음영합성 기법을 이용한 벡터기반 얼굴 생성 (Vector-based Face Generation using Montage and Shading Method)

  • 박연출;오해석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1권6호
    • /
    • pp.817-828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몽타주 기법과 음영합성 기법을 이용한, 디자이너(예술가)의 감각을 살린 벡터 기반의 얼굴 생성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사진으로부터 얼굴의 특징정보를 추출하여 사람의 얼굴과 유사한 얼굴을 자동으로 생성해 주는 시스템이며, 윤곽선만을 사용하던 기존의 얼굴 생성 시스템과 달리 컬러 기반이며, 음영을 사진으로부터 추출하여 이를 이목구비 이미지와 합성하여 생성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실사형에 좀 더 근접한 얼굴을 생성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 벡터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사이즈에 제한 얼이 자유로운 변형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디자이너 또는 그림 작가의 느낌을 결과물에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 타 접근방식과의 차별성을 갖는다. 또, 2D 아바타에 자유로운 표정을 적용하는 데에도 쉽게 적용이 가능하다.

가청화를 이용한 G예술회관의 대공연장 음향 성능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Valuation about Acoustic Performance utilizing Auditory-Evocation for Grand Performance Hall of G Art Hall)

  • 김남돈;윤재현;김재수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623-627
    • /
    • 2007
  • In case of the Grand Performance Hall, in view of its distinctiveness, since various Assembly Activity as well as Lecture together with the use for Music are important besides the purpose of Performance itself, the consideration with regard to the sound environment which enables to minimize the acoustic defect has appeared on the stage as an essential factor. On this viewpoint, this Study has attempted to examine the acoustic satisfaction degree and its response regarding to the grand performance hall by means of the measurement and valuation about the psychological volume of human-being using the auditory-evoked technology that possible to experience the Virtual Sound Field at the designing stage, after practice of the optimized acoustic design for the object of the grand performance hall on the step of construction. As the result of auditory-evocation, it was known that the valuation about the acoustic performance after reformation has been improved affirmatively than before reformation. It is considered that such outcome of the study could be utilized as the useful material that enables to improve the curtailment effect of construction cost and the acoustic performance, by means of the presupposition control about the acoustic problem from the stage of design, for the occasion when the similar Performance Hall is planning to build, hereafte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