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persion Polymerization

검색결과 161건 처리시간 0.027초

비닐단량체를 함유한 새로운 실리콘의 합성과 수성 Polyurethane-Veova/Vinyl Acetate 하이브리드 에멀젼 공중합체 내에서 사용 (Synthesis of Novel Silicone Containing Vinylic Monomer and Its Uses in the Waterborne Polyurethane-Veova/Vinyl Acetate Hybrid Emulsion Copolymers)

  • Naghash, Hamid Javaherian;Naeni, Elham Kasaeian
    • 폴리머
    • /
    • 제35권5호
    • /
    • pp.409-418
    • /
    • 2011
  • A novel silicone (Si) containing vinylic monomer, N-(3-(triethoxysilyl)propyl) methacrylamide (TESPMA), based on 3-aminopropyltriethoxysilane (APTES) and methacryloyl chloride (MCl) has been synthesized for formulation of waterborne polyurethane (WPU). Two types of vinyl group containing Si, methacryloxypropyltriethoxysilane (MPTES) and triethoxyvinylsilane (TEVS), have been used as coupling reagents for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Si kinds with TESPMA on the WPU. A series of new siliconized WPU, vinyl acetate/vinyl ester of versatic acid (VAc-Veova), TESPMA, MPTES and TEVS hybrid latexes have been successfully prepared by emulsion polymerization in the presence of WPU dispersion.

감성물질의 마이크로캡슐화에 의한 감성기능 섬유의 개발(IV) -감온변색 기능섬유-

  • 김문식;박수민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9권6호
    • /
    • pp.79-86
    • /
    • 1997
  • The microcapsule for thermochromism is based on the polymerization reaction between epoxy resin and amine curing agent. The preparation process of microcapsule is based on dissolving or dispersing a hydrophobic core materials[one-dye-black(OBD), bis-phenol A(BPA), cetyl alcohol] in an aqueous solution of gelatin, epoxy resin and isophorondiamine(IPDA) ; the gelatin and IPDA used as a dispersion stabilizer and an hardening agent, respectively. The structures of epoxy resin and microcapsule materials have been analyzed by FT-IR and UV/Vis spectra. The mean diameter and size distribution of microcapsule are 1.46~1.75${\mu}{\textrm}{m}$ and 1.42, respectively. The DSC thermograms of microcapsules indicated 2 kinds of endothermic peaks at 47 and 322$^{\circ}C$. This is possibly corresponding to the melting peak of core material and wall meterial. These microcapsules are applied to the fabric by printing. Complex finished fabric showed a good wear resistance on rubbing test and the print pattern to the cotton fabric showed a reversible thermochromism ; ${\mu}_{max}$ are 580 nm below 4$0^{\circ}C$ and 276.5nm above 4$0^{\circ}C$ in ethanol/water(2/8), respectively.

  • PDF

Tribological and rheological tests of core-shell typed carbonyl iron/polystyrene particle-based magnetorheological fluid

  • Zhang, Peng;Dong, Yu Zhen;Choi, Hyoung Jin;Lee, Chul-Hee
    • Journal of Industrial and Engineering Chemistry
    • /
    • 제68권
    • /
    • pp.342-349
    • /
    • 2018
  • Polystyrene (PS) was coated on carbonyl iron (CI) particles via dispersion polymerization to produce core-shell structured CI/PS particles and adopted as magnetorheological (MR) material. Two MR fluids were prepared by dispersing CI/PS and CI particles in silicone oil. Their MR and tribological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using a rheometer and a reciprocating friction and wear tester, respectively. Experimental data showed that tribological properties of MR fluid based on CI/PS particles are significantly enhanced compared to those of CI based MR fluid. Sedimentation problem of CI/PS MR fluid was also expected to be improved due to relatively lower density of CI/PS particles.

키토산 올리고당 유도체의 베지클 형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ormation of Vesicle by Chitosan Oligosaccharide Derivative)

  • 하병조;박성규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87-198
    • /
    • 2000
  • 게 껍질에서 얻어진 키토산에 아질산나트륨을 가한 후 수산화붕소산 나트륨으로 환원시켜 중합도 2∼3인 2,5-anhydro-D-mannitol의 말단기를 갖는 키토산 올리고당을 합성하였다 염화팔미틴산을 DUP 촉매하에서 키토산 올리고당과 반응시켜 키토산 올리고당에 세 개의 아실기가 결합된 키토산 올리고당 유도체를 얻었으며, 이를 다시 수산화칼륨으로 가수분해하여 N-팔미토일 키토산 올리고당을 합성하였다. 최종적으로 수용액에 분산시킨 후 초음파를 가한 후 형성된 베지클을 TEM 을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Preparation and Analysis of High Functional Silicone Hydrogel Lens Containing Metal Oxide Nanoparticles by Photopolymerizaion

  • Heo, Ji-Won;Sung, A-Young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193-199
    • /
    • 2022
  • In this study, lenses are fabricated using various nanomaterials as additives to a silicone polymer made with an optimum mixing ratio and short polymerization time. In addition, PVP is added at a ratio of 1 % to investigate the physical properties according to the degree of dispersion, and the compatibility with hydrophobic silicone and the possibility of application as a functional lens material are confirmed. The main materials are SIU as a silicone monomer, DMA, a hydrophilic copolymer, EGDMA as a crosslinking agent, and 2H2M as a photoinitiator. Holmium (III) oxide, Europium (III) oxide, aluminum oxide, and PVP are used. When Holmium (III) oxide and Europium (III) oxide are added based on the Ref sample, the characteristics of the lens tend to be similar overall, and the aluminum oxide shows a tendency slightly different from the previous two oxides. This material can be used as a silicone lens material with various nano oxides and polyvinylpyrrolidone (PVP) acting as a dispersant.

(TBMA)Macromer를 그라프트시킨 음이온성 아크릴 공중합체의 합성과 물성 (The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TBMA)Macromer Grafted Anionic Acrylic Copolymer)

  • 김형욱;노시태;강신춘
    • 공업화학
    • /
    • 제4권3호
    • /
    • pp.627-636
    • /
    • 1993
  • 마크로머를 이용한 음이온성 아크릴 수지를 제조하기 위하여 음이온 리빙 중합법으로 TBMA를 합성하였고 이들을 다시 MMA와 공중합 시켜 아크릴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음이온 site 함량을 제어하기 위하여 (TBMA)마크로머의 MMA의 weight 비율을 7/93, 10/90, 15/85, 20/80, 30/70, 40/60, 50/50가지 변화시켜 합성하였다. (TBMA)마크로머의 음이온 리빙 중합과정에서는 반응온도를 $-78^{\circ}C$로 유지하면서 n-butyllithium-diphenylethylene계 개시제 시스템을 사용하였으며 정지반응 단계에서는 말단에 이중결합을 도입하기 위하여 capping material로 benzaldehyde를 사용한 후, methacryloyl chloride와 반응시켰으나, 넓은 분자량 분포(1.4~1.5)가 나타났다. 또한 그라프트 공중합체 내의 TBMA는 p-toluenesufonic acid인 촉매로 가수분해하였고 중화제로 triethylamine을 사용한 중화 반응은 아크릴 수지의 음이온성을 부여하였다. (TBMA)마크로머의 분자량과 분자량 분포에 대한 측정은 GPC를 이용하였으며 TBMA의 가수분해 반응과 더불어 아크릴 수지의 이온화 반응을 IR과 NMR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TBMA)수분산성 및 분산 안정성의 관점에서 그라프트 공중합체내의 (TBMA)마크로머 분자량에 대한 가지(branch)의 길이와 TBMA함량을 관련지어 검토한 결과 분자량이 작은(TBMA) 마크로머에서는 적은 TBMA 함량으로도 안정된 수분산화 현상이 일어남을 알았다.

  • PDF

유기 주형 입자를 이용한 소디움 실리케이트로부터 중공형 실리카 입자 제조 (Synthesis of Hollow Silica Particles from Sodium Silicate using Organic Template Particles)

  • 이총민;김지웅;장한권;노기민;장희동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3권1호
    • /
    • pp.78-82
    • /
    • 2015
  • 유기주형(organic template) 입자를 이용하여 소디움실리케이트(sodium silicate)로부터 중공형 실리카(hollow silica) 입자를 제조하였다. 유기주형 입자로는 스티렌 단량체(styrene monomer)로부터 분산중합(dispersion polymerization)에 의해 제조된 폴리스티렌 라텍스(polystyrene latex, PSL) 입자를 사용하였다. 유기주형 입자 제조 시 중합개시제인 2,2'-azobisisobutyronitrile(AIBN)의 주입량을 조절하여 $1{\sim}3{\mu}m$의 크기를 가진 입자를 제조하였다. 생성된 유기주형 입자 표면에 졸-겔(sol-gel)법에 의해 소디움실리케이트로부터 생성된 실리카($SiO_2$) 나노 입자를 코팅하여 PSL/$SiO_2$ 코어-쉘 형태의 입자를 제조하였다. 유기용매인 테트라하이드로푸란(tetrahydrofuran, THF)을 이용하여 코어-쉘 입자 내부의 유기주형을 제거 하였다. 코어-쉘 입자 제조 시 용매의 종류 및 pH의 변화에 따라 생성되는 중공형 실리카 입자의 형상을 조사하였다. PSL/$SiO_2$ 코어-쉘 입자 제조 시 용매를 에탄올에서 물로 변경했을 때 중공형 실리카 입자가 성공적으로 제조되었으며 낮은 pH 값을 갖는 용매에서 쉘 두께가 균일한 중공형 실리카 입자가 형성되었다. 중공형 실리카 입자의 반사도를 측정한 결과 상용 제품(Insuladd)보다 높은 반사 특성을 보여주었다.

탄소나노튜브와 나노클레이를 포함하는 폴리스티렌 및 스티렌계 공중합체 나노복합재료의 물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Properties of Polystyrene and Styrenic Copolymer Containing Carbon Nanotubes and Nanoclay)

  • 이경훈;김영두;이민호;민병훈;김정호
    • 공업화학
    • /
    • 제20권5호
    • /
    • pp.493-499
    • /
    • 2009
  • 본 실험에서는 탄소나노튜브(CNT) 및 나노클레이(clay)가 포함된 폴리스티렌(PS) 및 스티렌계 공중합체 나노복합재료의 물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스티렌계 공중합체의 공단량체(comonomer)로는 vinylbenzyl trimethyl ammonium chloride(VTAC)를 사용하여 스티렌/VTAC 공중합체(SVTAC)를 유화중합에 의해 제조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한 폴리스티렌 및 SVTAC 공중합체 에멀젼에 CNT와 clay를 종류 및 함량을 변화시키면서 혼합하는 방법으로 나노복합재료를 제조하였다. PS/CNT 나노복합재료 보다 공단량체를 첨가하여 제조한 SVTAC/CNT 나노복합재료가 더 높은 전기 전도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유화중합시 유화제의 함량을 증가시켜서 제조한 경우에 더 좋은 전기 전도도를 얻을 수 있었다. 이것은 공단량체와 유화제가 CNT 분산 및 전기전도에 긍정적으로 작용하였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나노복합재료 내에서의 CNT의 분산을 알아보기 위하여 TEM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comonomer의 첨가 및 유화제의 함량이 나노복합 재료 내에서 CNT의 최종 분산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열적 및 동역학적 물성들을 DSC와 DMA로 측정하여 comonomer 및 유화제의 함량, clay 및 CNT의 첨가가 나노복합체의 물성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 조사하였다.

다중벽탄소나노튜브 복합재료의 계면 및 열전도도에 표면처리 방법이 미치는 영향 (Effect of Multi-wall Carbon Nanotube Surface Treatment on the Interface and Thermal Conductivity of Carbon Nanotube-based Composites)

  • 유기문;이성구;김성룡
    • 접착 및 계면
    • /
    • 제11권4호
    • /
    • pp.174-180
    • /
    • 2010
  • 다중벽탄소나노튜브를 표면처리하여 polymethylmethacrylate (PMMA) 기재에 첨가하여 제조한 고분자 복합재료에서 탄소나노튜브의 표면처리가 계면 및 열전도도에 미치는 효과를 고찰하였다. Coagulation 방법과 atomic transfer radical polymerization (ATRP) 방법을 사용하여 탄소나노튜브를 표면 처리 하여 사용하였으며, ATRP 방법을 적용하여 제조한 복합재료는 coagulation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한 복합재료보다 높은 열전도도와 투과도를 가졌다. 순수 PMMA의 열전도도가 0.21 W/mK인데 비하여 ATRP 방법으로 처리한 1 wt%의 탄소나노튜브를 첨가하였을 경우 0.38 W/mK로 열전도도가 향상되었다. 탄소나노튜브와 PMMA기재의 계면을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한 결과 탄소나노튜브의 표면처리에 의해 기재 내에 분산이 향상되고 고분자기재-탄소나노튜브 계면에서의 접촉이 용이해져 포논산란이 감소되어 광 투과성을 가지면서 열전도도가 향상된 것으로 보인다.

실록산 변성 에틸렌프로필렌 고무/고밀도 폴리에틸렌/카본블랙 복합체의 제조와 물성 (Preparation and Properties of Siloxane Modified EPDM/HDPE/Carbon black Composite)

  • 이병철;강두환
    • 폴리머
    • /
    • 제31권1호
    • /
    • pp.80-85
    • /
    • 2007
  • Maleic anhydride (MA)와 ethylene-propylene-diene terpolymer(EPDM)를 용액중합으로 말레화 EPDM(MEPDM)을 제조하고 이를 quaternary ammonium silyl Polydimethylsiloxane-TCNQ adduct(PST)와 internal mixer(Rheomix 600P)를 사용하여 용융중합으로 MEPDM-g-PST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과 MEPDM-g-PST 공중합체 및 카본블랙 (5, 10, 15 및 20 phr)을 배합하여 MEPDM-g-PST/HDPE/CB 복합체(MPEC)를 제조하였고 HDPE와 카본블랙(5, 10, 15 및 20 phr)을 배합하여 HDPE/CB 복합체(PEC)를 각각 제조하였다. MEPDM-g-PDMS 공중합체의 구조는 FTIR을 이용하여 확인하였으며 MA의 최대 그래프트율은 2.35%이였다. 제조한 복합체의 열적 특성을 측정한 결과 MPEC와 PEC는 유사한 열분해 온도를 나타내었다. MPEC의 인장강도는 카본블랙의 함량이 5에서 20 phr로 증가함에 따라 240에서 372 MPa로 증가하였으며 모폴로지를 분석한 결과 PEC보다 MPEC의 경우에서 카본블랙의 분산이 보다 더 잘 이루어졌음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