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cussion & debate

검색결과 124건 처리시간 0.027초

토의·토론 중심 수리논술수업이 고등학생들의 수학적 성향과 태도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athematical Essay-typed Lesson Focused on Discussion and Debate on the Mathematical Disposition and Attitude of High School Students)

  • 민남웅;김영옥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2권4호
    • /
    • pp.519-543
    • /
    • 2016
  • Today the high school mathematics lesson has an effect on the scholastic achievement internationally, but fails to lead to the interest in the mathematics which stimulates the intellectual curiosity. Due to this, 2015 revised curriculum includes the effort to improve the emotional aspect of mathematics positively. It is needed that the teaching method through discussion and debate must be introduced to accomplish the objective of the mathematics in 2015 revised curriculum focused on the improvement of the ability and attitude to solve the problems creatively by increasing the mathematical communication skill of the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athematical essay-typed lesson focused on discussion and debate on the mathematical disposition and attitude of high school student.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provided that the essay-typed lessons focused on discussion and debate improved the subject students' mathematical achievement and disposition and attitude, but it is not significant change.

소집단 토의·토론을 강조한 메이커 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수업 동기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aker Class Emphasizing Small Group Discussion and Debate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ience Learning Motivation and Scientific Attitude)

  • 김순식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54-63
    • /
    • 2019
  • 본 연구는 P광역시 소재 M초등학교 5학년 48명을 대상으로 소집단 토의 토론을 강조한 메이커 수업이 초등학생들의 과학 수업 동기 및 과학적 태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본 것이다. 본 연구의 수행을 위해서 5학년 한 개 반 24명을 연구 집단으로, 또 다른 한 개 반 24명을 비교집단으로 선정하여 연구 집단에게는 10차시의 소집단 토의 토론을 강조한 메이커 수업을 실시하였고, 비교집단에게는 교육과정에 의한 일반 과학 수업 10차시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첫째, 소집단 토의 토론 기반 메이커 수업이 초등학생들의 과학수업 동기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집단 토의 토론을 강조한 메이커 수업이 초등학생들의 과학적 태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소집단 토의 토론 기반 메이커 수업에 대한 참여 학생들의 의견을 분석한 결과 수업에 대한 만족도, 흥미도, 참여도에 있어서 대부분의 학생들로부터 높은 점수를 받았다. 이러한 점으로 미루어 볼 때, 소집단 토의 토론 수업은 초등학생들의 과학 수업 동기 및 과학적 태도를 함양하는데 도움이 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초등 수학에서 토의·토론수업이 학업성취도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초등학교 4학년 도형영역을 중심으로 (An Effect of Discussion and Debate Instruction on Mathematical Achievements and Attitudes in Elementary Mathematics Class)

  • 최모로;안병곤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0권2호
    • /
    • pp.131-142
    • /
    • 2017
  • 본 연구는 수학 수업에서 토의 토론이 학업성취도와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초등학교 4학년 학급 중 학업성취도와 수학적 태도에서 동질성이 검증된 두 개 반을 실험 집단과 비교 집단으로 설정하여 토의 토론수업을 실시한 후 두 집단의 학업성취도와 수학 학습태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는 기술통계, 독립 t검정, 대응 t검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수학 토의 토론수업은 일반적 강의식 수업보다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향상에 효과적이었고, 학생이 능동적으로 참여하여 질문하며 문제 해결 활동을 통해 스스로 수학적 원리와 개념을 이해하고 수학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 함양에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WWW에서의 학술토론과 출판에 관한 연구 - KIPS의 사례를 중심으로 - (The Study of Web-tool for Scholarly Discussion and Publishing : The Case of KIPS Cyber Forum)

  • 김재관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44-57
    • /
    • 1999
  • KIPS is a net-world, cyberspace for scholars in Public Administration and Policy Sciences in WWW. All knowledge-intensive work has its core the publishing and debating of document. We have created a cyber forum for that work KIPS Cyber Forum has adapted ‘D3E’, the web-tool kit for non-technical users to easily debate and publish documents that exploit to the full networked interactive web media. And, for real-time communication, we added it the voice conferencing system. KIPS has opened Cyber Forum service in November 1998. The visitors on KWS Cyber Forum are increasingly growing, but the participants on the debate are a few. This means that the problems of Cyber Forum Service are not technical, but participation. The result imply that, at now, high participation of scholars on the debate is needed, at first, by the detailed guides for internet, www and relevant technical information. After that more expertly designed interface is to be important.

  • PDF

A Study on Development of Group Dynamics-based Debate Instructional Model Using a New Technology

  • SUNG, Eunmo;JIN, Sunghee;KIM, Yoonjung
    •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 /
    • 제11권2호
    • /
    • pp.77-103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instructional model using new technologies aiming to secure students' learnability and to enhance the public school values in the rural districts. The present study attempts to suggest a practical e-learning instructional and learning model named Group Dynamics- based Debate Instructional Model', which utilizes unique technology environment conditions in most. To develop the model, concepts of group dynamics and debate-based instructional models were reviewed. And in-service teachers in two public schools in a certain rural district were interviewed in order to collect and analyze their needs for a teaching and learning model with which they utilizes unique technology conditions as environment in most.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the need analysis, a group dynamics-based debate instructional model has been suggested in terms of conceptual model. And then expert assessment composing of five in-service teachers from the model schools was implemented twice in order to acquire the suggested model validation, followed by the model validation by a group of experts. Then a revised group dynamics-based debate instructional model has been finally suggested. The group dynamics-based debate instructional model is expected to build up members' affective connection in the process, to generate group value, or collective intelligence, and to establish positive discussion culture. Furthermore, beyond of just utilizing the existing materials, learners are encouraged to develop and collect their own materials and data such as expert's interview, or public news for their argument or refutation. In doing so, learners enhance their learnability as well as accountability, prompting self-directed learning, and establishing appropriate discussion culture resulting in positive learning outcomes.

공학도를 위한 논리: '발표와 토론'을 위한 논리 교수.학습 모형 (Logic for Engineers: a teaching.learning model for logic in 'Presentation and Discussion')

  • 양은석
    • 논리연구
    • /
    • 제13권2호
    • /
    • pp.83-116
    • /
    • 2010
  • 이 글에서 우리는 토론 교육 특히 공학도를 위한 토론 교육에 필요한 논리 교수 학습 모형 을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토론 관련 교재의 논증 개념과 논증 모형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다음으로 토론에 필요한 기본 논증과 이에 대한 훈련 모형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이공계 학생들 특히 공대 학생들을 위한 논증 방식 특히 토론에 사용될 논증 방식으로 가설 추론과 최선의 선택으로의 추론 모형을 제공한다.

  • PDF

제19대 대통령후보 TV토론회 화면구성방법 분석 (The Analysis of Screen Composition Method in 19th Presidential Candidate TV Debates)

  • 장병민;황동현;최성진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5권1호
    • /
    • pp.67-82
    • /
    • 2020
  • 본 연구는 2017년 실시된 제19대 대통령후보자초청 TV합동토론회에서 채택된 토론 진행방식(원탁, 좌식, 스탠딩방식)에 따른 화면구성(샷 크기, 화면분할, 후보자 배치, 조명, 무대디자인, 후보자 배경 등) 방법의 적절성과 한계를 분석한다. 이를 위해 2016년 실시된 제45대 미국대통령후보 TV합동토론회와 2017년 제25대 프랑스대통령후보 TV합동토론회의 화면구성 방법을 분석하고 국내방식과 비교하여 장단점을 분석한다. 이를 통해 2022년에 실시될 제20대 대통령후보자 TV합동토론회에 적용하여 후보자들의 자질, 정책, 비전 등을 충분히 확인 할 수 있는 고정화된 토론 진행방식에 맞는 화면구성 방법을 제안한다.

독서토론 프로그램 효과성 요인에 관한 연구 - 인천광역시 지역아동센터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The Study on Effective Factors of Reading Discussion for the Young Adults Program of A Local Children Care Center in Incheon)

  • 안인자;윤석윤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377-398
    • /
    • 2013
  • 본 연구는 인천지역아동센터의 초등, 중등학생을 대상으로 시행된 독서토론프로그램을 통하여 독서토론이 효과적으로 시행되기 위한 교육요소와 효과성요인을 조사 분석하였다. 독서토론 교육 요소는 읽기훈련, 쓰기훈련, 발표훈련, 듣기훈련, 생각정리훈련의 5가지이다. 분석결과 학생의 정서지능, 참여자들의 완독수준, 참여횟수, 수업참여자와의 공감도, 독서에 대한 사전 선호도가 효과요인으로 도출되었다. 그 외에 논제의 적합성, 진행자의 역량, 도서선정, 말하기, 글쓰기 등의 기초 교육 병행도 효과요인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인터넷 CEDA (Cross Examination Debate Association)토론모델 연구 (Developing CEDA Model for Internet-based Instructional Debate)

  • 조은순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5년도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300-309
    • /
    • 2005
  • 본 연구는 미국의 토론 모형인 CEDA (Cross Examination Debate Association)방식을 인터넷 토론학습에 적용하는 새로운 시도를 통하여 향후 인터넷 수업에 응용할 수 있는 CEDA형 인터넷 토론수업 모델을 고안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먼저 본 연구는 미국의 대학 토론 경시대회에서 활용되는 CEDA토론 기법의 기본 요소를 인터넷 토론학습모델에 적용한 수업 설계를 동하여 1,2차에 걸쳐 약200명의 학습자 들에게 인터넷 CEDA 토론을 실시하고 그 결과와 토론에 대한 의견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학생들은 인터넷 CEDA 토론학습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나타냈으며, 기존의 개방형 토론방법보다 찬반형의 CEDA토론방법을 선호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하지만 2차 연구에서는 토론에서 튜터의 중요성이 강조되며 튜터의 전략에 따라 토론결과가 달라 질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는 대부분의 학습자들이 스스로 토론에 대한 경험이 부족함을 보완하기 위해 튜터의 지원을 원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결론으로 본 연구는 CEDA형 인터넷 토론학습 모델이 학교현장에 폭넓게 활용될 수 있도록 교과목별, 학습자별 다양한 토론학습 모델이 개발되어야 하며 학습자 입장에서 토론수업을 지원할 수 있는 전략이 필요함을 강조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