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criminatory attitude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5초

소비자의 광고판별능력과 관련요인에 관한 연구 -기만광고판별을 중심으로- (A Study on Consumers' Advertising Discriminatory Competencies and the Related Factors)

  • 이기춘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91-106
    • /
    • 1990
  • This study focuses on consumers' advertising discriminatory competencies and the influencing facors. So the objec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to identify the overall level of advertising discriminatory competencies. 2) to examine if consumer attitude variables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ads. discriminatory competenceis. 3) to examine if the frequencies of contacting advertising variable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ads. discriminatory competencies. 4) to examine if socio-economics variables-age, educational level, monthly family income, occupational status-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ads. discriminatory competencies. 5) to find out the independent influence of variables related to the ads. discriminatory competencies.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using questionaires and advertisement papers. The data used in this study included 194 Homemakers living in Seoul. The ads. used in this study included ads. of diary products like foods, drinks, medicine, cosmetic, detergent in TV, radio, newspaper and magagine. Statistics were Frequency Distribution, Mean, percentile, ANOVA, Scheff -test, Pearsons' Correlation, Multiple Regrassion Analysis.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 First, in 26 items(70%) of 37 items measured consumers' ads. discriminatory competencies, the rate of right answer was below 50%, so over the half of consumers were misleaded by the deceptive ads. Second, consumers' ads. discriminatory competencies differ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consumer attitude variables but no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contacting advertising. Third,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variables-age, educational level, monthly family income, occupational status-advertising discriminatory competencies differed significantly. In group of lower age, higher educational level, higher income and professional occupation status, the level of ads. discriminatory competencies were high. Forth, the most influencing variabel on ads. disciriminatory competencies were eudcational level and in turn general attitude toward ads., attitude toward consumerism. This three variables explain 22.9% of dependent variable's variance. From these findings,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made, First, the consumer education offering informations and learing practical ads. discriminatory competencies should be conducted for all consumers wheather they are educated or not. Also the education to improve the consumer attitude must be. Second, considering misleading level, the business must make the regulatory standards and reinforce the regulation voluntarily, and by enforcing the regulation of ads. and deciding more diverse, objective and exact standards, the government should keep the consumer's right to know.

  • PDF

간호대학생의 공감능력과 정신질환자에 대한 편견 및 차별행동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empathy, discriminatory behaviors and prejudice of nursing college students against the mental illness)

  • 송정희
    • 산업융합연구
    • /
    • 제17권2호
    • /
    • pp.63-70
    • /
    • 2019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공감능력과 정신질환자에 대한 편견 및 차별행동을 파악하고 이들 사이의 관련성을 분석하고자 시행되었다. 연구대상자는 K도에 위치한 2개 대학에 재학 중인 간호 대학생 281명이었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공감능력은 편견 및 차별행동과 음의 상관관계, 편견과 차별행동은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상자의 봉사활동 경험 유무 등에 따라 공감능력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신 질환자에 대한 차별행동은 대상자의 연령, 학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간호 대학생들의 차별행동 및 편견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공감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 등이 필요할 것이며 또한 대상자의 특성을 고려한 체계적인 교육 및 실습과정이 필요할 것이다. 이는 미래의 전문직 간호사로서 간호 대학생들의 인식 및 태도를 개선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초등학생의 신종인플루엔자A (H1N1 2009)에 대한 지식, 인지된 위협과 완치자에 대한 차별태도와의 관계 (Knowledge and Perceived Threat about 2009 Influenza A (H1N1) and Discriminative Attitudes Towards Completely Recovered Patients among Elementary Students)

  • 송인한;권세원;임혜진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61-70
    • /
    • 2011
  • Purpose: To identify factors associated with children's discriminatory attitudes towards fully recovered children who contracted the 2009 Influenza A (H1N1), in order to provide fundamental information to improve health education for children. Methods: Cross-sectional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entire 6th grade classes (N=2,323) of 11 elementary schools randomly selected from 11 school district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of South Korea. Questionnaires were used to assess participants' knowledge of and attitudes towards the Influenza A (H1N1) virus. Results: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factors associated with children's discriminatory attitudes toward fully recovered children who had contracted the 2009 Influenza A (H1N1).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perceived risk of contracting and knowledge of 2009 influenza A (H1N1) were significant factors in predicting a child's attitude toward fully recovered Influenza A (H1N1) patients, after controlling for socioeconomic variables. Conclusion: The findings suggests that perceived risk and knowledge play important roles in formulating children's appropriate attitudes towards Novel influenza A (H1N1) patients who are fully recovered from the disease. To promote and maximize children's attitudes in this area, health education needs to be directed at children to reduce excessive concern about contracting the virus and to improve their overall health knowledge.

The Effect of Private Brands' Service Quality on Brand Attitude

  • SONG, Byoung-Weon;KIM, Jin-Hwan;KIM, Min-Kyeong
    • 유통과학연구
    • /
    • 제18권7호
    • /
    • pp.19-25
    • /
    • 2020
  • Purpose: This study analyzes service quality of Pivate Brand (PB) productsto provide some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e focus is on how service quality of No Brand, which has recently received much attention, affects brand attitude and, to confirm whether consumers' prior knowledge of PB moderates this effect. A total of 167 men and women in their 20s who have experience using No Brand were surveyed. Hypothesis was verified by using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Results: a) Tangibles, reliability, empathy, and assurance of service quality for No Brand have a positive effect on brand attitude; b) The moderating effect of prior knowledge is only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context of reliability.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s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establishing differentiated PB strategies. It highlights the effects of service quality and consumer prior knowledge on brand attitude. This suggests that the sub-dimension of PB service quality has a discriminatory effect on the brand attitude of No Brand, and that consumer's prior knowledge of the product influences reliability of service quality. Therefore, consumer's prior knowledge is important in order to increase trust.

영업통제시스템이 판매사원의 직무태도와 판매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Sales-force System on Salesperson's Job Attitude and Sales Performance)

  • 이호택;유정림
    • 유통과학연구
    • /
    • 제17권11호
    • /
    • pp.81-92
    • /
    • 2019
  • Purpose: The salesperson, the core of the operating activities, plays the role of connecting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company, representing the company to the consumer and identifying and responding to the customer's needs. The department store industry is the most representative retail industry in South Korea, and competition among its peer group and industry is intensifying, requiring differentiated service sales activities and performance from its employees. This study divided the sales force system into activity control(process-oriented control) and output control(performance-oriented control) and verified the differential impact on the job attitude of the salesperson (e.g., job satisfaction and burn-out),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effect of job satisfaction and burn-out of the salesperson on the job performance were checked.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e survey was conducted on 200 sales people working at five branch stores of Hyundai department store in Seoul, and 194 of them were analyze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variables were analyzed and hypotheses were verified through the SEM. Results: Results have shown that activity control has a greater impact on burn-out compared to output control, and output control has a greater impact on job satisfaction compared to activity control. It has been shown that the salesperson's burn-out does not affect sales performance, but that job satisfac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sales performance. Conclusions: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sales force management system such as activity control and output control, on the job attitude and sales performance in department stor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each of two control systems have a discriminatory effect on the job attitude variables. For the sales managers of department store, it is recommended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sales management by increasing the use of outcome control compared to activity control.

젊은세대 고학력여성의 노동시장참여 (Labor Market Participation among Young College-Educated Women)

  • 이미정
    • 한국인구학
    • /
    • 제25권2호
    • /
    • pp.139-161
    • /
    • 2002
  • 1980년대말 남녀고용평등법의 제정으로 성차별적 고용관행에 대한 제도적 제재가 선언된다. 1980년대 후반까지 결혼퇴직제가 보편화되었었고 이러한 관행은 여성의 경력 단축과, 임금이나 업무배치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1980년대 후반부터 가속화된 여성 고용에 대한 사회제도적 변화가 고학력 여성의 노동시장참여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를 본 연구에서는 살피려고 한다. 구체적으로 젊은세대에서 교육효과는 어떻게 변화하였으며, 결혼이나 가족이라는 여건이 이들 세대에서는 취업과 관련하여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검토하려고 하였다. 이것을 위해 여성개발원의 2001년 취업실태조사 자료가 이용되었다. 노동시장참여와 관련하여 젊은세대에서 어떤 변화가 보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 알 수 있는 것은 교육효과의 변화이다. 이전 세대의 부정적 교육효과는 사라지거나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물론 아직도 교육효과가 미약하게 나타나고 있지만, 이러한 변화는 주목할 만하다. 전반적으로 가족 여건이라는 것이 여성이 일하는 것을 어렵게 하고있다. 기혼여성의 경우 미혼여성과는 달리 여성 자신의 일에 대한 태도가 노동시장 참여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놀라운 것은 가족이라는 맥락에서는 일에 대한 여성자신의 의견은 중요하지 않지만, 남편의 의견은 중요하게 나타난다는 것이다. 이것을 통해서 아직도 젊은세대에서도 여성의 의견이 남편의 의견에 종속되고 있다는 것을 것을 알 수 있다. 34세 이하 젊은 세대 여성을 고려할 때, 가족이라는 맥락에서는 교육효과도 크게 약화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펄은 세대에서도 대졸이상의 학력이라는 것이 결혼하지 않았을 때는 여성의 일과 관련하여 의미 있게 작용하지만, 가족이라는 맥락에 처하면, 별 의미가 얼다. 물론, 젊은 세대에서 교육과 관련된 긍정적인 변화가 엿보이기는 하지만, 과거 세대와 마찬가지로 여전히 결혼이나 가족의 여건은 여성취업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고학력 여성의 경우 이것의 영향을 더 많이 받는다.

소비자들이 지각한 의료서비스 품질결정요인과 불만호소행동 특성 분석 -인천, 부천 지역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f the Determinants of Consumers' Perceived Medical Service Quality and Complaining Behavior)

  • 강이주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217-234
    • /
    • 1997
  •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some determinants of consumers' medical service quality and their complaining behavior. The results can be summerized as follows: 1. The determinants of consumers' perceived medical service quality could be categorized as five factors; i.e. nursery, hospital environment, medical doctors, other staffs service fee. Among them nursery sector consists of 32% variance. 2. According to the discriminant analysis, those determinants are of great value to distinguish between satisfied/unsatisfied group. The hit ratio was 85.4% which is relatively high score. 3. The type of complaining behavior could be grouped into no action, private and public complaining behavior. Most of respondents belonged to no action group and a few showed private complaining behavior. Any respondents who were willing to show public complaining behavior could not be found out. 4. These variables which influence complaining behavior were preconception toward hospital, barrier to complaining process and expected complaining behavior. Among them the first one was most influential variable. 5. In order to distinguish between complaining/non complaining behavior group, discriminant analysis was done. The result showed the above three variables had a significantly discriminatory power, the hit ratio reaching above 70%. In summary, we can see that consumers' evaluation on the whole medical service depends on the external factor such as staffs' attitude or hospital facilities due to the lack of their ability to evaluate highly specialized service like doctor's treatment.

  • PDF

꼰대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Kkondae Scale)

  • 이지연;고동우;최경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9호
    • /
    • pp.164-175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꼰대척도를 개발하고, 그에 대한 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문가 면담과 선행연구 및 문헌 분석을 통해 꼰대의 3가지 구성 개념(귀인 오류, 인지적 경직성, 일방적 소통)을 도출하고 15개의 예비 문항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전문가의 내용 타당도 평정을 거치며 각 구성개념에 부합하도록 문항을 수정하거나 추가하여 예비 척도를 개발하였다. 다음으로 성인 250 여명을 대상으로 한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3 요인 구조 모델이 도출 되었고, 성인 401 여명을 대상으로 예비 척도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3요인 구조의 적합도가 양호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수렴 및 변별타당도 분석 결과, 개발된 척도가 경청태도, 공감, 타인 수용, 지적겸손과 적절한 상관을 나타내어 꼰대를 측정하는 타당한 도구임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본연구 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의의, 제한점 및 향후 연구 방향을 논의하였다.

시간적 거리와 사전지식에 따른 프리어나운싱 전략이 기억에 근거한 판단과 구매의도에 미치는 효과 (A Study on in Influence on the Memory-Based Judgement and Purchase Intention upon Temporal Distance and Prior Kowledge in Preannouncing Strategy)

  • 한광석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3권1호
    • /
    • pp.99-118
    • /
    • 2014
  • 본 연구는 기업들의 프리어나운싱 전략에 있어 제품 출시와 관련한 시간적 거리(가까운 미래/ 먼 미래)와 사전지식 수준(고지식/ 저지식)에 따라 기억에 근거한 판단(종합적인 제품판단/ 개별적인 제품판단)과 구매의도 간의 차이가 어떻게 차별적으로 나타나는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프리어나운싱의 시간적 거리의 주 효과에 따른 기억에 근거한 판단과 구매의도간의 차이는 일관되게 종합적인 제품판단보다 개별적인 제품판단의 인식이 높게 나타났으며, 구매의도도 높았다. 둘째, 프리어나운싱 제품에 대한 지식 수준이 높으면 종합적인 제품판단에 비해 개별적인 제품판단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식 수준이 낮으면 개별적인 제품판단보다 종합적인 제품판단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구매의도는 고지식 수준의 소비자들이 체계적인 정보처리를 통한 태도가 구매의도로 이어져 높게 나타났다. 셋째, 프리어나운싱의 시간적 거리와 지식 수준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에 대한 연구 결과 가까운 미래 조건에서 지식 수준이 높은 소비자들은 종합적인 제품 판단보다 개별적인 제품 판단이 높게 나타났다. 반면, 먼 미래 조건에서 지식 수준이 낮은 소비자들은 개별적인 제품판단보다 종합적인 제품 판단을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현대인의 혼밥 행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e of Modern People's Hon-Bob Behavior)

  • 이정숙;오종열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15-24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식사의 간편성, 개인 가치관, 비인간 관계, 태도형성, 인지가 혼자 식사하는 요인에 관한 연구를 통해 업체의 경영성과 향상을 극대화 하는데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조사는 판단 표본 추출법으로 진행하였다. 수집된 유효 표본은 판별 타당성과 수렴타당성의 내적 타당성 확보를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이용하여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외식 자영업자는 혼밥족을 대상으로 식사의 간편성을 인지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해 주어야 한다. 둘째, 혼밥족의 개인 가치관이 태도 형성으로 이어질 수 있는 다양 홍보 전략을 통해 태도 형성이 이루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셋째, 외식 자영업자는 혼밥족이 태도 형성으로 이어질 수 있는 다양한 이벤트 전략을 추진해야 한다. 넷째, 혼밥족의 매장 방문 시 고객만을 위한 아주 특별한 서비스 제공 등 이벤트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외식 자영업자는 다양한 마케팅을 통해 혼밥 행위의 편리함, 간편함, 시간의 활용 등 장점을 집중적으로 홍보함으로써 고객 증가에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