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charge drain

검색결과 120건 처리시간 0.027초

원지반조건을 고려한 연직배수재의 통수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ischarge Capacity of Vertical Drain Considering with In-situ Soil Condition)

  • 박민철;김은철;이송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1권1호
    • /
    • pp.47-56
    • /
    • 2012
  • PBD의 통수능력은 지반조건 빛 두께에 비례하여 영향을 크게 받는 성질이 있으며, 배수재 타입 시 시용되는 맨드럴, 타입기기 및 방식에 의한 주변지반의 교란영향으로 배수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 등이 있다. 또한, 여러 기지 조건에 따라 통수능의 편차가 크게 나타나며 원지반 조건에 따라 배수재의 통수능 저하, 간극수압소산의 시간지연 등의 분석이 미흡하다. 따리서 본 연구에서는 원지반 조건을 고려한 연직배수재의 복합 통수능 시험을 실시하여 지반개량 및 통수능 평가를 하였다. ${\phi}\;38{\times}70cm$ 크기의 원통형 실린더에 배수재를 고정한 후 교반한 시료를 투기하고 원지반 조건 CL, ML, SM과 준설토 CL을 매립한 후 가입장치를 사용하여 30, 70, 120 kpa의 하중을 가해 단계별로 복합통수능 실험을 수행하였다. 시험결과, 통수능의 크기는 원지반 조건이 SM>ML>CL>CL(준설토)인 순으로, 세립분 함량이 적을수록 통수량은 크게 나타났다.

RHEOLOGICAL STUDY ON STRAINER STRUCTURE OF UNDER DRAIN PIPES FOR SLOPE PROTECTION

  • Mihara. Machito;Yasutomi, Rokuro;Nakamura, Yoshio
    • 한국농업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업기계학회 1993년도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Conference for Agricultural Machinery and Process Engineering
    • /
    • pp.197-204
    • /
    • 1993
  • Pipe drainage is one of the effective slope protein works that can be adopted practically. As fine soil particles are suspended in percolating water, the strainer structure of under drain pipes in necessary to prevent the immediate clogging by soil suspension flow. This study deals with the effective strainer structure of under drain pipes for slope protection. The effective strainer structure of under pipes is the funneled strainer in which pore radius is enlarged toward flow direction. It is designed from the rheological properties of soil suspension flow which prevents the immediate clogging.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pipe drain discharge through the funneled strainers was larger than that through the constant pore radius strainers. This theorectial and experimental results indicate that the strainer with enlarged pore radius toward flow direction, is more effective than the strainer with constant pore radius.

  • PDF

연직드레인 공법에 의한 연약지반의 압밀거동 (Consolidation Behavior of Soft Ground by Prefabricated Vertical Drains)

  • 이달원;강예묵
    • 한국농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공학회 1998년도 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 /
    • pp.376-381
    • /
    • 1998
  • The large scaled field test by prefabricated vertical drains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superiority of vertical discharge capacity for drain materials through compare and analyze the time-settlement behavior with drain spacing and the compression index and consolidation coefficient obtained by laboratory experiments and field monitoring system 1. The relation of measurement settlement( $S_{m}$) versus design settlement( $S_{t}$) and measurement consolidation ratio( $U_{m}$) versus design consolidation ratio( $U_{t}$) were shown $S_{m}$=(1.0~l.1) $S_{t}$, $U_{m}$=(1.13~l.17) $U_{t}$, at 1.0m drain spacing and $S_{m}$=(0.7~0.8) $S_{t}$, $U_{m}$=(0.92~0.99) $U_{t}$ at 1.5m drain spacing, respectively. 2. The relation of field compression index( $C_{cfield}$) and virgin compression index( $V_{cclab}$) was shown $C_{cfield}$=(1.0~1.2) $V_{cclab}$, But it was nearly same value when considered the error with determination method of virgin compression index and prediction method of total settlement. 3. field consolidation coefficient was larger than laboratory consolidation coefficient, and the consolidation coefficient ratio( $C_{h}$/ $C_{v}$) were $C_{h}$=(2.4 ~ 3.0) $C_{v}$. $C_{h}$=(3.5 ~ 4.3) $C_{v}$ at 1.0m and 1.5m drain spacing and increased with increasing of drain spacingngasing of drain spacingng spacingng

  • PDF

연료전지 자동차 내 수소 공급 시스템에서 드레인 밸브 특성에 따른 드레인 로직 최적화 및 연비와 운전안정성을 고려한 물 관리 전략 개발 (Optimization of Condensate Water Drain Logic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Drain Valve in FPS of Fuel Cell Vehicle and Development of Anode Water Management Strategy to Achieve High Fuel Efficiency and Operational Stability)

  • 안득균;이현재;심효섭;김대종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27권2호
    • /
    • pp.155-162
    • /
    • 2016
  • A 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 (PEMFC) produces only water at cathode by an electrochemical reaction between hydrogen and oxygen. The generated water is transported across the membrane from the cathode to the anode. The transported water collected in water-trap and drained to the cathode within the humidifier outlet. If the condensate water is not being drained at the appropriate time, condensate water in the anode can cause the performance degradation or fuel efficiency degradation of fuel cell by the anode flooding or unnecessary hydrogen discharge. In this study, we proposed an optimization method of condensate water drain logic for the water drain performance and the water drain algorithm as considered the condensate water generating speed prep emergency case. In conclusion, we developed the water management strategy of fuel processing system (FPS) as securing fuel efficiency and operating stability.

모형실험에 의한 지오텍스타일의 압력배수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Pressure Drainage for Geotextiles by Laboratory Model Tests)

  • 이상호;권무남
    • 한국지반공학회지:지반
    • /
    • 제12권5호
    • /
    • pp.89-102
    • /
    • 1996
  • 지오텍스타일에 의한 압력배수 특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성토하중의 증가에 따른 기초지반의 초기압밀 촉진을 유도하기 위한 수직수평 배수공의 모형을 구상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배수재로 사용된 지오텍스타일의 압축응력이 증가함에 따라 배수공의 누적배수량은 대수함수의 형태로 증가하였다. 수두상승에 따른 각 응력단계별 배수공의 배수량은 직선적으로 증가하였으며 그 증가율은 압축응력이 클수록 작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으며 배수공의 배수량은 포설 겹 수가 많을수록, 지반재료가 세립일수록 크게 나타났다. 지오텍스타일의 전수성과 배수공의 배수량의 관계는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그 증가율은 지반재료와 수두에 관계없이 거의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는바 배수공의 배수능력은 지오텍스타일의 전수성으로 결정됨이 입증되었다.

  • PDF

국내 PBD재의 배수성능과 진공효과에 의한 통수능력 향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rainage Performance of Domestic Plastic Board Drains and Recovery of Discharge Capacity by Vacuum Effect)

  • 박영목
    • 한국지반공학회지:지반
    • /
    • 제13권2호
    • /
    • pp.39-54
    • /
    • 1997
  • 연약지반 개량공법으로 국내에서 생산된 플라스틱 보드 드레인(PBD)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들에 대한 물리적 성질 및 배수성능의 검증이 미약한 실정이다. 또한 PBD의 웰 레지스턴스(well resistance)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공기(기포)의 영향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형 실험장치를 이용하여 먼저 국산 PBD를 중심으로 물리적 성질 및 배수성능 시험을 실시하여 제품의 질적 수준을 규명하고 대표적인 국외제품과 비교했다. 아울러 PBD재의 꺾임 부분에 누적된 공기(기포)가 통수능력에 지장을 초래하는 것을 재확인하였으며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필기(기포)를 제거시키므로써 통수능력의 회복이 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냈다.

  • PDF

관입식 통수능 실험의 수치해석 (Numerical Analyses about Test Results of Discharge Capacity Apparatus Using Penetration Method)

  • 유남재;우영민;전상현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9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 /
    • pp.720-728
    • /
    • 2009
  • This thesis is results of numerical analyses about test results of discharge capacity apparatus using penetration method. Applicability of numerical approach with FEM technique, using Cam-clay model, was confirmed by analyzing the results of standard consolidation test before analyzing test results of discharge capacity apparatus using penetration method. Thus, input parameters for the model was convinced to be appropriate. For numerical analyses about test results of discharge capacity apparatus using penetration method, identical initial and loading conditions during tests were applied to simulate test results correctly. Effects of ground disturbance resulted from installment of vertical drains on the behaviors of consolidation were also simulated. Applicability of numerical approach was investigated by comparing test results with numerical ones. As results of them, both of consolidation settlement were found to be in good agreements so that its applicability was confirmed. As results of numerical estimation, degree of consolidation with the condition of considering smear zone was found to be delayed, compared with results without smear zone. On the other hands, parametric numerical analyses of changing parameters related to smear zone such as permeability and size of smear zone and permeability of vertical drain were also carried out.

  • PDF

Smart Power IC를 위한 Gate-VDD Drain-Extened PMOS ESD 보호회로 설계 (Design of a Gate-VDD Drain-Extended PMOS ESD Power Clamp for Smart Power ICs)

  • 박재영;김동준;박상규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45권10호
    • /
    • pp.1-6
    • /
    • 2008
  • 고전압 MOSFET에서 스냅백 이후의 유지 전압은 구동전압에 비해 매우 작아서 고전압 MOSFET이 파워 클램프로 바로 사용될 경우 래치업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Drain-Extended PMOS를 이용하여 래치업 문제가 일어나지 않는 구조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구조에서는 래치업의 위험을 피하기 위해 소자가 스냅백이 일어나지 않는 영역으로 동작 영역을 제한하였다. $0.35\;{\mu}m$ 60V BCD(Bipolar-CMOS-DMOS) 공정을 사용하여 제작된 칩을 측정한 결과를 통해 제안된 기존의 gate-driven 구조의 LDMOS(Lateral Double-Diffused MOS)를 사용한 ESD 파워 클램프에 비해 500% 성능향상(강인성)이 있게 된 것을 알 수 있다.

연약지반의 불확실성을 고려한 연직배수공법의 신뢰성 설계 (Reliability-Based Design of Vertical Drain Method Considering Uncertainties in Geotechnical Property)

  • 김병일;사상호;김방식;김수삼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6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148-1154
    • /
    • 2006
  • Composite discharge capacity tests and smear effect tests are carried out to estimate the parameters for the reliability-based design of vertical drain method. Also the probabilistic and deterministic solutions of radial consolidation theory are presented. It compared to the result of reliability-based design and that of deterministic design using the tested and estimated parameter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drain spacing is larger the deterministic method than the probabilistic method because the former is not considered the uncertainties in the properties of soil. The divergence of methods is dependent on the probability of achieving target degree of consolidation by a given time and the coefficient of variation(COV) of the coefficient of horizontal consolidation$(c_h)$.

  • PDF

DDIC 칩의 정전기 보호 소자로 적용되는 GG_EDNMOS 소자의 고전류 특성 및 더블 스냅백 메커니즘 분석 (High Current Behavior and Double Snapback Mechanism Analysis of Gate Grounded Extended Drain NMOS Device for ESD Protection Device Application of DDIC Chip)

  • 양준원;김형호;서용진
    • 한국위성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36-43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고전압에서 동작하는 DDIC(display driver IC) 칩의 정전기 보호소자로 사용되는 GG_EDNMOS 소자의 고전류 특성 및 더블 스냅백 메커니즘이 분석되었다. 이온주입 조건을 달리하는 매트릭스 조합에 의한 수차례의 2차원 시뮬레이션 및 TLP 특성 데이타를 비교한 결과, BJT 트리거링 후에 더블 스냅백 현상이 나타났으나 웰(well) 및 드리프트(drift) 이온주입 조건을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안정적인 ESD 보호성능을 얻을 수 있었다. 즉, 최적의 백그라운드 캐리어 밀도를 얻는 것이 고전압 동작용 정전기보호소자의 고전류 특성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주는 임계인자(critical factor)임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