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aster and Safety

검색결과 2,655건 처리시간 0.04초

국내 재난 안전 가상훈련 콘텐츠 사례분석을 통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Plans through Case Analysis of Domestic Disaster Safety Virtual Training Contents)

  • 송은지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467-474
    • /
    • 2023
  • 안전 불감증으로 인해 많은 인재가 발생하고 있는 우리나라 상황에서는 재난이 발생했을 때 대응할 수 있는 재난 안전교육이 매우 중요하다. 최근 가상현실 디바이스 및 제작 기술이 발전하며, 안전교육 분야에서 가상현실 기술을 접목한 훈련시스템 활용의 가능성이 주목받고 있다. 가상훈련시스템은 몰입감이 뛰어나고 시공간의 제약없이 다양한 재난상황을 체험할 수 있어 훈련 및 교육에 매우 효과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재난 안전 가상훈련 콘텐츠 사례들을 수집 조사하여 국내 재난안전 가상훈련 콘텐츠의 현황을 파악하고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안한다.

주민참여형 안전개선사업이 주민방재역량에 미치는 영향분석 -대구 신덕 안전마을 만들기 사업을 중심으로- (Analysis of Impact on Disaster Prevention Capability of Residents in Resident Participation Safety Improvement Project -Focused on Project of Creating a Safety Village in Sindeok, Daegu-)

  • 윤상훈;박소순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6권4호
    • /
    • pp.758-767
    • /
    • 2020
  • 연구목적: 본 연구는 주민참여형 안전개선사업이 주민방재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그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독립표본 t-검증을 활용하여 사업 전·후의 주민방재역량차이를 비교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분석결과, 주민참여형 안전개선사업은 사업 전·후로 주민방재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중에서도 피난대비정도, 조직방재역량과 관련된 부분이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결론: 주민참여형 안전개선사업을 추진할 때, 주민 및 지역의 방재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모색하고 고민해야 한다.

A Study on Optimizing User-Centered Disaster and Safety Information Application Service

  • Gaeun Kim;Byungjoo Park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12권4호
    • /
    • pp.35-43
    • /
    • 2023
  • This paper emphasizes that information received in disaster situations can lead to disparities in the effectiveness of communication, potentially causing damage. As a result, there is a growing demand for disaster and safety information among citizens. A user-centered disaster and safety information application service is designed to address the rapid dissemination of disaster and safety-related information, bridge information gaps, and alleviate anxiety. Through the Open API (Open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we can obtain clear information about the weather, air quality, and guidelines for disaster-related actions. Using chatbots, we can provide users with information and support decision-making based on their queries and choices, utilizing cloud APIs, public data portal open APIs, and solution knowledge bases. Additionally, through Mashup techniques with the Google Maps API and Twitter API, we can extract various disaster-related information, such as the time and location of disaster occurrences, update this information in the disaster database, and share it with users.

전문 안전 순찰 관리시스템(SPMS)의 도입에 따른 건설 현장의 재해 및 사고 발생 저감 영향 분석 (Effect of the Application of Safety Patrol Management System(SPMS) upon the Reduction of Disaster & Accident Occurrences in Construction Site)

  • 윤여찬;정광섭;김영일;김경호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53-61
    • /
    • 2014
  • The disaster and safety accidents in any construction site occur inevitably. Since the on-site disaster and accident occurrence became one of major concerning factors in construction site, architects & building executers have been flooded with safety management advice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rvey and analyze the effect of the application of Safety Patrol Management System(SPMS) upon the reduction of disaster & accident occurrences in construction site. In order to estimate and reduce the disaster and accident ratio in construction site, various surveyed data has been analysed. It will establish the suitable design standards and suggest the basic database for estimating disaster and accident ratio.

재난 위험도 평가 과정에 재난안전교육이 미치는 영향 평가 (Effect of Disaster and Safety Education on Disaster Risk Assessment)

  • Chung, Gunhui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0권3호
    • /
    • pp.366-372
    • /
    • 2014
  • 재난의 대형화 복잡화가 진행되어 막대한 피해를 야기하는 대형재난의 발생하는 빈도가 높아짐에 따라 재난대비 및 대응을 위한 재난 및 안전교육이나 훈련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재난안전교육이 재난의 위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위험도를 계산하기 위한 발생가능성과 재난의 결과에 재난안전교육이 미치는 저감효과를 전문가 설문조사를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교육대상을 세분화하여 저감효과가 달라짐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재난관련 업무 종사 공무원부터 초 중 고 학생들의 의무교육까지 전국민을 대상으로 적극적인 교육과 훈련을 실시할 경우, 최대 약48% 정도까지 재난위험도가 감소할 수 있을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에 대한 검증을 위해 실제 자료조사 및 분석과정이 수행되어야 할 것이지만, 이는 적극적인 재난안전교육을 실시해야만 하는 정당한 이유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기업의 재난 및 안전관리체계 특징이 재난 및 안전관리 활동성과에 미치는 영향: 재난 및 안전관리 능력과 역량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mpact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aster and Safety Management System of a Business on its Disaster and Safety Management Performance: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the Disaster and Safety Management Competence)

  • 최완규;김상길;임종국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215-225
    • /
    • 2021
  • 본 연구는 국내 중견기업의 재난 및 안전관리 실무자를 대상으로 재난 및 안전관리체계에 대한 안전관리자의 특징과 재난 및 안전관리 능력 및 역량, 재난 및 안전관리 활동성과 간의 영향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기업에 재직 중인 재난 및 안전관리체계 실무자 50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실무자의 기업 재난 및 안전관리체계에 대한 특징은 활동성과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실무자의 기업 재난 및 안전관리체계에 대한 특징은 능력 및 역량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실무자의 재난 및 안전관리 능력 및 역량은 활동성과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실무자의 기업 재난 및 안전관리체계에 대한 특징과 활동성과의 관계에서 실무자의 재난 및 안전관리 능력 및 역량은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기업체의 재난 및 안전관리 실무자의 재난 및 안전관리 실태와 의식을 분석, 평가하고, 이를 바탕으로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재난 및 안전관리 업무를 위한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일일상황보고를 중심으로 재난안전 데이터 관리 체계의 유형화 (Classification of Disaster Safety Data Management System based on Daily Situation Report)

  • 이규;정인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9호
    • /
    • pp.290-298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행정안전부에서 발행하는 국민 일일상황보고서와 재난 연감 및 재해 연보 등을 활용하여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에서 선언하고 있는 자연 재난 15종, 사회 재난 7종의 총 22종을 대상으로 재난 안전 데이터를 조사하고, 이들 재난의 데이터 특성에 따라 재난을 유형화하였다. 재난 안전 데이터는 행정안전부의 일일상황보고 자료를 대상으로 자연재난 656건, 사회재난 1,104건으로 총 1,760건을 대상으로 하였다. 신속하고 효율적인 재난 상황 관리를 위한 재난 안전 데이터 체계 마련을 목적으로 하였기 때문에 대응과 복구 단계의 활동과 관련된 데이터를 재난의 종류별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재난 발생 후 시간적 흐름에 따라서 수행하는 관리 활동들을 기반으로 재난 안전 데이터에 대한 특성과 재난 안전 관리 절차 등을 분석하여 효율적인 재난 관리 업무 수행을 위한 재난 안전 데이터 유형을 분류하여 제시하였다. 유형 분류는 유사성이 높은 재난은 서로 통폐합하고, 향후 재해연보나 재난연감 등의 국가통계 데이터 구축에 활용될 수 있도록 확장성 및 상호 연계성을 고려하였다.

재난안전정보의 통합 관리를 위한 분류체계 현황분석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and Improvement of Classifications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Disaster and Safety Information)

  • 박태연;한희정;김용;김수정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125-150
    • /
    • 2017
  • 본 연구는 국내 재난 안전 유관기관들이 사용하고 있는 재난안전정보 관련 분류체계의 현황 및 문제점을 파악하여 일원화된 재난안전정보 분류체계의 구축을 위한 기본 요구사항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국내외 재난유형 분류체계를 살펴보았으며, 현재 국내 재난 유관기관에서 사용하고 있는 분류체계를 수집하여 분석하고, 실무자와의 면담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향후 재난유형 분류체계 개발을 위하여 일관성, 망라성, 체계성, 및 한국형 재난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또한 재난안전정보 분류체계 개발을 위해서는 재난 및 안전관리 업무의 복잡성, 복합재난의 출현 등을 고려하여 패싯 분류체계의 적용을 제안하였다.

농촌지역 재난안전마을 만들기 활성화를 위한 컨텐츠 마련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paration of Contents for Promoting the Establishment of a Disaster Safety Village in Rural Areas)

  • 구원회;백민호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4권4호
    • /
    • pp.387-398
    • /
    • 2018
  • 연구목적 : 한국과 일본의 재난안전마을 관련 운영 컨텐츠 사례를 조사 및 분석하여 농촌지역 특성에 맞는 재난안전마을 구축사업 시 적용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 한국과 일본의 재난안전마을 관련 사업 컨텐츠 현황을 주민참여, 구조적, 법 제도 환경적으로 분류하여 조사 및 분석을 통해 특성을 살펴보았으며 농촌지역 특성에 맞는 재난안전마을 컨텐츠(안)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 주민참여 컨텐츠는 유관기관과 연계한 기초안전교육, 심폐소생술 교육, 대피소 생활 체험 훈련, 대피 훈련, 농촌활동과 재난활동 병행 훈련, 마을 안전지도 만들기 등이 있으며 법 제도 환경적 컨텐츠는 재난안전마을 구축을 위한 법, 조례 제정, 전문가 파견제도, 풍수해보험 제도, 마을만들기 기금조성을 위한 펀드 제도 등을 제시하였다. 또한 구조적인 컨텐츠는 자립형 대피소, 무선 대피 안내 방송시스템, 하천재해 방재시스템, 재난안전 안내 표지판, 마을안전지도 표지판 제작, 방재공원 구축 등을 제시하였다. 결론 : 법 제도 환경적 컨텐츠는 법/제도 마련을 위한 기반 구축이고 구조적 컨텐츠는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과 더불어 농촌지역 환경을 고려한 친환경 공법을 활용하여 설치해야 한다. 또한 주민참여는 농촌마을의 주민의 연령, 특성, 환경 등 다양한 항목을 고려하여 컨텐츠를 활용해야 한다.

방재력을 고려한 도시의 풍수해 안전기준 개발방향 설정 연구 (A Study on a Direction of the Development of City on Storm and Flood Risk Safety Standards in Consideration of Resilience)

  • 김미선;신진동;심숙연;김현주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27-136
    • /
    • 2015
  • This study has analyzed city plans and disaster prevention plans from the perspective of resilience and established a direction of the development of city safety standards. The analysis made use of the 5 functions of resilience (5Rs) and foreign cas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direction of the development of city safety standards was drawn from 4 perspectives at large. First, this study proposed a method of the systematization of the safety standards involved in components within city plans. Second, it suggested a method to strengthening urban resilience abilities in terms of the association between disaster prevention and city plans. Third, it found out components requiring safety standards considering foreign and other standards, and proposed a direction of complementary measures for safety standards. Lastly, it came up with a direction of the development of city safety standards, the necessity of which are required though existing plan criteria did not contain them.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has defined the ultimate goal of safety a city should pursue as resilience and proposed a direction of the development of related standa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