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aster Situation

검색결과 553건 처리시간 0.025초

상황 기반 표준 현장조치 행동 매뉴얼 체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standard disaster field manuals based on the situations)

  • 박길주;이창열;김태환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4권4호
    • /
    • pp.474-479
    • /
    • 2018
  • 연구목적 : 본 연구는 기존 현장조치 행동매뉴얼의 재난 대응 프로세스 개선에 관한 것이다. 제시하는 재난 대응 프로세스는 다양한 종류의 재난 상황 시나리오를 반영하게 하였다. 연구방법 : 매뉴얼에서 정의하는 위기 형태 유형을 상황으로 정의하고, 상황별로 재난 대응 프로세스를 별도로 만드는 형태로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 황별로 하나의 매뉴얼에 상황에 따라 여러 종류의 재난 대응 프로세스가 존재한다. 이들 프로세스 사이에는 중복적인 표준행동요령(SOP)이 많이 있기 때문에, 이를 단일 재난 대응 프로세스에 다른 상황을 표시할 수 있는 상황 코드를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였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현장조치 행동매뉴얼이 다양한 재난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세부 프로세스를 제공함으로써 효과적인 재난 대응을 할 수 있게 하였다.

스마트 폰(Smart-Phone)기반의 재난 감시 및 상황전달시스템 프레임워크(Framework) 구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ramework Construction of Disaster Monitoring and Transmitting System based on Smart-Phone)

  • 정덕훈;민금영;안창근;이훈석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31-42
    • /
    • 2011
  • Smart-Phones are utilized in disaster management field because it can deliver disaster information to large population simultaneously and quickly, and provide accurate information through situation-based service using the LBS(Location Based Service). To study on the utilization of smart phone for disaster information collection and dissemination method, this study suggest a framework which connects smart phone by loading application for reporting disaster. The disaster monitoring and situation dissemination system framework using smart phone is composed of 4 parts. First, smart phone application enters image, video, voice and text information and location of the disaster. Second, the disaster report reception and situation dissemination server receives the information, save in the DB, and send through smart phone SMS. Third, store into disaster information database. Fourth, display the disaster report and management information on 2D GIS, support the decision making process in deciding whether to manage as disaster, and disaster management web service which disseminates situation.

재난현장 상황평가 고려요소(MORT-TAC)를 활용한 재난사례 연구 (A Study on the Disaster Case Using MORT-TAC)

  • 김성근;정종수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9권4호
    • /
    • pp.757-769
    • /
    • 2023
  • 연구목적: 본 논문은 김성근의 박사학위 논문에서 제시한 재난현장 상황평가 고려요소인 MORT-TAC를 활용하여 재난사례를 연구하여 MORT-TAC의 적용성을 검증하고 연구의 외연을 확장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연구를 중심으로 하여 MORT-TAC를 활용 재난사례를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재난현장 상황평가 고려요소(MORT-TAC)는 재난사례를 연구함에 있어 유용한 연구방법론으로 활용 가능하며 재난현장 상황평가를 통해 재난현장을 입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결론: 재난현장 상황평가 고려요소인 MORT-TAC를 활용하여 재난사례를 연구하는 것은 재난관계관들의 전문성 향상과 재난현장에 대한 통찰력을 갖는 데 유용하다.

효율적인 재난 상황관리를 위한 재난현장 필수정보 연구: 제천 스포츠 센터 화재사건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ssential Information to Collect Disaster Sites for Effective Disaster Management : Focused on Jecheon Sports Center Fire case)

  • 조정윤;송주일;장문엽;장초록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6권1호
    • /
    • pp.70-78
    • /
    • 2020
  • 연구목적: 재난이 발생했을 때, 보통 재난안전상황실로 정보들이 무분별하게 수집되고 전달되고 있어 신속하고 올바른 의사결정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장대응팀과 상황실 모두 최적의 재난 상황인지 및 대응이 가능토록 재난관리 필수정보 요소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다중밀집시설 대형화재 재난 사례를 바탕으로 실제 재난 대응과정을 확인하고, 다중밀집시설 대형화재 위기관리 표준매뉴얼과 당시 재난발생시 작성된 화재상황보고 서식을 분석함으로써 현장과 상황실에서 필요로 하는 재난관리 필수정보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재난관리 필수정보는 상황접수 및 보고·전파, 총력대응·지역긴급구조통제단(지통단)·지역재난안전대책본부(지대본) 단계, 중앙 긴급구조 통제단(중통단)·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운영단계, 수습복구 단계의 4단계로 구분하였으며, 각 단계별로 수집되어야할 정보와 핵심 업무에 해당하는 정보를 중심으로 제시하였다. 결론: 이렇게 도출된 재난관리 필수정보는 현장에서 정보를 수집하는 담당자는 효율적으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도록 가이드의 역할이 가능하며, 재난대응의 의사결정을 담당하는 상황실에서는 의사결에 필요로 한 핵심정보를 전달받게 됨으로써 신속한 상황판단이 가능해지므로 더욱 효율적인 재난 상황관리가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사용자 수요 기반의 재난 상황관리 지능화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Making a Disaster Situation Management Intelligent Based on User Demand)

  • 최선화;손종영;김미송;윤희원;류신혜;윤상훈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9권5_2호
    • /
    • pp.811-825
    • /
    • 2023
  • 데이터 활용을 통한 지능형 행정서비스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정부 기조에 따라, 재난안전관리 분야도 신종·복합재난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데이터 기반의 상황관리시스템을 구축·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재난 상황 발생 시 현장 상황 파악에 어려움이 있고, 방대한 데이터의 표출만으로는 상황판단 및 수습·대응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 여전히 한계가 있다. 본 논문은 재난안전상황실 근무자의 상황관리 업무에 대해 지능정보기술을 활용하여 지능화 및 효율화에 필요한 구체적인 기술 도출을 목적으로 한다. 중앙재난안전상황실 근무자를 대상으로 개별 면담 및 조사를 통해 재난 상황관리 업무 범위와 GIS 통합상황관리시스템의 활용 상황 및 시스템에 구축된 데이터의 용도와 특징을 조사·분석하였다. 그리고 상황관리 업무의 지능화 및 효율화에 필요한 기술을 도출하기 위하여 신속·정확한 현장상황 파악, 데이터 기반 상황판단, 효율적 상황관리 업무 지원을 전략으로 하여 실행과제를 정의하고,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분석을 통해 실행과제의 중요도를 평가하여 우선순위를 결정하였다. 그 결과 상황관리 효율화를 위해서는 영상 및 센서 데이터에 대한 수집·분석·관리와 사람이 수행하는 경우 많은 시간이 소요되거나 오류가 있을 수 있는 작업, 즉 상황관련 자료 수집 및 보고서 작업에 지능정보기술 활용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적으로 상황관리 지능화 전략 가운데 중요도가 높은 신속하고 정확한 현장상황의 파악과 효율적 상황관리 업무 지원이 우선적으로 상황관리 지능화 기술 개발 대상으로 추진할 수 있을 것이다.

재난상황관리를 위한 재난현장정보 수집 및 표출시스템 개발 연구 : 지진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system for collecting and displaying disaster site information for disaster situation management : focusing on earthquakes)

  • 구지희;송주일;조정윤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31-40
    • /
    • 2022
  • COVID-19, 집중호우, 화재 등 다양한 재난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면서 재난관리 및 대응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재난대응 활동 전반에 걸쳐 효율적인 대응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재난현장 정보를 신속하게 수집하되 사진 및 동영상 등 영상정보를 통해 현장상황을 명확하게 인식하고, 신속한 재난대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각 재난유형별로 재난대응 단계별 필수적인 활동 업무, 위기관리 표준매뉴얼과 각 재난 유형별 관련법, 일일상황보고 등의 각종 서식상의 수요정보를 분석하여 의사결정시 요구되는 필수정보들을 도출하였다. 또한 재난발생시 재난현장의 상황파악 및 실시간 피해현황 파악에 필요한 정보목록도 함께 도출하여 재난현장 정보 수집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수집된 재난상황정보는 공간정보 기반의 시스템을 통해 상황인식을 직관적으로 할 수 있도록 표출하였다. 우선적으로 수집해야할 재난상황관리 필수정보를 제시함으로써 현장에서 정보를 수집하는 담당자는 효율적으로 정보를 수집할 수 있고, 재난대응의 의사결정을 담당하는 상황실에서는 필요로 한 정보만을 전달받아 신속한 상황판단이 가능하므로 재난 상황관리에 대한 효율성이 증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의 재해간호교육 실태 (Exploration on Disaster Nursing Education in Korea)

  • 이옥철;왕순주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4권2호
    • /
    • pp.94-104
    • /
    • 2008
  • Purpose: The disaster occurs increasingly on the earth and nurses are requested to call out to on-sites or help emergency situation. This descriptive study was done to explore the disaster nursing education in Korea. Method: Data was collected from 116 nursing undergraduate program and 93 colleges responded, and analyzed frequencies and percentiles. Results: There was no institution offering Disaster Nursing titled course. Emergency Nursing was mostly combined with disaster nursing. More half (52.7%) did not deal disaster nursing concept at all, from which half had no plan to open in the near future. The lack of teaching manpower was shown. Recommendation: To meet the nursing need in disaster situation, disaster nursing competencies should be included in nursing major subject at the basic education level to be a registered nurse in Korea.

  • PDF

USN 기반 재난 관리 모델 연구 (A study of the disaster management model based on USN)

  • 이창열;김태환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5권1호
    • /
    • pp.122-139
    • /
    • 2009
  • USN Middleware plays roles of broker between sensors and applications. It collects sensor data, decides the situation and sends the result to the applications. It is not good to decide the situation from one sensor data, because it may error data or reflect small part of all.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disaster management model based on the concept 'group' and 'semantic information' from the sensing data. Group is the primary unit to decide the situation. It consists of several sensors which were installed in the same place and had the same pre-defined condition to act. For example, all fire sensors in the room simultaneously trigger the ring when the same pre-defined temperature is recorded. Then, the all fire sensors are included to the same one sensor group. All operations of the intelligent USN middleware are based on the 'group' unit. Disaster information is the result of the interpretation of the sensing data. based on the 'group', the disaster meaning is processed.

  • PDF

풍수해 현장조치 행동매뉴얼 분석을 통한 상황 기반 재난 대응 모델 연구 (A Study of the Situation Based Disaster Response Model from the Damage of Storm and Flood Field Manual)

  • 이창열;박길주;김태환;이현성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5권4호
    • /
    • pp.617-625
    • /
    • 2019
  • 연구목적: 재난 유형별로 관리되는 현장조치행동매뉴얼은 해당 재난의 종합적인 대책 가이드라인이라고 할 수 있지만, 실제 재난은 매뉴얼에 기록된 모든 임무가 다 필요하지는 않기 때문에 현장 담당자가 수행해야할 임무에 혼선이 발생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특정 재난 상황에 따라 필요한 임무만 수행할 수 있는 상황 기반 재난 대응 프로세스 모델을 제시한다. 연구방법: 현장조치행동매뉴얼에서 언급된 재난 상황의 유형을 분류하고, 각 재난 상황에 따른 임무 수행 시나리오가 반영된 재난 대응 프로세스를 도출한다. 그리고 이에 대한 검증과 보완으로 안전한국 훈련의 훈련 시나리오를 본 모델에 적용하여 지속적으로 피드백 할 수 있는 체계에 대한 연구를 수행한다. 연구결과: 현장조치 행동 매뉴얼의 재난 상황별로 임무 수행 프로세스를 지원하는 임무 모델과 이를 기반으로 구성되는 재난 대응 프로세스 모델 체계를 제시하였다. 개발된 모델에 기반하여 안전한국 훈련 시나리오 모델을 적용하였다. 결론: 재난 상황을 지원하는 재난 대응 프로세스 모델을 개발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현장 조치 행동매뉴얼이 작성되고, 안전한국 훈련 시나리오가 작성되면, 안전한국 훈련의 점검을 통하여 현장조치 행동매뉴얼의 재난 대응 프로세스가 지속적으로 개선될 수 있을 것이다.

재난사례 분석을 통한 태풍 상황인지정보 구축방안 연구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Typhoon Context Awareness Information through Analysis of Disaster Cases)

  • 박진이;김옥주;이준우;이상권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6권3호
    • /
    • pp.430-439
    • /
    • 2020
  • 연구목적: 영향태풍 발생빈도가 증가하고 피해형태가 복잡해짐에 따라 재난대응 업무자가 사전에 태풍 상황을 인지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는 정보의 필요성은 커져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매년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태풍의 재난대응 업무를 수행하는데 있어 업무 단계별 활용되는 정보에 대한 정의와 구축방안을 제안하였다. 연구방법: 2019년 한반도 영향태풍 7개를 대상으로 실제 업무 단계별 활용되었던 정보를 분류하고 상황인지를 위한 필요정보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된 정보를 기반으로 중앙 및 지자체 업무담당자의 의견조사를 통해 태풍상황인지정보를 구축하였다. 연구결과: 태풍상황업무는 기상상황 모니터링과 피해상황을 공유하는 업무의 비중이 가장 컸으며 활용되는 정보는 이력정보와 상황정보의 융합을 통해 도출된 정보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태풍상황이 진행될수록 대응 부서 간 업무와 정보의 연계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됨에 따라 향후 실제 태풍상황에 태풍상황인지정보를 적용하여 정보의 고도화 및 관련 체계를 정립하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