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aster Management Service

검색결과 310건 처리시간 0.021초

Mobile GIS를 이용한 홍수관리시스템 구축 (The construction of Flood Disaster Management System by Using Mobile GIS)

  • 장광진;김성범;서영민;지홍기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07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대회
    • /
    • pp.616-619
    • /
    • 2007
  • Recently, flood damage has been increased annually by severe rain storm and Typhoon. In this case, it needs to the effective flood management using not only hydrologic data but also numerical map, DEM(Digital Elevation Model), satellite image and so on. At this point in time, therefore, applying mobile GIS technology is expected to increase efficiency about the management of hydraulic structures and can promote LBS(Location Based Service) service for residents. In this study, the flood management technology using mobile GIS is suggested by standing on the basis of a super-highway information network.

  • PDF

국가재난의료체계에 대한 정책적 고찰 (A Strategic Study on National Disaster Medical System)

  • 백홍석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235-246
    • /
    • 2003
  • Due to major disasters Korea has been damaged, and they caused lots of casualties: for last ten years natural disasters caused 1288 deaths including missing people; human disasters including industrial disasters brought as many as 4,512.148 casual ties (126,372 deaths with 4,385,400 injuries); and they cost 44.1 trillion property damage. However, even though major disasters have brought about tremendous human loss and property damage, Koreas National Disaster Medical System to rescue casualties is insufficient, and it has not been activated. Fortunately, through major disaster management process, the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System has been developed, increasing its own efficiency, and resulting in to organize an Office of Firefighting and Prevention of Disasters under the central government. Considering the value of human lives, the disaster medical part, in the U.S.A. as well as in Korea, must have an independent organization in the government, not as one sector of the government department. It will have its own organizational structure, such as disaster planning, operation, and logistics, and interact with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or between local government agencies. So each agency will cooperate and supply resources interchangeably. Also, with the system of disaster management and restoration, the disaster medical system must be advanced in keeping step. Its role must be extended due to the possibility of biological terror or SARS around the world, resulting in severe casualties. Korea has the Emergency Medical Service System based on the regulation of emergency medical care, yet it is a part of the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System. It must be managed independently apart from it. As we see the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playing as the backbone in disaster medical care in the US, we should have legal foundations for Koreas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emergency medical providers, to participate in rescue operation actively. At the same time, we need to have a national register system to classify disaster medical resources, and a total plan to place resources according to the impact of disaster, and how to organize teams. We also need to draw up a scheme to activate civil disaster medical resources, as integrating public and private or voluntary organizations.

  • PDF

국내 재난 예경보 시스템 현황 및 통합 방안에 대한 분석 연구 (An Analysis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Integration Methods of the Domestic Early Warning System)

  • 황우석;표경수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7권1호
    • /
    • pp.80-90
    • /
    • 2022
  • 현재 국내 재난 예경보 시스템은 재난별로 발령 방식에 차이가 있고 중앙에서 자자체까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대표적인 국내 재난 예경보 시스템은 재난문자방송,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재난경보서비스, 재난방송온라인시스템, 자동우량경보시설, 자동음성통보시설, 재해문자전광판 등이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재난 예경보 시스템이 간급한 재난경보 현장에서 각각의 매체별로 재난경보 발령 방식의 차이를 두고 경보가 발령되고 있으며, 전달되는 내용 또한 통합되지 않는다. 따라서 경보를 받는 국민들의 입장에서는 매체별 경보의 내용이 상이하여 혼란을 받는 상황이다. 이러한 시스템이 통합된다면 음성·영상·데이터 등 재난정보의 공유와 통합관리를 통해 종합적으로 재난 상황의 판단 및 의사결정이 가능함으로써 상황 파악과 현장 대응에 소요되는 업무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신속한 정보전달과 정확한 상황 파악을 통해 재산 및 인명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그렇기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재난 예경보 시스템 운영 현황에 대한 분석과 함께 재난 예경보 시스템의 통합을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빅데이터활용을 통한 정부서비스 패러다임의 변화와 전략 -서울시 재난안전관리를 중심으로- (Changes and Strategies of the Government Service Paradigm through Using Big Data -Focused on Disaster Safety Management in Seoul City-)

  • 김영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2호
    • /
    • pp.59-65
    • /
    • 2017
  • 도시안전은 시민의 삶의 질과 도시경쟁력을 지탱하는 기본적인 목표로 그 가치로 부각되고 있다. 재난재해의 위해요소가 가중되면서 이를 사전에 예방하고 대응함으로써 피해를 최소화해야 한다는 사회적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도시 정부의 경우 폭우, 폭설 등의 자연재해와 각종 사고 등 인적재난으로 인해 안전의 확보가 가장 중요한 정책과제의 하나로 대두되고 있다. 최근에는 특히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재난분석을 통한 사전 예방효과를 높일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를 중심으로 빅데이터를 활용한 재난안전관리 패러다임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특히 효과적인 재난안전관리 차원의 정부서비스 극대화 측면에서 사례 분석을 시도하고 조례와 연계하여 반영된 전략적 의미를 모색하였다.

국외 NaTech 사례연구를 통한 재난관리 방안 고찰 (Discussions on the Disaster Management for NaTech based on the Foreign Case Studies)

  • 유병태;백종배;고재욱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11-117
    • /
    • 2016
  • Natural disasters can cause major accidents in chemical facilities where they can lead to the release of hazardous materials which in turn can result in fires, explosions or toxic dispersion. Technological disasters triggered by natural disasters are referred to as NaTech(Natural Disaster Triggered Technological Disaster). These trends increase the probability of catastrophic future disasters and the potential for mass human exposure to hazardous materials released during disasters. In the present study, we proposed some methods for effective disaster management by conducting case study of major NaTech. First, establishing information sharing system of chemical accident for stakeholders and improving disaster manuals and standards of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and co-operation support system. Second, activating information service of emergency planning and community right to know. Third, improving the integrated chemical accident database including NaTech accidents.

도시재난관리체제 운영실태 분석 연구 - 소방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Urban Disaster Management System - Focusing on Fire Service -)

  • 백동승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4권4호
    • /
    • pp.7-12
    • /
    • 2004
  • 이 연구는 재난관리체제의 운영실태를 소방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대도시와 6대 광역시 그리고 경기도지역에서 소방업무를 담당하는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재난관리체제의 문제점을 실증적으로 파악하였다. 재난관리상의 문제점은 법 제도운영체제, 행정조직, 단계별 대응체제를 중심으로 파악하였다. 그 결과 서울시와 광역시를 포함하는 대도시지역과 경기도 시군지역에서 느끼는 재난관리체제 실태의 거의 상반되게 나타났다. 따라서 대도시와 시군지역에 대해서는 차등적인 재난관리체제를 마련 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현장실태조사를 활용한 지자체 재난관리자원 관리 개선 연구 (A Study on the Management Improvement of Disaster Recovery Resources of Municipality with Field Survey)

  • 김준하;김태헌;정재욱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6권1호
    • /
    • pp.155-162
    • /
    • 2020
  • 연구목적: 비축창고 현장실태조사를 통해 재난관리자원 관리 및 운영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지자체 재난관리자원 관리 개선안 도출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 최근 20년간 재해연보 및 재난연감에 기록된 자연 및 사회재난의 피해사례를 선정된 재난유형에 따라 지자체별 발생횟수를 재난에 대한 과거위험성, 현재취약성 및 대응능력을 고려하여 재난 유형건수가 높은 지역을 우선적으로 도출하였다. 도출한 지역에 대해 해당 지자체의 재난관리자원 공동활용시스템(DRSS, Disaster Resource Sharing Service) 데이터를 분석하여 비축창고를 선정 후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현재 지자체의 재난관리자원 비축창고 실무담당자들의 과중한 업무로 시청 및 구청 내 현행화가 다소 미흡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실무담당자가 현행화 자료 입력 시 입력방법 및 기준이 현재로서는 명확하지 않아 실제 비축량과 DRSS 데이터가 차이를 보이거나 누락되는 경우가 다소 발생하였다. 결론: 재난관리자원 비축창고의 관리 개선을 위해 DRSS 시스템에 대한 교육 및 재난관리자원 운영에 대한 모범적 사례 교육이 절실하며 방재전문인력을 활용한 비축물자의 쳬계적인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공공기관이 재난으로부터 중단없는 대국민 서비스 확보를 위한 상향식 업무연속성관리체계 도입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Business Continuity Management System for Ensuring Uninterrupted Service of Public Institution Based on a Bottom-up Method)

  • 최덕재;양승원;김기원;김대진;장현민;김동헌;은민균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9권2호
    • /
    • pp.87-91
    • /
    • 2016
  • 최근 '경주 지진'과 태풍 '차바' 등 자연재해 및 사이버 테러 등의 인적 재난으로 인해 많은 피해들이 속출하고 있다. 그 피해는 국민들의 불안으로 이어지고 있으며 국민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공공기관 또한 그 위협을 비켜 갈 수는 없는 상황이다. 또한 재난 발생 시 공공기관의 업무 연속성은 국민들의 안전과 가장 근접해 있어 최우선적으로 준비되어야 하는 사안이다. 그런데, 기존의 연구들은 공공기관의 재해경감활동관리체계 구축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나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소방방재청 등의 주관부서 중심의 하향식 계획수립체계로 한정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재난 발생 시 공공기관의 업무연속성계획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고 '공공기관의 업무연속성계획'의 효율적이고 현실적인 상향식 구축방안을 제시하였다.

재난현장 응급의료시설 구축을 위한 매뉴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anual for Emergency Medical Facility Constructing at Disaster Site)

  • 윤유상;서상욱;이영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8권6호
    • /
    • pp.38-46
    • /
    • 2017
  • 최근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유형의 재난이 발생하고 있으며, 재난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재난관리 체계구축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마우나리조트, 세월호 사건 이후 국민안전처 신설, 국가안전관리기본계획 발표 등 재난안전과 관련하여 많은 정책적 개선을 추진하였으며, 재난거점병원을 확충하는 등 시설 확보에도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그러나 미국, 유럽, 일본 등 선진국과 비교하여 인구 당 응급의료시설이 부족한 실정이며, 재난 시 다양한 기관의 미흡한 협조체계로 효율적 재난관리가 이행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재난상황에 요구되는 응급의료시설의 효율적 구축과 체계적 운영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며, 이를 위해 선진국 대비 국내 응급의료시설의 현황을 파악하고, 재난현장 응급의료시설 유형 및 상황별 구축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금융서비스 기업의 CSR 활동과 리스크 관리가 기업 이미지와 지속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the Impact of CSR Activities and Risk Management on the Corporate Image and Sustainability of Financial Services Companies)

  • 김재영;김현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403-416
    • /
    • 2020
  • 과거와는 다르게 금리가 낮아지고, 지식이 보편화되는 등 금융서비스 기업의 CSR 활동과 관련된 환경이 변화하였으며, 글로벌 경제 불안, 규제 증가, 신기술에 따른 영업방식이 노출되는 등 금융서비스 기업의 리스크 관리를 위한 환경이 변화하였다. 본 연구는 금융서비스 기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금융서비스 기업의 CSR 활동과 리스크 관리가 지속가능성에 미치는 영향과 기업 이미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금융서비스기업의 CSR의 법적 책임과 재해리스크 및 전략리스크에 대한 관리는 지속가능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CSR의 윤리적 책임, 재량적 책임, 운영리스크 및 재무리스크에 대한 관리는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CSR의 법적 책임, 재량적 책임, 재해리스크에 대한 관리가 기업 이미지와 지속가능성 사이에서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금융서비스 기업은 CSR의 법적 책임과 재해리스크에 대한 관리에 집중하여 경영할 때 기업의 이미지가 좋아지며 지속가능성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