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aster Management Policy

검색결과 310건 처리시간 0.025초

주거용 건축물의 화재 예방에 관한 고찰 (A Study to Prevent the Fire in Residential Buildings)

  • 박경진;김혜리;이봉우;박신영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23권2_2호
    • /
    • pp.307-312
    • /
    • 2020
  • 본 연구는 주거용 건축물에 설치하는 단독경보형감지기와 소화기의 보급률의 문제점과 개선대책을 제시한 연구이다. 국가화재정보시스템의 통계 자료에 의하면 최근 8년간 전체 화재의 18%, 사망자의 45%가 주거용 건축물에서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런데도 2019년 현재 주거용 건축물에 설치하는 기초 소방시설의 보급률은 60%에도 도달하지 못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화재 안전에 대한 대책의 수립을 위해 관련 법령 및 화재 발생 현황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첫째 60세 이상의 노인 계층 및 소방차량 진입 곤란 지역의 재난 약자를 대상으로 무상보급, 둘째 재난 취약계층을 위한 재난 안전 수당의 도입, 셋째 공인중개사법의 개정을 통한 보급 확대, 넷째 각종 안전교육을 통한 기초 소방시설의 자율적 설치유도 및 Data base system의 구축을 통한 기초 소방시설의 보급률 증가, 다섯째 공동주택 국가 화재안전기준의 제정을 제안하였다.

Long-Term Wildfire Reconstruction: In Need of Focused and Dedicated Pre-Planning Efforts

  • Harris, William S.;Choi, Jin Ouk;Lim, Jaewon;Lee, Yong-Cheol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9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923-928
    • /
    • 2022
  • Wildfire disasters in the United States impact lives and livelihoods by destroying private homes, businesses, community facilities, and infrastructure. Disaster victims suffer from damaged houses, inadequate shelters, inoperable civil infrastructure, and homelessness coupled with long-term recovery and reconstruction processes. Cities and their neighboring communities require an enormous commitment for a full recovery for as long as disaster recovery processes last. State, county, and municipal governments inherently have the responsibility to establish and provide governance and public services for the benefit and well being of community members. Municipal governments' comprehensive and emergency response plans are the artifacts of planning efforts that guide accomplishing those duties. Typically these plans include preparation and response to natural disasters, including wildfires. The standard wildfire planning includes and outlines (1) a wildfire hazard assessment, (2) response approaches to prevent human injury and minimize damage to physical property, and (3) near- and long-term recovery and reconstruction efforts. There is often a high level of detail in the assessment section, but the level of detail and specificity significantly lessons to general approaches in the long-term recovery subsection. This paper aims to document the extent of wildfire preparedness at the county level in general, focusing on the long-term recovery subsections of municipal plans. Based on the identified challenges, the researchers provide recommendations for better longer-term recovery and reconstruction opportunities: 1) building permit requirements, 2) exploration of the use of modular construction, 3) address through relief from legislative requirements, and 4) early, simple, funding, and the aid application process.

  • PDF

산업재해분석을 통한 안전관리전문기관의 역할 (The Role of Safety Management Professional Organizations through Industrial Accident Analysis)

  • 김득환;황순재;조대진;이준원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71-83
    • /
    • 2023
  • Since last year, the government has enforced the 'Act on the Punishment of Severe Accidents, Etc.' (hereafter referred to as the 'Serious Accident Punishment Act'), which punishes business owners and business managers who fail to fulfill their duty of safety measures with 'imprisonment of one year or more' and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Based on this, various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policies were developed, including the operation of a system related to entrusting the work of safety managers. Despite these efforts, the effect of implementing the Severe Accident Punishment Act is a groundbreaking change in the current disaster prevention policy, which has increased by 0.02%P and 0.03‱P, respectively, from the previous year to 0.65% of the total accident rate and 1.10‱ of the death rate per 10,000 people as of 2022. As the need emerged, attention was paid to 'collaboration and governance with safety management institutions' in the 'Severe Disaster Reduction Roadmap' announced by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in November 2022. In this study, a meaningful result was derived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industrial accident status of workplaces entrusted by "A" safety management institutions with the national average based on the industrial accident survey table, and the types of industrial accidents that occurred in consigned workplaces were selected as intensive management targets. The policy direction for industrial accident prevention was established. It is necessary to develop safety management work manual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expertise, discover best cases of risk assessment and develop guides, and educate and train consigned workers. In addition, it suggests that the government's guidance and supervision are needed to advance the professionalism of safety management entrusted tasks, and that safety management institutions should strengthen their roles and functions for preventing and reducing industrial accidents. However, due to difficulties in disclosing information of specialized safety management institutions, the limitation of the provision, collection, and viewing of research-related data to "A" specialized safety management institutions remains a limitation of the research. It seems likely that more thorough research will be conducted.

한반도 지진에 대한 원인 및 대처방안 (Cause and Countermeasures on the Korean Peninsula Earthquake)

  • 양원직;허대욱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9권2호
    • /
    • pp.9-13
    • /
    • 2016
  • 지진안전지대라고 불려왔던 한반도에 최근 지진이 자주 발생하여 전례없는 인적 물적 피해가 발생하였다. 이는 3층 미만의 건축물에 대해서는 내진설계가 되어있지 않고, 일부 전문가 및 단체를 제외하고는 지진에 대한 심각성 및 대피요령에 대해서 숙지하지 못하고 있어 피해가 가중된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과 같이 국민 대부분이 대피요령이나 생존법, 비상물자 등을 인지하지 못하고, 각종 필요한 지진대비 교육이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지진에 대해서 준비가 전무했던 우리가 이제 지진에 대해 정확한 실체와 원인을 알아보고 준비와 대책을 세워야 할 시점이라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는 빈번하게 발생하는 한반도 지진에 대하여 원인에 대해서 조사하고 우리정부와 지자체, 민간단체, 언론 및 개인의 대처방안에 대해서 체계적으로 정리하고자 한다.

국내 소프트 타깃 대상 드론테러의 법제도 개선방안 연구 (Countermeasure of Uumanned Aerial Vehicle (UAV) against terrorist's attacks in South Korea for the public crowded places)

  • 오한길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5권1호
    • /
    • pp.49-66
    • /
    • 2019
  • 연구목적: 본 연구는 드론의 테러위협으로부터 민간 다중이용시설이 안전하고 유익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민간시설의 드론테러 방어를 위한 법제도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연구를 위해 국가가 민간시설에 대해 시행하고 있는 대테러활동 운영실태를 조사 분석하였으며, 국외의 모범사례를 기술하고 비교하여 국내에 필요한 드론테러에 대한 국가 대테러정책의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연구 결과: 국내 드론테러에 대한 법제도 한계점에 대하여 연구한 결과, 국내 적용 가능한 안티드론 기술을 구축 활용하기 어려워짐에 따라 드론테러에 대한 위협 뿐만 아니라, 사생활 침해, 스토킹 등의 범죄에도 취약점이 드러났다. "전파법과" 정보보호관련 법률 등 국민의 안전에 관한 법률은 안티드론기술의 도입을 방해하는 장애요인이 되고 있으므로 본 논문에서 제시하고 있는 법제도의 개선이 요구된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민간시설 드론테러 취약요인과 피해경감대책의 법제도적 한계점과 개선방안을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개선방안을 검토하여 드론테러의 대책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디지털 콘텐츠의 무결성 유지를 위한 장기적인 보존 정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servation Policy for Maintaining the Integrity of Digital Contents)

  • 정영미;윤화묵;김정택
    • 정보관리연구
    • /
    • 제41권4호
    • /
    • pp.205-226
    • /
    • 2010
  • 디지털 콘텐츠의 장기적인 보존 정책에서 디지털 콘텐츠의 무결성 유지를 보장하는 것은 가장 중요한 부분 중 하나이다. 그래서 본 연구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디지털 콘텐츠의 무결성 유지를 보장할 수 있는 명문화된 보존 정책의 기틀을 마련하기 위해, 실행 수준의 장기적인 보존 정책에 포함되어야 하는 항목들과 세부적인 요건들을 도출해보았다. 특히 해외의 디지털 아카이빙 사례들 중에서 무결성 유지에 초점을 맞춘 장기적인 보존 정책들을 조사하였고 저장 매체와 파일 포맷, 매체와 포맷 변환, 재난 방지와 복구 정책, 관리와 취급, 검사와 모니터링, 그리고 보안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공연종사자 피난을 위한 안전시설의 운영전략 연구 (A Study of the Safety Facilities Operation Strategies for Performing Arts Workers Evacuation)

  • 정성학;박용규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63-74
    • /
    • 2024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evacuation types, derive the characteristics of 4 types, develop and discover evacuation routes within the performance hall space, and present the statistical classification results of the evacuation classification model by classification type. To achieve this purpos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evacuation type's four types are applied through a network reliability analysis method and utilized for institutional improvement and policy. This study applies for the building law, evacuation and relief safety standards when establishing a performance hall safety management plan, and reflects it in safety-related laws, safety standards, and policy systems. Statistical data by evacuation type were analyzed, and measurement characteristics were compared and analyzed by evacuation types. Evaluate the morphological similarity and reliability of evacuation types according to door width and passage length and propose the install position of evacuation guidance sign board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to provide operation strategies for safety facility evacuation information sign boards according to evacuation route classification types when taking a safety management plan. The operation strategy for the evacuation sign boards installation that integrates employee guidance and safety training is applied to the performance hall safety management plan. It will contribute to establishing an operational strategy for performance space safety when constructing performance facilities in the future.

Social Distancing and Public Health Guidelines at Workplaces in Korea: Responses to Coronavirus Disease-19

  • Kim, Eun-A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11권3호
    • /
    • pp.275-283
    • /
    • 2020
  • Background: In the absence of a vaccine or treatment, the most pragmatic strategies against an infectious disease pandemic are extensive early detection testing and social distancing. This study aimed to summarize public and workplace responses to Coronavirus Disease-19 (COVID-19) and show how the Korean system has operated during the COVID-19 pandemic. Method: Daily briefings from the Korean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the Central Disaster Management Headquarters were assembled from January 20 to May 15, 2020. Results: By May 15, 2020, 11,018 COVID-19 cases were identified, of which 15.7% occurred in workplaces such as health-care facilities, call centers, sports clubs, coin karaoke, and nightlife destinations. When the first confirmed case was diagnosed, the Korean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Central Disaster Management Headquarters responded quickly, emphasizing early detection with numerous tests and a social distancing policy. This slowed the spread of infection without intensive containment, shut down, or mitigation interventions. After entering the public health blue alert level, a business continuity plan was distributed. After entering the orange level,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developed workplace guidelines for COVID-19 consisting of social distancing, flexible working schedules, early identification of workers with suspected infections, and disinfection of workplaces. Owing to the intensive workplace social distancing policy, workplaces remained safe with only small sporadic group infections. Conclusion: The workplace social distancing policy with timely implementation of specific guidelines was a key to preventing a large outbreak of COVID-19 in Korean workplaces. However, sporadic incidents of COVID-19 are still ongoing, and risk assessment in vulnerable workplaces should be continued.

태풍 매미가 부산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에머지 평가 (Emergy Evaluation of Typhoon Maemi in Busan)

  • 박경민;김동명;이석모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8-25
    • /
    • 2017
  •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자연재해에 의한 인명 및 재산의 피해가 증가함에 따라 자연재해 취약성에 관한 연구들이 근래에 폭넓게 수행되고 있으며, 기후변화의 영향평가와 적응 방재대책 마련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종래의 재해영향을 평가한 연구에서는 대리변수를 이용하여 취약성 평가를 수행하였으나, 이는 정성적이고 상대적인 결과를 도출하여 절대적인 비교나 방재 또는 적응능력의 기준을 제시하기 어려운 경향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스템 생태학적 접근법으로 재해를 Order와 Disorder의 관계로 인식하고 에머지평가법을 이용하여 정량적인 평가를 하고자 하였다. 먼저, 2003년 부산시를 대상으로 유입 에너지와 내부 자산을 파악하였고, 태풍 매미로 인해 발생 된 태풍 에너지, 태풍 영향 그리고 복구 에너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유입 에너지는 4.66E+22 sej/yr, 내부 자산은 1.98E+22 sej, 태풍 에너지는 7.80E+18 sej, 태풍 영향은 4.55E+20 sej, 복구 에너지는 3.87E+20 sej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재해 에너지에 대한 재해 영향을 허리케인 앤드류와 비교 고찰해봤을 때, 부산시의 방재능력을 증가시킬 경우, 매미보다 큰 태풍의 에너지에 대한 영향 정도를 줄일 수 있음을 알 수 있었고 피해에 대한 실질적인 복구를 통하여 추가피해에 대한 예방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재해에 대한 영향을 동일한 척도로 나타내어 자연환경과 인간의 경제 시스템별로 정량적이게 파악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정량적인 취약성 평가가 이루어지고 추후 태풍 크기에 따라 방재능력을 어느 정도까지 증가시키는 것이 효율적인 방재인지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도시의 방재정책마련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한일 지진 복구체계의 비교 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Korea-Japan Seismic Recovery System)

  • 이준범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6권3호
    • /
    • pp.458-471
    • /
    • 2020
  • 연구목적: 우리나라에서는 최근 지진의 발생빈도와 횟수가 매년 증가하고 있다.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와 일본지진의 특성과 사례 및 이에 대한 복구체계에 대해서 비교분석하고, 우리나라 지진 방재정책의 개선사항 제안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고베 대지진과 동일본 대지진 두 사례에서의 일본의 대응을 조사 및 평가하고, 경주 지진과 포항 지진 두 사태에서 우리나라의 대응책을 조사 및 평가한 후, 이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우리나라와 일본의 복구체계를 비교했을 때, 크게 도로교통망 복구를 위한 계획, 지역방재계획 과 BCP 개념의 도입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우리나라의 지진 위험지역과 수도의 물리적 거리를 고려할 때 시일이 소요될 수밖에 없는 현재의 중앙정부 집중형의 하향식 대응에서 벗어나 기능연속성계획(COOP)의 세부 수립을 통해 지역에서의 즉각적인 지진 대응력을 높이고, 행정BCP 개념 도입을 통해 재해 발생 시 행정기능이 정상적으로 발휘되도록, 이를 담보하기 위한 대처방안을 조속히 마련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