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aster Information

검색결과 3,406건 처리시간 0.033초

재난 예방활동 강화를 위한 재해경감활동관리체계 모델 제안 (A Proposal of the Disaster Mitigation Activity Management System Model for Strengthening Disaster Prevention Activities)

  • 김상덕;김창수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5권4호
    • /
    • pp.502-513
    • /
    • 2019
  • 연구목적: 본 연구는 기업재난관리표준의 요구사항에 대한 재해경감활동계획 수립절차와 재해경감활동관리체계를 검토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기업재난관리표준의 적용범위에 규정된 재난관리 단계별 각 활동을 포함한 요구사항을 파악하고 'A'기관의 운용사례를 검토하였으며 요구사항에 맞는 업무연속계획 대상을 검토하였다. 연구결과: 기업재난관리표준의 요구사항인 재난관리 단계별 내용과 절차를 명확히 정의하고, 4단계별 활동에 대한 업무연속성계획 수립이 필요한 것으로 검토되었다. 결론: 기업재난관리표준 요구사항에 대하여 재난관리활동 각 단계별 활동을 포함한 PDCA모델을 제시하였고, 재난의 예방 및 대비계획을 포함하는 광의의 재난관리 개념의 재해경감활동관리체계 모델을 제안하였다.

Remote Sensing Monitoring and Loss Estimated System of Flood Disaster based on GIS

  • Wenqiu, Wei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2년도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Symposium on Remote Sensing
    • /
    • pp.507-515
    • /
    • 2002
  • Remote Sensing Monitoring and Loss Estimated System of Flood Disaster based on GIS is an integrated system comprised flood disaster information receiving and collection, flood disaster simulation, and flood disaster estimation. When the system receives and collects remote sensing monitoring and conventional investigation information, the distributional features of flood disaster on space and time is obtained by means of image processing and information fusion. The economic loss of flood disaster can be classified into two pus: direct economic loss and indirect economic loss. The estimation of direct economic loss applies macroscopic economic analysis methods, i.e. applying Product (Industry and Agriculture Gross Product or Gross Domestic Product - GDP) or Unit Synthetic Economic Loss Index, direct economic loss can be estimated. Estimating indirect economic loss applies reduction coefficient methods with direct economic loss. The system can real-timely ascertains flood disaster and estimates flood Loss, so that the science basis fur decision-making of flood control and relieving disaster may be provided.

  • PDF

ICT기술을 이용한 방재정보 관리의 환류기능 확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Obtaining Feedback Function of Disaster Information Management using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 Ko, Jaesun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1권1호
    • /
    • pp.73-88
    • /
    • 2015
  • 최근 지구온난화와 기상이변 등의 원인으로 인해 동남아시아와 북미, 남미 등 대륙 전반에 태풍, 홍수, 설해 등 대규모 자연재해가 자주 발생하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그 동안 안전지대로 여겨졌던 지진과 해일 등의 위험성도 점차 커지고 있으며, 태풍, 홍수, 폭염, 폭설 등 재해유형도 다양화되고 있으며 피해규모도 대형화 추세이다. 또한 과거에는 지형적 특성 또는 기반시설의 미비에 따라 재해의 발생범위가 특정지역 또는 도시를 중심으로 집중적으로 나타나는 경향이 있었으나, 최근에는 국토 전반에서 재해가 발생하고 있어 재해 예방을 위한 대비책이 시급한 현안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재해 경감을 위해서 사전 예방적이며 소프트웨어 적인 측면에서 방재정보의 효율적인 환류기능의 확보방안이 매우 중요하다고 보며 이를 위해 내용적, 과정적 그리고 상황적 측면의 세 가지 측면에서 분석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첫째, 내용적 측면에서 방재정보 통신기반 구축, 도시 및 지역방재시스템 구축, 정보의 동시성과 공유성의 확보를, 둘째, 과정적 측면에서는 예방단계의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기술 적극 활용, 대비단계의 방재정보 수집 및 분석력 강화, 대응단계의 의사결정 구조 및 현장 지휘체계의 개선, 복구단계의 복구체계 관련 정보화 촉진을 대안으로 제시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상황적 측면으로는 방재정보관련 제도 정비, 방재업무별 영역성 확보, 상황판단능력 향상, 종합 및 환류기능 확보, 등을 통해 방재정보 관리의 효율적인 관리가 이뤄 질 경우 자연재해 경감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판단된다.

정보융합기반 재난정보시스템 프레임워크에 관한 연구 (An Information Fusion-based Disaster Information System Framework)

  • 박충식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5권2호
    • /
    • pp.40-48
    • /
    • 2009
  • DIS(Disaster Information System) is the information system supporting prevention, readiness, response, and recovery to disasters. DIS must monitor various disaster-related informations, keep various human resources and various material resources, and response real disasters. The conventional DISs are insufficient for integrated situation analysis, real-time report and operation, and utilizing the expertise of disaster personnels. In this study, the information-fusion based DIS framework is proposed for analysing various level informations, providing integrated situation informations and response plans, and processing real-time reports and operation according to field situations. The proposed DIS framework adopts information-fusion technologies and knowledge-based BRMS(Business Rule Management System).

  • PDF

재난안전정보의 통합 관리를 위한 분류체계 현황분석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and Improvement of Classifications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Disaster and Safety Information)

  • 박태연;한희정;김용;김수정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125-150
    • /
    • 2017
  • 본 연구는 국내 재난 안전 유관기관들이 사용하고 있는 재난안전정보 관련 분류체계의 현황 및 문제점을 파악하여 일원화된 재난안전정보 분류체계의 구축을 위한 기본 요구사항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국내외 재난유형 분류체계를 살펴보았으며, 현재 국내 재난 유관기관에서 사용하고 있는 분류체계를 수집하여 분석하고, 실무자와의 면담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향후 재난유형 분류체계 개발을 위하여 일관성, 망라성, 체계성, 및 한국형 재난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또한 재난안전정보 분류체계 개발을 위해서는 재난 및 안전관리 업무의 복잡성, 복합재난의 출현 등을 고려하여 패싯 분류체계의 적용을 제안하였다.

소셜 빅데이터의 감성과 재난전조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saster Signs and Sentimental of the Social Bigdata)

  • 배병걸;이보람;최선화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898-899
    • /
    • 2014
  • 여러 가지 예측하기 힘든 요소에 의해서 발생되는 재난을 미리 감지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특히, 일부라도 예측할 수가 있는 자연재난이 아닌 복합재난의 경우, 측정될 수가 있는 정형적인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재난을 예측하기 위한 데이터가 없는 것이 현실이다. 본 논문에서는 재난에 대한 전조를 감지하기 위해 소셜미디어에서 사람들이 직접 생성하는 소셜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재난과 관련된 메시지의 감성이 재난전조와 연관성이 있다는 것을 알아보고자 한다. 그래서 실제 사람들이 작성한 재난과 관련된 트윗을 수집하고 감성분석하여 재난발생 전후의 감성변화를 분석하였다.

소셜미디어 재난이슈 탐지 및 모니터링 (Monitoring and Sensing Disaster Issues from Social Media)

  • 최선화;최우정;이종국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3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332-335
    • /
    • 2013
  • 최근 IT기술발전으로 데이터 저장 및 처리비용은 하락하고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등이 확대되어 데이터의 양적 팽창이 가속화되면서 빅데이터에서 가치를 창출하려는 시도가 늘어나고 있다. 특히, 국내 스마트폰 이용자가 3천만을 넘어서면서 모바일 기기는 대량 데이터 생산의 원천이 되고 있다. 모바일 기기는 스마트시대 대표 통신채널인 소셜미디어 활용을 가속화 시키며 다양한 분야에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특히 일본과 아이티 지진피해, 강남역 침수 등 재난발생 시 피해상황 파악 및 경보, 정보교환 등에 소셜미디어 채널이 활발히 활용되면서 새로운 매체로 떠오르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언어분석을 통해 소셜미디어 속에 재난이슈를 모니터링하고 소셜미디어가 재난예방 및 대응에 적극 활용되기 위해 필요한 기술개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재난안전정보 관리를 위한 어휘자원 현황분석 및 활용방안 (A Study on the Utilization Plan of Lexical Resources for Disaster and Safety Information Management Based on Current Status Analysis)

  • 정힘찬;김태영;김용;오효정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37-158
    • /
    • 2017
  • 재난은 국민의 생명 신체 재산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사건으로, 재난 발생 시 신속하고 효과적인 대응을 위해서는 관련 정보들을 효율적으로 공유, 활용하는 협조 과정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현재 재난안전 유관기관별로 다양한 재난안전정보가 생산 및 관리되고 있지만, 각 기관별로 개별적인 용어와 의미를 정의하여 활용하고 있다. 이는 재난안전정보를 검색하고 접근하려는 실무자 입장에서 큰 걸림돌이며, 기관별 정보 활용도를 저해시키는 요인 중에 하나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재난안전정보의 통합적 관리를 위한 어휘자원의 표준화 작업의 선행 연구로, 본 연구에서는 재난안전 유관기관에서 관리하고 있는 어휘자원의 현황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수집된 어휘자원을 대상으로 정보제공자 및 이용자 관점에서의 활용도 분석을 통해 어휘 그룹별 특성을 파악하고 이에 기반해 재난안전정보 관리를 위한 활용방안을 제안하였다.

한국의 재해간호교육 실태 (Exploration on Disaster Nursing Education in Korea)

  • 이옥철;왕순주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4권2호
    • /
    • pp.94-104
    • /
    • 2008
  • Purpose: The disaster occurs increasingly on the earth and nurses are requested to call out to on-sites or help emergency situation. This descriptive study was done to explore the disaster nursing education in Korea. Method: Data was collected from 116 nursing undergraduate program and 93 colleges responded, and analyzed frequencies and percentiles. Results: There was no institution offering Disaster Nursing titled course. Emergency Nursing was mostly combined with disaster nursing. More half (52.7%) did not deal disaster nursing concept at all, from which half had no plan to open in the near future. The lack of teaching manpower was shown. Recommendation: To meet the nursing need in disaster situation, disaster nursing competencies should be included in nursing major subject at the basic education level to be a registered nurse in Korea.

  • PDF

정보속성이 재난관리 업무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Research on the Information Quality of influence on work performance in Disaster Management Operation)

  • 정덕훈;심형섭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8권5호
    • /
    • pp.85-91
    • /
    • 2008
  • 최근 발생하는 재난의 규모와 발생유형이 대형화, 복잡화, 다양화로 진행됨에 따라, 수많은 인명과 재산 피해를 가져올 뿐만 아니라 국가의 위기 상황으로 확산되고 있기 때문에 체계적인 재난관리체계가 요구된다. 체계적인 재난관리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정보의 공유와 협조체계가 필요하며, 전제조건으로는 정보가 중요한 자원이라는 인식이 선행되어야 한다. 재난과 같은 혼란 상황에서 사회의 질서를 유지하고 혼란으로부터 탈피하는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은 올바른 정보라 할 수 있으며, 올바른 정보는 높은 불확실성과 상호의존적인 재난상황에서 인간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며, 재난 발생 이전의 정상적인 상태로 복구하는데 있어서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정보속성과 재난관리 업무성과간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하여 Wang과 Strong(1996)의 4가지 정보속성을 설정하고, 재난관련 담당자들에서 설문지를 통해 통계적으로 업무성과간의 관계 여부를 검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