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aster & safety education

검색결과 316건 처리시간 0.031초

수요자 중심의 산업안전보건교육 과정 개발을 위한 요구분석 -관리감독자 정기안전보건교육을 중심으로- (Analysis of Educational Needs for Developing a Consumer-oriented Regular Safety and Health Education Curriculum - Focusing on Management Supervisors)

  • 최아름;황정호;김진아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64-375
    • /
    • 2020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direction for consumer-oriented curriculum development by analyzing the priorities of subjects and their preference for educational methods. Methods: The participants included 773 management supervisors and education practitioners in the workplace, and a survey was conducted from April 17 to August 30, 2019. Frequency analysis, t-test, Borich's Needs Analysis, and Locus for Focus Model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Microsoft Excel 2019 and IBM SPSS 21.0. Results: The highest perceived priorities for education subjects were as follows: ① 'CPR and First Aid Practice' and 'Occupational Disaster Prevention and First Aid Basics'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and ② 'Emotional Labor and Job Stress Prevention', 'Occupational Disaster Prevention and First Aid basics, and 'Musculoskeletal Disorder Prevention' in the service industry. 'Collective education' was the most preferred method of education. 'School-type' was preferred for the seating arrangement, and the proper number of trainees was considered to be about 30. Respondents said the contents of the education was a top priority when they applied for education, and curriculum and appropriate textbooks should be considered in calculating the cost of education. Conclusions: Practical subjects and subjects related to major hazards by industry were required for management supervisor education. It was proposed in this study that the contents and operating methods of education be changed so that workers can easily comprehend essential subjects such as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design the curriculum and apply educational methods suitable for each subject's characteristics in consideration of the priorities for subjects reflected in the needs of trainees.

유해·위험작업의 취업제한에 관한 규칙 및 특별안전보건교육 대상작업의 사망재해 분석에 관한 연구 (Analysis of Death Accidents of Hazardous and Dangerous Works defined in Regulation for Employment Restriction and Special Education for Safety and Health)

  • 정승래;장성록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16-122
    • /
    • 2016
  • With the changes of industrial structure, contents and types in hazardous and dangerous works have been changed considerably. However, the hazardous and dangerous works by defined "Regulation for the hazardous and dangerous work employment restriction" and "Special education for safety and health"have not been amended over twenty years.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recent trends of the works by analyzing the death accidents cases from 2004 to 2013 and to present the management methods about future hazardous and dangerous works. The results showed that amount of 1,972 cases among 11,513 death accidents were equivalent to the works presented by "Regulation for the hazardous and dangerous work employment restriction". The amount of death accidents in 'Work of using construction equipment following construction machinery management act' was biggest among the death accidents cases and that of 'Work of handling pressure vessels following high-pressure gas safety control act' didn't show up. For the works in "Special education for safety and health"amount of 1,650 death accidents cases were equivalent. The amount of death accidents in 'Work involving a crane with a capacity of 1 ton or more or work which is carried out with a crane or hoist with a capacity of less than 1 ton in a workplace having at least 5 such machines' presented by "Special education for safety and health"was biggest. Also, death accidents case didn't occurred in three works presented by "Special education for safety and health". It was analyzed that works with low death accidents cases should be needed to study thoroughly the whole disaster research involving nonfatal accidents. Through this study, it was expected that regulation can be operated practically in the industrial field. Also, it is considered to increase

학생 안전체험교육시설 구축을 위한 체험형 안전교육프로그램 도출 기초연구 - 「학교 안전교육 7대 표준안」을 중심으로 - (The basic study on extracting experiential type safety education programs for establishing safety-experience-education-facilities - focused on 「school safety education 7 standards」 -)

  • 조진일;송병준;박성철;장재원;방영현;윤형욱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15권2호
    • /
    • pp.1-12
    • /
    • 2016
  • 본 연구는 2015년 교육부에서 발표한 "학교 안전교육 7대 표준안"을 기준으로 학생 안전체험교육시설 구축을 위한 체험형 안전교육프로그램 도출을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안전체험교육시설의 개념을 조작적으로 정의하였고, "학교 안전교육 7대 표준안"의 총 758차시에 대한 구성 체계 및 학습내용을 분석하여 7대 안전 분야별 전문가를 대상으로 2차에 걸쳐 전문가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1차 전문가 조사를 통해서는 총 758차시의 교육내용 중 체험형 안전교육프로그램을 총 150차시로 선정되었고, 선정된 프로그램의 타당성 검증을 위해 2차 전문가 조사를 델파이 기법을 통해 진행한 결과 총 5차시의 프로그램이 삭제되어 최종 145차로 결정되었다. 분야별 구체적인 프로그램 차시는 생활안전 분야 21차시, 교통안전 분야 22차시, 폭력 신변안전 분야 18차시, 약물 사이버중독 분야 5차시, 재난안전 분야 36차시, 직업안전 분야 10차시, 응급처치 분야 33차시로 선정되었다.

물놀이 안전사고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Measures of Drowning Accident in South Korea)

  • 김정곤;임호정;김태환;이대성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5권1호
    • /
    • pp.153-164
    • /
    • 2019
  • 연구목적: 본 논문은 물놀이 안전사고로 인한 인명피해를 실효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한 정책적 및 기술적 측면에서의 개선방안 도출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먼저 물놀이 안전사고 관리현황 파악 및 민간안전요원에 대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또한 안전요원 및 관리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구체적인 물놀이 안전관리를 위한 정책적 및 기술적 개선 사항을 검토하였다. 연구결과: 검토결과 물놀이 안전사고 방지를 위하여 IoT 인공지능 기술이 적용된 CCTV 및 감시 장치 등 보조적인 지원 방안이 필요하며, 현장 안전감시자의 제한적인 단속권한을 갖는 자격 부여가 필요한 것으로 검토되었다. 결론: 효과적인 물놀이 안전사고 관리를 위해서는 안전요원에 대한 체계적 교육, 단속권한 부여 그리고 감시장비 도입을 통하여 사람과 장비가 융합된 종합적인 물놀이 안전관리 체계가 구축되어야 한다.

국내 건설현장 외국인 근로자 안전교육 모델 개발 (A Development of Safety Education Model for a Foreign Worker in Domestic Construction Site)

  • 정경환;이혜인;권혜리;박정은;신윤석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27-235
    • /
    • 2015
  • 국내 건설현장에서는 외국인 근로자들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그들에게 적합한 안전교육체계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외국인 근로자들을 위한 안전교육 모델을 제안하고 실제로 프로토타입의 안전교육시스템을 구현하였다. 그 결과로 이러닝 시스템 기반의 안전교육 모델을 개발하였다. 이 시스템은 국내 건설현장에서 근무하고 있는 외국인 근로자들이 안전교육을 잘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해 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현장의 안전관리자로 하여금 외국인 근로자들을 잘 교육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해 줄 것이다.

청소년의 심리적 특성이 생활안전의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s on Life Safety Awareness)

  • 임숙희;이진경;이재영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49-57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adolescent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ffect their sense of life safety according to gender.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male and female high school students in six schools in the C area, and a total of 1,048 data were used for analysis. Differences in major variables according to gender were verified, and the effect of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n living safety awareness was analyzed through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depression, anxiety, type A characteristics,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experience in accident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life safety awareness in the male student group. On the other hand, in the female student group, anxiety and type A characteristic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life safety awareness. Anxiety negatively affects living safety awareness, and type A characteristics have been shown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living safety awareness. The presence or absence of depression and accident experience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life safety awareness.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suggest that gender differences should be considered in education to prevent life safety awareness and that education that reflects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s is necessary.

경찰의 재난위기관리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of the police disaster crisis management system)

  • Chun, Yongtae;Kim, Moonkwi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1권4호
    • /
    • pp.556-569
    • /
    • 2015
  • 국민의 75%가 정부의 재난관리 정책을 비판하는 등 세월호 참사와 같은 대형 재난 관리실패는 정부 불신을 초래하고 있다. 세월호 참사와 같은 재난이 다시 발생하지 않도록 재난안전에 있어 골든타임 확보가 중요하며, 주민의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경찰의 재난 위기관리 능력 개선이 필요하다. 재난 안전 역시 경찰 임무의 본질로서 다음과 같이 국가위기관리 단계별로 경찰의 재난안전 관리 시스템의 강화가 필요하다. 첫째, 예방단계에서는 과거 다중운집행사의 경우 수익성 행사의 경우 경찰력을 투입하지 않았으나, 앞으로는 기준을 수익성이 아닌 위험성 여부로 판단해야 한다. 그동안 교통 소통이 우선이었으나 안전 중심으로 교통 정책의 패러다임을 전화하고, 대형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수사 경찰은 비정상적 관행과 건축불법 하도급을 근절하며, 정보 경찰은 '안전'이라는 주제에 대한 정보 수집을 강화해야 한다. 둘째, 대비단계와 관련 최근 경찰관 대상 설문 조사 결과 경찰관의 72%는 안전관리와 경찰이 업무연관성이 없다고 응답하는 등 재난안전에 대한 인식도 개선이 시급하므로 재난 안전 교육 훈련을 강화해야 한다. 위기상황에 대한 민간 자원을 활용할 수 있도록 민 관 경재난 안전 네트워크를 구축해야 한다. 셋째, 대응단계에서 신속한 초동 대응을 위해 재난 통신망을 일원화하고, 경찰기관 상황실에 실시간 영상정보망을 도입해야 하며, 넷째, 복구단계에서는 2차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복구지원팀을 운영해야 한다.

감염병 재난관리에서 근로자의 재난안전관리 인식이 지방정부와 기업의 재난관리 역량 및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자동차 제조업 종사자를 중심으로 (The Role of Workers' Awareness of Disaster Safety Management and Disaster Management Capabilities of Companies and Governments for Infectious Disease Disaster Management: Focused on Workers in the Automobile Manufacturing Industry)

  • 황보한;이창율;김하경;김병권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9권3호
    • /
    • pp.451-470
    • /
    • 2023
  • 연구목적: COVID-19가 2019년 12월에 중국에서 처음 발견된 이후 전 세계로 빠르게 확산되면서, 개인의 생활뿐만 아니라 기업과 국가에도 심각한 경제적·사회적 문제를 야기하였다. 개인, 기업, 정부 모두는 COVID-19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노력을 하였다. 감염병에 대응하고 관리하기 위해서는 개인, 기업, 정부 모두의 역할이 중요하나 선행연구에서는 부분적으로만 연구를 진행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감염병 재난관리 대응에서 성과를 내기 위해 개인, 기업, 정부의 역할에 대해 종합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감염병 재난관리에 대한 근로자의 인식과 정부 및 기업 역량이 재난대응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설문조사는 울산, 경주, 양산지역의 자동차 제조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분석은 빈도분석,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근로자 인식은 재난관리성과 뿐만 아니라 정부역량과 기업역량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부역량과 기업역량은 재난관리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재난대응 성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근로자의 인식뿐만 아니라 정부와 기업의 역량이 중요함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진다. 뿐만 아니라 근로자들은 정부와 기업에서 주어지는 교육과 참여의 기회를 잘 활용하고 근로자가 할 수 있는 범사회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간호대학생의 입원아동 안전간호활동 인식 영향 요인 (Factors Affecting Nursing Students' Perception on Pediatric Patient Safety Culture and Nursing Activity)

  • 박은숙;오원옥;김미림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3권4호
    • /
    • pp.534-542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affect nursing students' perception of pediatric safety nursing activities for children during hospitalization. Methods: The study sample included 304 nursing students who had participated in pediatric nursing practice. Data were analyzed using SAS 9.3 program. Results: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model's explanatory power was 37%. Safety policy and procedure, safety priority, disaster experience, and knowing a place of refuge were factors affecting the perception of safety nursing activities for children during hospitalization. Conclusion: Findings show that safety policy and procedures and safety priority are major factors that affect the perception of safety nursing activities and indicate that effective education programs on safety policy and procedure and safety priority are necessary to improve the perception of safety nursing activ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