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abled Children

검색결과 313건 처리시간 0.026초

발달장애아 어머니 삶의 질 구조모형: Self-Help Model을 중심으로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for Quality of Life of Mother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ocusing on the Self-Help Model)

  • 양미란;유미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52권3호
    • /
    • pp.308-323
    • /
    • 2022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construct and test a predictive model for the quality of life (QOL) in mother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DB). The hypothesized model included severity of illness, distress, uncertainty, self-help, and parenting efficacy as influencing factors, QOL as a consequence based on the Braden's Self-Help Model.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direct and online surveys from 206 mothers in 8 locations, including welfare or daycare centers, developmental treatment centers, and The Parents' Coalition for the Disabled located in two provinces of Korea. Data were analysed using SPSS/WIN 23.0 and AMOS 21.0 program. Results: The fit indices of the predictive model satisfied recommended levels; 𝛘2 = 165.79 (p < .001), normed 𝛘2 (𝛘2/df) = 2.44, RMR = .04, RMSEA = .08, GFI = .90, AGFI = .85, NFI = .91, TLI = .93, CFI = .95. Among the variables, distress (β = - .46, p < .001), parenting efficacy (β = .22, p < .001), and self-help (β = .17, p = .018) had direct effects on QOL. Severity of illness (β = - .61, p = .010) and uncertainty (β = - .08, p = .014) showed indirect effects. The explanatory power of variables was 61.0%. Conclusion: The study results confirm the utility of Braden's Self-Help Model. They provide a theoretical basis for improving QOL in mothers of children with DB. Nursing intervention strategies that can relieve mothers' distress and uncertainty related to disease and enhance parenting efficacy and self-help behavior should be considered.

호주 재택 노인을 위한 주택수리 및 개조사례 연구 - 멜버른과 시드니를 중심으로 - (A Case Study on Reusing Maintenance and Alterations by the Elderly Residing Melbourne and Sydney in Australia)

  • 이영심;이상해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3권1호
    • /
    • pp.44-52
    • /
    • 2002
  • As a result of the expansion of the nuclear family in society,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elderly people who want to live independently of their children. Australia is one of the countries which has initiated an extensive welfare program for its senior citizens. These services include maintenance of, and alterations to their own homes to make living conditions safer and more manageable. This case study was aimed at finding ways of adapting the services provided in Australia, to meet the needs of elderly Koreans who are in similar situations. It evaluated houses which had been renovated and altered fur the normal as well as the disabled elderly in both Melbourne and Sydney. results of research were as following : 1) Most elderly usually wished to remain as long as possible in their own home and it made them very stable in psychologically. 2) Housing maintenance and alterations were provided as one of social care services fur elderly with low expense and loan from government. 3) Many elderly were also getting various kinds of social services, fur example, meals on wheels, transportation and cleaning service with housing alterations and these ones let their quality of life more improved. 4) Occupational therapist and Architect were always involved in the process of housing alterations for disabled elderly. 5) The alterations which related to bathroom, toilet and steps were very popular and those were considered essential design guide applications for planning of housing for elderly in the future.

상지 운동 기능 장애인의 착.탈의 자립성 연구 (A Study on Donning and Doffing Independence of the Person with Disabilities on Upper-limbs)

  • 신새미;천종숙
    • 복식문화연구
    • /
    • 제19권1호
    • /
    • pp.42-53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donning and doffing independence of the disabled individual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who had kinetic disabilities on upper-limbs. 31 women and 38 children were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y were classified with six groups according to their upper-limbs' kinetic ability levels. Three upper-limbs' kinetic abilities were adopted: Lifting arms up to the chest, twisting shoulder to throw arms toward the back, and buttoning clothes by oneself. The independency of donning and doffing of 14 upper-body garment styles were evaluated by subjects. The donning and doffing independency of 14 garment styles was significantly differentiated by the level of kinetic abilities and garment styles. The person who able to button clothes by oneself could don and doff clothes by oneself. The results also revealed that the independency of donning and doffing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cerebral palsy and apoplexy groups. The persons having a stroke of apoplexy were more likely to be able to dress independently than the persons with cerebral palsy. The persons with a paralysed arm were more likely able to wear ready-to-wear clothes of various styles. The donning and doffing independency was also significantly differentiated by the styles of garments. The tight fit style garments were more difficult to be dressed independently than the loose fit style garments. The jacket and shirts, which were buttoned from neck to bottom, were more difficult to be dressed independently than T-shirts.

안전취약계층을 위한 재난정보 및 대피지원 모델 실증 (Demonstration of Disaster Information and Evacuation Support Model for the Safety Vulnerable Groups)

  • 손민호;권일룡;정태호;이한준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7권3호
    • /
    • pp.465-486
    • /
    • 2021
  • 연구목적: 대부분의 재난정보 시스템은 비장애인 중심이므로 재난대처능력이 상대적으로 취약한 장애인·노인·어린이 등 안전취약계층을 고려한 재난정보 전달 체계는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장애인과 노인의 안전취약특성을 고려하여 재난정보 전달 및 대피지원 서비스를 구축하는데 IoT 기반의 통합관제 기술을 활용하는 서비스 제공을 통해서 정보화의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장애인·노인의 재난 대응을 위한 맞춤형 재난정보 서비스를 구축하여 안전취약계층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핵심이 되는 모델은 재난경보 전파 모델과 대피지원 모델이며, 장애인과 노인의 재난 상황 발생 시 행동특성을 반영하여 개발하였다. 재난정보 전파 모델은 IoT 기술을 이용하여 수집된 재난상황을 전파하며, 대피지원 모델은 지구자기장 기반의 측위기술을 활용하여 사용자의 실내위치를 파악하고 실내 대피경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경로안내 등 안전취약계층의 행동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서비스 제공을 통해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게 된다. 연구결과: 시범모델 실증은 실제 사용자를 대상으로 개발된 서비스를 사용해보도록하여 사용자 입장에서 대피경로 안내의 적합성, 서비스의 만족도 등 실내위치 정확도에 대한 효율성 등 정성적인 평가를 도출하였다. 결론: 모델 실증을 위하여 모바일 앱 안전취약계층을 위한 재난정보와 대피지원 서비스를 구축하였다. 재난상황을 화재상황으로 한정하여 장애우와 관련 분야 전문가를 통해 실증하였다. 재난정보전달과 대피지원의 적절성에서 "만족" 평가를 받았으며 시범모델의 특성상 기능 만족도와 사용자 UI는 "보통"으로 평가되었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 제시된 재난정보 및 대피지원 서비스는 안전취약계층에게 재난대피 골드타임을 놓치지 않고 보다 신속한 재난대피를 지원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아동용 참여평가도구 한글판 Life Habits Assessment(LIFE-H 1.0)의 타당도 연구 (A Study on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Assessment of Life Habits (LIFE-H 1.0) in Children)

  • 우예신;이예진;김연주;강재원;박혜연
    • 재활치료과학
    • /
    • 제6권2호
    • /
    • pp.59-70
    • /
    • 2017
  • 목적: 아동 발달의 핵심적인 요소인 참여를 평가하고 참여의 특징을 이해하는 것은 아동의 치료목표를 설정하고 참여를 강화시키는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아동용 참여평가도구 한글판 LIFE-H 1.0의 타당도를 검증하여 국내 작업치료사들이 아동의 참여를 체계적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장애 및 비장애 아동 총 47명을 대상으로 2016년 2월부터 4월까지 약 2개월간 진행되었다. 아동의 부모를 대상으로 0-4세와 5-13세 아동에 따라 문항이 다른 한글판 Life Habits Assessment(LIFE-H 1.0)를 자가 보고식 설문으로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통계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판별타당도를 검증하였다. 결과: 일반적 특성에 관한 동질성 검증에서는 두 집단 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0-4세 및 5-13세로 나누어 장애 유무에 따른 두 집단 간 점수를 비교한 결과, LIFE-H 1.0 수행도 및 만족도의 총점에서 유의미한 차이(P<.05)가 발생하여 높은 판별타당도가 검증되었다. 결론: 한글판 LIFE-H 1.0은 장애 유무에 따른 참여의 차이를 분명하게 판별할 수 있는 참여평가도구다. 아동작업치료의 궁극적 목표는 신체 기능이나 능력 향상을 넘어 일상생활 및 사회에의 참여를 증진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작업치료사는 아동의 참여 수준을 정확히 평가하고 치료목표를 설정하여야 한다. 본 연구를 통해 높은 수준의 타당도가 검증된 만큼 작업치료 임상 현장과 연구에서 한글판 LIFE-H 1.0 평가도구가 널리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그룹감각통합치료가 학령전기 지적장애 아동의 소근육 기능, 상호작용 및 놀이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nsory Integration Group Therapy on Fine Motor, Social Interaction and Playfulness of Preschool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최지현;김희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25-34
    • /
    • 2018
  • 목적 : 본 연구는 학령전기 지적장애아동에게 제공한 그룹감각통합치료가 소근육 기능, 상호작용 및 놀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지적장애 등록을 한 만3~5세 아동 4명을 대상으로 주 1회 90분씩, 총 12회기 실시하였다. 그룹감각통합치료는 평행놀이와 또래놀이 중심의 대근육 활동과 주제에 맞는 미술활동과 감각놀이로 구성하였다. 결과측정은 Erhardt Developmental Prehension Assessment(EDPA)와 또래놀이 상호작용 평점척도(Penn Interactive Peer Play Scale; PIPPS), 놀이다움(The Test of Playfulness; ToP)를 사용하여 대상자의 사전사후 소근육 기능과 상호작용, 놀이를 평가하였다. 측정 결과는 윌콕슨 순위 검정(Wilcoxon matched-pair signed rank test)을 사용하여 소근육 기능과 상호작용, 놀이의 중재 전후로 차이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그룹감각통합치료 후, 소근육 기능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상호작용과 놀이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결론 : 그룹감각통합치료는 상호작용과 놀이능력 향상에 유용한 치료적 접근방법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지속적인 그룹 활동을 통하여 일상생활에서의 다양한 상황에 대한 일반화가 진행되길 기대한다.

발달장애 어머니 대상의 <포토툰 수업> 사례연구 (Photo Comics Courses targeting Mothers of Developmentally Disabled Children: A Case Study)

  • 권경민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50호
    • /
    • pp.131-151
    • /
    • 2018
  • 만화는 그 고유의 특성으로 질적 연구자들에게 다양한 시각적 담론을 제공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국내 질적 연구 분야에서 만화의 활용에 대한 논의는 부족한 실정이다. 만화 기반의 질적 연구에서 어떠한 종류의 만화자료가 활용될 것인지는 연구를 진행하는 데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질적 연구를 위한 만화의 유형은 크게 세 가지로 기존 만화자료, 연구자 생성만화, 참여자 생성만화로 구분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장애아동 어머니 대상의 참여자 생성만화의 한 종류로서 <포토툰> 제작을 실시하여 장애인 문화예술교육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소외된 장애아동 어머니 대상의 수업 활성화 방안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장애아동 어머니 대상의 문화예술교육은 삶을 좌우할 수 있는 중요한 활동임에도 불구하고 아직 교수법 및 프로그램의 다양성에서 한계를 보이고 있다. 또한, 장애아동과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보면 주로 개인의 심리적 변화에 초점을 맞추거나 현상학적 수준에서 부모의 삶을 살펴보는 것이 대부분으로 장애아동 어머니들의 삶의 과정에서 아동의 문제행동을 바르게 이해하고 대처하는데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은 미흡한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만화 콘텐츠는 장애아동 어머니 대상의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적절한 교구로서 충분한 기능과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는 장애아동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10주간 만화교육을 실시하여 만화의 기초적인 요소들을 습득하고 최종적으로 본인의 자녀들의 사진을 활용하여 포토툰을 제작하였다. 프로그램에 참여한 장애아동 어머니들이 본인의 자녀를 소재로 한 포토툰 제작 과정을 통해 만화의 효용성을 경험하며, 스스로 인식하고 표현해 봄으로써 실질적인 도움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효과 및 가능성에 대해 연구해 보았다.

가정.방문물리치료 및 학교물리치료의 필요성 및 유형실태에 대한 조사연구 (A Survey of Needs and Types of Home Physical Therapy, Visiting Physical Therapy and School Physical Therapy)

  • 권혜정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1-46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urvey was to give data and information about type and needs of Home Physical Therapy, Visiting Physical Therapy and School Physical Therapy for physical and nurse. The subjects were 154(99 physical therapists and 55 nurses) who were working at geriatric rehabilitation hospitals and children hospitals. The period of questionary collection was from the 15 of August to the 15th of September 2011. And data was analysis from 99 articles such as journals related to physical therapy, and searched with keyword 'home and visiting physical therapy' by web site and Korea National Assembly Library from 1991 to 2011. The data was analysis with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and ANOVA by SPSS PC 12.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definition of 'Home Physical Therapy' has been community based on physical therapy service for the patient who had diagnosis by medical doctor, has been based on medical law. The definition of 'Visiting Physical Therapy' has been community based on physical therapy service at home for the patient who had diagnosis by medical doctor, for the national basic living security, and senior citizen over 65 years who lives alone, has been based on law for community health and law of long term health insurance. The definition of 'School Physical Therapy' has been school based on physical therapy service at school after class for the disabled children who are studying at school, has been based on special education law article 28. 2. As for the knowledge of the Home and Visiting and School Physical Therapy, both groups PT and nurse were 'I do not know'125(81.3%) of the difference the concept of 3 definitions, so it means to need education and information about the different concept of three physical therapy. As for the needs of home and visiting physical therapy, both groups of PT and Nurse were 'needs' 151(98.1%). Physical therapist showed of 'Needs' on visiting physical therapy 35(35.4%), home physical therapy 32(32.3%), and schole physical therapy 32(32.3%). Nurse showed of 'Needs' on home physical therapy 23(41.8%). visiting physical therapy 19(34.5%), school physical therapy 13(23.6%).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have home and visiting physical therapy as for the elderly and disabled person. 3. As for the qualification of Home and Visiting physical therapist, both PT and nurse groups showed as follows; take post graduation education program for home and visiting therapy after became PT : home physical therapist 108(70.1%), visiting physical therapist 106(68.8%). So it means education center or university can be developed post graduation program for home and visiting physical therapist. 4. As for the 'Needs' of school physical therapy, both groups of PT and nurse showed as follows; 'Needs' 142(92.2%), 'Needs superviser education program' 148(96.1%), in PT group showed 'I will participate of education program' 92(92.9%). 5. As for the present states of research papers or report of home, visiting, and school physical therapy was as follows; the 103 papers for 8 fields about' the needs of home and visiting physical therapy' from 1991 to 2011, the 13 papers for 2 fields about school physical therapy from 2001 to 2011, so total papers were 114 articles.

  • PDF

사회복지법의 규범체계와 과제 (System and Prospects of Social Welfare Law)

  • 전광석
    • 법제연구
    • /
    • 제41호
    • /
    • pp.7-42
    • /
    • 2011
  • 사회복지법은 학문적 실천적으로 많이 논의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이해방법과 범주, 그리고 체계적 특성이 아직 모호한 상태에 있다. 사회복지법은 아동, 노인, 장애인 등 연령, 그리고 신체 정신 및 심리적 특성을 갖는 집단 그 자체를 규율대상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 국민과 비교되는 이들의 특성을 종합적으로, 그리고 체계적으로 이해하는 시도를 하였다. 아동과 장애인 및 노인은 모두 스스로, 혹은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자기결정능력이 제한되어 있다. 이러한 특성이 기존의 다른 사회보장법의 기능구조 속에서는 적합하게 보호될 수 없다. 이 점을 분석하여 사회복지법의 체계적 독자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사회복지법의 개념을 정의하는 시도를 한다. 이어 자기결정권에 기초한 인격 및 자유의 실현, 보편성과 평등의 문제를 기본이념으로 제시한다. 자기결정권을 실현하기 위하여 필요한 규범체계를 재정렬하는 과제와 사회복지에 특유한 문제로서 입법평가가 갖는 중요성을 지적한다. 사회복지법은 여러 매체를 거쳐서 비로소 입법목적이 실현되기 때문에 규범과 규범의 긴장관계, 규범의 현실과의 상호관계 등에 대한 평가를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개별 사회복지법의 구체적인 문제를 제기하고 이에 대한 구체적인 발전방향을 제시하는 것은 이 글의 목적이 아니다. 이러한 방대한 작업을 위해서는 지면에 제한이 있기도 하고, 또 이는 필자의 총론에 이어지는 개별 사회복지법을 서술하는 집필진의 과제에 맡겨져야 할 것이다.

농어촌 취약계층의 사회서비스 수요탐색과 정책함의 (Exploring Social Service Demand and Policy Implications of the Vulnerable in Rural Areas)

  • 김윤영;이석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2호
    • /
    • pp.332-345
    • /
    • 2020
  • 본 연구는 코로나19 사태 속에서 더욱 열악한 환경에 노출된 농어촌 취약계층에 초점을 두고 사회서비스 영역의 수요를 탐색하고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8년 농어업인 등에 대한 복지실태조사' 원자료를 활용하여 가구유형별 취약계층의 사회서비스 욕구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농어촌 전체, 노인, 장애인, 1인, 노인 1인, 저소득 가구 등이 1순위 사회서비스는 '소득지원서비스'로 나타났고, 아동 가구는 '보육 및 교육 관련 서비스'로 나타났다. 2순위 사회서비스는 전체는 '문화여가향유지원서비스', 노인, 장애인, 노인 1인, 저소득 가구 등은 '보건의료 건강관리 서비스', 아동가구는 '문화여가향유지원서비스', 1인가구는 '일상생활지원서비스'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농어촌 취약계층 맞춤형 사회서비스 지원 방안을 제안하였다. 또한 농어촌 보건복지 기본계획 등 정부의 도농간 복지 격차 완화 정책의 문제점을 공식부처 간의 협의체계 부재로 보고 농어촌 중장기 정책의 환류기능과 전담조직의 필요성을 논하고 '농어촌 지역맞춤형 사회서비스 제공여건 구축(안)'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