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rection finding antenna

검색결과 67건 처리시간 0.028초

이동위성 관제용 위성 위치 탐지 알고리즘의 통계적 성능 분석 (The Statistical Performance Analysis of Satellite Tracking Algorithm for Mobile TT&C)

  • 이윤수;이병섭;정원찬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1352-1358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차세대 이동위성 관제 시스템에서 위성 방향을 탐지하는 알고리즘으로 제안된 MUSIC(Multiple Source Classification) 알고리즘의 통계적 특성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이동위성 관제 시스템에서 MUSIC 알고리즘을 위성 방향 탐지 알고리즘으로 채택할 경우, 이동 위성 관제 시스템 성능이 MUSIC의 위성 방향 탐지 성능에 종속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여러 가지 데이터 길이와 신호대 잡음비에 따른 MUSIC 알고리즘에 사용되는 파라미터의 통계적 특성을 조사하고 이러한 파라미터가 궁극적으로 위성 방향 탐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Rotman 렌즈의 위상 오차 최소화를 위한 빔 곡선 최적화 (Beam Curve Optimization for Minimizing the Phase Errors of Rotman Lens)

  • 박주래;박동철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5권8호
    • /
    • pp.864-871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Rotman 렌즈의 위상 오차를 최소화하는 빔 곡선을 구하는 최적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이 방법은 빔 포트로부터 배열안테나의 중심점과 배열안테나를 따라 대칭 또는 비대칭으로 놓인 두 개의 점으로 구성된 동위상점들을 통과하여 대응되는 동위상면까지의 3개의 경로길이는 동일하다는 개념에 근거를 두고 있다. 이 방법을 따르면, 각각의 빔 방향에 대하여 위상 오차를 최소화하는 배열안테나 상의 동위상점 집합을 찾으면 최적의 빔 포트 위치를 직접 구할 수 있다. 시뮬레이션 결과는 제안된 방법이 저 위상 오차를 갖는 Rotman 렌즈의 빔 곡선을 구하는 가장 최적이며 효과적인 방법임을 보여준다.

직접 변환을 이용한 고속 상관형 벡터 방향탐지기 (The Fast Correlative Vector Direction Finder Conversion)

  • 박철순;김대영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3권12호
    • /
    • pp.16-23
    • /
    • 2006
  • 본 논문은 msec.이하의 짧은 펄스형 신호를 탐지하기 위해 RF 하향변환기에서 직접 변환 방식을 수행하고, 방위 추정에 CVDF (Correlation Vector Direction Finding) 기법을 사용하는 고속 방향탐지기의 개발에 관한 것이다. 선정된 5-채널 등간격 원형 배열구조에서 방향탐지기의 구성 및 특징을 간단히 기술하고 고속 신호수신을 위해 직접 변환을 아날로그 I/Q 복조기에 적용하여 동조시간을 제거하는 기술을 설명한다. 또한 상기 모델에 대한 CRLB(Cramer-Rao Lower Bound)를 유도하고, 2종의 상관형 백터 방향탐지 기법인 LSE 기반 및 상관계수형 알고리즘의 원리를 기술하고 SNR, 샘플수, 이격거리비 변화에 따른 성능을 비교하여 그 특징을 살펴본다. 직접 변환 기법을 사용한 RF 하향변환기 프로토타입을 제작하고, 2종의 상관형 백터 방향탐지 기법을 적용하여 그 성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모호성 발생에 대한 내성은 상관계수형 알고리즘이 양호한 반면, 나머지 조건에서 LSE 기반 알고리즘이 우수한 것으로 조사되었고, 이 결과는 시뮬레이션 결과와 일치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신호탐지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최적 배열형상을 고려한 16소자 배열안테나 설계 (Configuration of a 16-Element Array Antenna Design to Improve Signal Detection Performances)

  • 장도영;류성준;왕진천;이준용;추호성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30권6호
    • /
    • pp.438-444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간섭 신호원의 방향을 정확히 탐지 및 식별하기 위해 상호결합특성을 고려한 16소자 배열안테나의 배열 형상 및 개별소자 구조에 대해 연구하였다. 제안된 배열 안테나는 상호결합특성, 능동소자패턴의 편차, 반전력빔폭을 고려하여 개별소자의 접지면간 이격거리를 도출하였다. 개별소자는 마이크로스트립 패치안테나로 구성되며, 광대역 특성 및 안테나의 소형화를 위해 접지면과 연결된 방사체 및 L 모양의 간접 급전 급전부로 구성된다. 제안된 안테나를 사용한 신호탐지 성능 평가 결과 제시된 시나리오 범위 내에서 낮은 RMS(root mean square) error의 성능을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DOA estimation and interpolation beamformering with semicircular array

  • Wang, Yisu;Zhou, Weiwei;Wang, Lidong;Koh, Jin-Hwan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6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 /
    • pp.249-250
    • /
    • 2006
  • Nowadays adaptive technique allows arrays of any geometry to be used with fast direction-of-arrival (DOA) estimators designed for linear arrays. So the interpolation of data from a given antenna array onto the output of a virtual array is needed before the direction finding technique is applied to the outputs of a uniform linear virtual array (ULVA). In this paper some superresoluntion methods are used to estimate DOA by best-fit transformation matrix T under different nonuniformly spaced array.

  • PDF

가상 확장된 배열 안테나를 이용한 근접 입사신호의 분해능 향상 기법 (Enhanced Resolution of Spatially Close Incoherent Sources using Virtually Expanded Arrays)

  • 김영수;강흥용;김창주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6권3호
    • /
    • pp.181-187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임의 배열 안테나에 입사하는 협대역 인코히런트 신호의 도래각(DOA)을 추정하기 위한 분해능 향상 방안을 제시한다. 도래각 추정 알고리즘의 분해능은 배열 안테나의 크기에 의존하므로 배열 안테나의 크기를 증가시키면 분해능을 향상시킬 수 있지만, 실환경 하에서 배열 안테나의 물리적인 크기를 증가시키는 것은 실용적이지 못하다. 따라서 원 배열 안테나의 소자 간격을 가상적으로 확장시켜 크기가 서로 다른 가상 확장 배열 안테나들을 구성하고 이들의 공간 스펙트럼을 평균함으로서 분해능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제안한다. 등간격 원형 배열 안테나에 입사된 인코히런트 신호에 표준 MUSIC 알고리즘과 제안 방식을 적용하여 제안 방식이 우수한 분해능 성능을 나타냄을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보였다.

  • PDF

Signal Processing Algorithm to Reduce RW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with Tail Rotor Blade of Helicopter

  • Im, Hyo-Bin;Go, Eun-Kyoung;Jeong, Un-Seob;Lyu, Si-Chan
    • International Journal of Aeronautical and Space Sciences
    • /
    • 제10권2호
    • /
    • pp.117-124
    • /
    • 2009
  • In the environment where various and complicated threat signals exist, RWR (Radar Warning Receiver), which can warn pilot of the existence of threats, has long been a necessary electronic warfare (EW) system to improve survivability of aircraft. The angle of arrival (AOA) information, the most reliable sorting parameter in the RWR, is measured by means of four-quadrant amplitude comparison direction finding (DF) technique. Each of four antennas (usually spiral antenna) of DF unit covers one of four quadrant zones, with 90 degrees apart with nearby antenna.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antenna installed in helicopter, RWR is subject to signal loss and interference by helicopter body and structures including tail bumper, rotor blade, and so on, causing a difficulty of detecting hostile emitters. In this paper, the performance degradation caused by signal interference by tail rotor blades has been estimated by measuring amplitude video signals into which RWR converts RF signals in case a part of antenna is screened by real tail rotor blade in anechoic chamber. The results show that corruption of pulse amplitude (PA) is main cause of DF error. We have proposed two algorithms for resolving the interference by tail rotor blades as below: First, expand the AOA group range for pulse grouping at the first signal analysis phase. Second, merge each of pulse trains with the other, that signal parameter except PRI and AOA is similar, after the first signal analysis phase. The presented method makes it possible to use RWR by reducing interference caused by blade screening in case antenna is screened by tail rotor blades.

5G 이동통신용 간이 방향탐지시스템 구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simple Portable Directional Finding System for 5G Mobile Communication)

  • 노조원;조응영;김진태;이성화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25-30
    • /
    • 2020
  • 본 연구는 무선환경에서 가입자 및 무선통신 이용자들에게 양질의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해 주기 위한 연구로서, 장애가 발생한 무선국을 조기에 처리하여 통화의 품질을 확보하는 방안에 대한 것이다. 본 연구의 목표는 5G이동통신에서 발생하는 혼신 및 불법무선국을 조기에 탐지 및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이동통신 환경에 적합하며 휴대가 가능한 방향탐지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는 것이다. 휴대용 방향탐지 시스템의 기본 구성을 설계하였으며, 제작 및 실험을 통하여 통하여 장애가 발생한 무선국을 빠른 시간에 찾아내어 유지보수를 진행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화강암 석산 지역에서의 레이다 탐사의 적용 (Application of Radar Survey to a Granite Quarry Mine)

  • 설순지;김정호;조성준;이명종;정승환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4권1호
    • /
    • pp.8-18
    • /
    • 2001
  • 파쇄대와 같은 불균질대의 분포 및 위치를 영상화하고 암석의 신선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화강암 석산 지역에서 시추공을 이용한 레이다 반사법 및 토모그래피 탐사와 지표 탐사인 GPR탐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레이다 반사법 탐사에서 나타난 반사면의 공간적 방향성을 알기 위해서 방향탐지 안테나도 적용시켰다. 모든 시추공 레이다 탐사에는 20MHz를 주주파수로 갖는 안테나를, GPR탐사에는 100MHz를 사용하였다. 시추공 반사법, 방향탐지 안테나 및 GPR탐사 영상들은 서로 잘 일치하는 탐사 결과를 보여주었으며, 탐사지역내의 주요 파쇄대의 3차원적인 위치 및 주향 방향을 알려주었다. 일부 구간의 토모그래피 초동 시각 곡선에서는 화강암 지역에서는 일반적으로 나타나기 어려운 이방성을 보였는데 이러한 이방성은 텔레뷰어 자료와 비교하여 본 결과 동일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는 미세 균열과 연관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이 지역은 시추공 레이다, 토모그래피, GPR 영상들 및 이방성의 분포로부터 MF2및 MF5로 명명된 두개의 주 파쇄대에 둘러싸인 지역이 비교적 신선한 암석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2차원 멀티베이스라인 방향탐지 배열 구조 설계 (The Design of Array Geometry in 2-D Multiple Baseline Direction Finding)

  • 박철순;김대영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1권10A호
    • /
    • pp.988-995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방위각과 고각을 동시에 탐지하는 2차원 멀티베이스라인 센서 배열 설계에서 DOA(Direction Of Arrival) 정확도를 유지하면서 센서 안테나수를 최소화하기 위해 위상차 공간에서 유클리드 최소 거리함수를 이용한 논하모닉 배열 구조 설계 메소드를 제안한다. 제안된 메소드는 기존 메소드와 달리 최소 이격 거리비가 반파장 이상인 경우에도 적용 가능할뿐더러 임의 배열구조에서도 적용이 가능한 장점을 갖는다. 다중신호 입사조건에서 초분해능 알고리즘을 적용한 모의 실험을 통해 설계 접근성의 효율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제안된 메소드를 적용하여 2차원 비대칭 배열 안테나를 설계하였고, 제작된 배열 안테나를 이용한 실험 결과를 통해 그 성능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