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rect extraction

검색결과 340건 처리시간 0.028초

Solid Phase Extraction of Phospholipids from Brazil Nut (Bertholletia excelsa) and Their Characterization by Mass Spectrometry Analysis

  • Lima, Bruna R. De;Silva, Felipe M.A. Da;Koolen, Hector H.F.;Almeida, Richardson A. De;Souza, Afonso D.L. De
    • Mass Spectrometry Letters
    • /
    • 제5권4호
    • /
    • pp.115-119
    • /
    • 2014
  • The Brazil nut (Bertholletia excelsa - Lecythidaceae) is considered a product with high economic value, being a food widely appreciated for its nutritional qualities. Although previous studies have reported the biochemical composition of Brazil nut oil, the knowledge regarding the phospholipid composition exhibits a disagreement: the composition of fatty acids present in the structures of phospholipids is reported as being different from the composition of the free fatty acids present in the oil. In this work, solid phase extraction (SPE) was employed to provide a fast extraction of the phospholipids from Brazil nuts, in order to compare the phospholipid profile of the in nature nuts and their fatty acids precursor present in the oil. The major phospholipids were characterized by mass spectrometry approach. Their fragmentation pattern through direct infusion electrospray ionization ion-trap tandem mass spectrometry ($ESI-IT-MS^2$) proved to be useful to unequivocal characterization of these substances. High resolution (HR) experiments through ESI using a quadruple time of flight mass spectrometry (QTOF) system were performed to reinforce the identifications.

Post-processing of Direct Teaching Trajectory in Industrial Robots

  • Choi, Tae-Yong;Park, Chan-Hun;Do, Hyun-Min;Chung, Kwang-Cho;Park, Dong-Il;Kyung, Jin-Ho
    • International Journal of Fuzzy Logic and Intelligent Systems
    • /
    • 제12권3호
    • /
    • pp.256-262
    • /
    • 2012
  • Direct teaching of the industrial robot is a novel technique to easily teach manipulators. However, teaching data by human hand cannot help having large noise errors ranging from low to high frequency. To use teaching data, post-processing to correct the teaching trajectory is required. Here, a novel shape-based trajectory correction method to rebuild teaching data with the feature information of curvature and velocity is proposed. The proposed method is tested on square and circular objects.

직접 볼륨 렌더링을 위한 CNN 기반 TF 색상 매핑 (TF color mapping for direct volume rendering with CNN)

  • 김석연;장윤
    • 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논문지
    • /
    • 제27권5호
    • /
    • pp.25-32
    • /
    • 2021
  • 직접 볼륨 렌더링은 볼륨 표면의 연산 없이 2차원 공간에 투영하여 렌더링 한다. 직접 볼륨 렌더링에서 전이함수(TF)는 볼륨에 색상과 투명도와 같은 광원 특성을 할당하는데 활용된다. 하지만 초보자가 TF를 조작하여 볼륨데이터를 파악하고 색상을 할당하기까지 오랜 시간이 필요합니다. 본 논문에서는 직관적인 볼륨 렌더링을 위해 인터넷에서 수집한 이미지를 사용하여 TF에 볼륨의 색상을 매핑하는 접근 방식을 제안한다. 또한 우리는 K-means 클러스터링을 활용한 색상 추출 방법을 토의한다.

발치 직후 매식 임프란트의 골침착과 변연골 상실에 대한 연구 (A STUDY OF BONE APPOSITION AND MARGINAL ALVEOLAR BONE LOSS AROUND IMMEDIATE IMPLANSTS)

  • 전철오;방몽숙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65-180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bone apposition and marginal bone loss and to check the possibility of success on titanium implant, HA coated implant and the implant with natural coral that were place immediately after teeth extraction in dogs. Experimental subjects were divided into 4 groups ; the 1st group is the titanium implant, second the HA coated implant, third the implant with natural coral, and the last the control group that was prepared in the extraction sockets. After 12 weeks, the dogs were sacrificed for visual observation and microscopic examination approaching histologic and histomorphometric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Neither the infection nor the exposure of implant was found at the sites of all implant. 2. In a histomorphometric analysis, mean percentage of direct bone contact with the titanium implant was 80.7% and the HA coated implant showed 81.5% apposition, but the implant with natural coral showed 64.9% apposition(P<0.05). 3. In a microscopic examination, mature lamellated bone was found around the immediate implants and control group, while unabsorbed natural coral around the immediate implants with natural coral was found. 4. All immediate implant groups showed the loss of marginal bone in order from implant with natural coral, titanium implant, and HA coated implant. 5. Implant with natural coral that was placed by the type I interface of the Barzilay's classification immediately after teeth extraction showed low percentage of direct bone contact area, low success rate and a lot of marginal bone loss. Above results suggested that the immediate implants are osseointegrated successfully, although slightly marginal bone was loss.

  • PDF

Gas Chromatography-Electron Capture Detector를 이용한 산분해간장중의 3-Monochloro-1, 2-propanediol 분석법에 관한 연구 (Determination of 3-Monochloro-1, 2-propanediol in Acid Hydrolyzed Soysauce(Ganjang) by Gas-Chromatography with Electron Capture Detector)

  • 최종동;문귀임;오현숙;김동술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61-65
    • /
    • 2001
  • Electron capture deteotor가 장착된 gas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간장에서 3-monochloro-1, 2-propanediol(MCPD)의 효율적인 분석조건을 조사하였다. MCPD를 직접 분석하는 것 보다 MCPD를 phenylboric acid로 유도체화하여 분석하는 경우가 sharp한 peak를 얻을 수 있었으며, 감도도 우수하였다. 유도체화 방법을 실온에서 5분간 vortex혹은 9$0^{\circ}C$에서 20분 반응시켜 분석한 결과, R값이 각각 0.9997과 0.9977로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MCPD의 추출방법은 Extrelut 3 column을 사용하는 것이 ethyl acetate로 직접 추출하는 것보다 회수율이 월등히 높았으며, MCPD의 농노가 높을수록 회수율이 낮게 나타났다. 하지만 MCPD를 정성적으로 분석하고자 할 경우 ethyl acetate로 직접 추출하는 방법도 유효한 것으로 나타났다. 간장에 MCPD를 spiking 하고 gas chromatography-electron capture detector 및 gas chromatography-mass selective detector로 분석한 결과 sharp한 모양의 peak를 얻을 수 있었으며, mass spectrum으로 MCPD를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해조류로부터 Arbitrary 및 ITS Primer들을 사용한 직접 PCR 유전자 증폭반응의 한계 (Limits of Direct PCR Amplification from Seaweeds Using Arbitrary and ITS Primers)

  • 김용국;진형주;박선미;진덕희;홍용기
    • 생명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5-21
    • /
    • 1999
  • PCR 기법을 응용한 RAPD 방법은 대상 생물의 유전정보를 전혀 모르는 상태에도 arbitrary primer를 이용하여 증폭함으로써 생물 종간의 유전적 표식자를 확인할 수 있는 간편하고 유익한 유전분석 방법이다. 이같은 RAPD 방법을 이용하여 해조류 방사무늬 김, 미역, 구멍갈파래에 대하여 DNA를 추출하지 않고 직접 생 엽체 및 생 사상체, 생 배우체를 PCR template로 사용하여 PCR product를 생산하였다. 그러나 specific primer를 이용한 nulear r DNA의 internal trancribed spacer (ITS) 부위는 생성물을 만들지 못하였다. 간편한 LiCl 방법에 의하여 추출된 DNA를 사용하였을 때는 IST 및 RAPD 모두 PCR product를 생산하였다. 방사무늬 김의 엽체 (haploid)와 사상체 (dip-loid)로 부터의 ITS 생성물은 동일하였으나 RAPD 생성물은 사용한 arbitrary primer에 따라 36-50$\%$의 다른 band가 만들어졌다. 또한 직접 생 조직을 사용하였을때와 추출 DNA를 사용하였을 때도 53-57$\%$의 다른 band가 만들어 줬다. 그러므로 RAPD 방법으로 유전분석 실험에는 동일한 ploidy의 조직을 template로서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 PDF

담양군 죽초액의 휘발성성분 분석 (Volatile organic compounds of pyroligneous liquor of bamboo sprout produced in damyang-gun)

  • 이은실;장혜진;이송진;하재호
    • 분석과학
    • /
    • 제26권5호
    • /
    • pp.299-306
    • /
    • 2013
  • 죽초액은 대나무 숯 제조시 발생하는 강한 산성을 가진 부산물로 80-90%의 수분과 200 종 이상의 유기화합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토양 질 개선, 식물 생육 조절, 아토피 피부염 개선 및 항균효과 등 피부관련 질환에 널리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담양군에서 제조한 죽초액 휘발성성분을 direct analysis (DA)법, head space solid phase microextraction (HS-SPME)법, stir bar sorptive extraction (SBSE)법을 이용하여 GC/MS로 분리하고 동정하였다. 위 세 가지 방법을 이용하여 103 종의 화합물을 검출하였으며, HS-SPME와 SBSE방법에서 페놀류 화합물의 선택적 분석이 가능하였다. 죽초액의 주요한 화합물은 유효한 생리활성 물질로 알려진 cresol, guaiacol, p-ethyl guaiacol, syringol이 분석되었다.

DNA 추출없이 전혈을 이용한 PCR-전기영동법에 의한소의 타일레리아병 진단 (Diagnosis of Bovine Theileriosis by Direct PCR and Electrophoresis from Whole Blood Without DNA Extraction)

  • 강성호;장상민;채준석;김용성
    • 대한화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27-132
    • /
    • 2003
  • 소의 타일레리아병 진단을 위해 DNA 추출과정 없이 전혈에서 바로 중합효소연쇄반응(PCR)을 통하여 T. buffeli(buffeli/orientalis/sergenti)의 16S rRNA 유전자 단편을 증폭시킨 뒤, 증폭된 DNA를 전기영동법으로 분석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특이유전자 단편의 증폭을 위해 formamide를 사용하여 혈액세포를 용해시켰으며, 단백질의 응고를 줄이기 위해 낮은 반응온도를 사용하는 FoLT(Formamide Low Temp.) PCR법을 이용하였다. 전혈 100-200 nL를 바로 PCR 증폭에 사용하였으며, PCR 산물(816-bp DNA)은 전기영동법으로 분석하였다. 본 결과는 T. buffeli에 감염된 소의 혈액으로부터 정제된 DNA를 사용하여 얻은 실험결과와 잘 일치하였다.

생의학 분야 학술 문헌에서의 이벤트 추출을 위한 심층 학습 모델 구조 비교 분석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Deep Learning Topology for Event Extraction from Biomedical Literature)

  • 김선우;유석종;이민호;최성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77-97
    • /
    • 2017
  • 최근 생의학 분야의 학술 문헌이 기하급수적으로 급증함에 따라 관련 분야 연구자들은 선행 연구 및 연구 동향 파악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효율적인 선행 연구 및 연구 동향 파악을 위한 정보 추출 기술이 요구되며, 학술 문헌의 정보 추출을 위한 개체인식 및 개체 간의 생의학 이벤트 추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에 심층 학습(Deep Learning)의 기법 중 하나인 컨볼루션 네트워크(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CNN) 모델을 기반으로 이벤트 내의 개체 유형 정보의 적용 위치와 함께, 이벤트 식별 및 분류를 고려하여 총 8가지의 모델을 구성하여 실험하였다. 실험 결과,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모델 중 최고성능을 보인 개체 유형 완전연결 모델이 이벤트 분류 실험에서 F-점수 72.09%의 높은 성능을 보였으나, 이벤트 추출 실험에서는 학습 컬렉션의 불균형 문제 및 이벤트 식별 모델의 성능 저조 등으로 인하여 F-점수 21.81%의 비교적 저조한 성능을 보였다.

Microwave Assisted Extraction, Optimization using Central Composite Design, Quantitative Estimation of Arjunic Acid and Arjunolic Acid using HPTLC and Evaluation of Radical Scavenging Potential of Stem Bark of Terminalia arjuna

  • Khatkar, Sarita;Nanda, Arun;Ansari, S.H.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23권2호
    • /
    • pp.75-83
    • /
    • 2017
  • The optimization and microwave assisted extraction of stem bark of Terminalia arjuna, quantitative estimation of the marker compounds arjunic acid and arjunolic acid using HPTLC and the evaluation of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has been performed in this study. The central composite design was used for optimization and the values of parameters for optimized batch of microwave assisted extraction were 1000 W (Power), 3 minutes (Time) and 1/120 (Solid/solvent ratio). The solvent system to carry out the HPTLC was toluene: acetic acid: ethyl acetate (5: 5: 0.5) and quantitative estimation was done using standard equations obtained from the marker compounds. The in-vitro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performed spectrophotometrically using ascorbic acid as standard. The value of estimated percentage yield of arjunic acid and arjunolic acid was 1.42% and 1.52% which upon experimentation was obtained as 1.38% and 1.51% respectively. The DPPH assay of the different batches of microwave assisted extraction and marker compounds taken suggested that the marker compounds arjunic acid and the arjunolic acid were responsible for the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s the batch having the maximum percentage yield of the marker compounds showed best free radical scavenging effect as compared to standard ascorbic acid. The $IC_{50}$ value of the optimized batch was found to be 24.72 while that of the standard ascorbic acid was 29.83. Hence, the yield of arjunic acid and arjunolic acid has direct correlation with the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stem bark extract of Terminalia arjuna and have potential to serve as active lead compounds for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