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methyl sulfate

검색결과 58건 처리시간 0.025초

각막 간질 대체물로 콘드로이틴 설페이트가 결합된 콜라젠 스폰지의 생체 적합성 평가 (The Evaluation of Biocompatigbility of Collagen/Chondroitin Sulfate Sponge as a Scaffold for Corneal Stromal Layer)

  • 장인근;안재일;서영권;김재찬;송계용;박정극
    • KSBB Journal
    • /
    • 제21권6호
    • /
    • pp.439-443
    • /
    • 2006
  • 조직공학에서 생체재료의 생체적합성과 조직재생능력은 생체재료가 생체에 적합한지를 판단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콜라젠은 인체조직을 이루는 주된 단백질이고, GAGs은 조직의 미세환경을 결정짓는 주요한 요소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1형 콜라젠 스폰지를 탈수 열처리 (A군)하고 EDC로 가교결합한 것 (B군)과 CS를 첨가하여 EDC로 가교결합한 군 (C군)의 스폰지 형태의 콜라젠 지지체을 제조하였다. 제작된 콜라젠 스폰지를 3 mm의 디스크 형태로 토끼 각막의 실질부위에 주머니형태로 이식하였다. 8주 동안 각막의 신생혈관 생성, 혼탁, 지지체의 투명도 정도를 확인하고, 2주, 4주, 8주 후에 적출하여 염증과 각막 섬유모세포의 이동을 확인하였다. 모든 군에서 염증, 신생혈관 생성, 혼탁은 일어나지 않았다. 그러나 CS가 첨가된 콜라젠 스폰지에 섬유모세포의 이동이 많았고, 이식물의 투명도가 증가하였다. 1형 콜라젠 스폰지는 각막 간질에의 생체적합성이 뛰어나 각막 간질로의 대체 가능성이 크고, CS가 첨가된 1형 콜라젠 스폰지는 조직공학적 생인공각막의 재구성에 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세 개의 히드록실기를 가진 양이온 계면활성제 합성 및 계면 특성에 관한 연구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Interfacial Properties of a Cationic Surfactant Having Three Hydroxyl Groups)

  • 이병민;김지현;김승수;임종주
    • 공업화학
    • /
    • 제23권5호
    • /
    • pp.433-439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도데실 글리시딜 에테르와 아미노에탄올을 반응시킨 후 디메틸 설페이트로 4급화시켜 분자 내에 2개의 라우릴기, 3개의 히드록실기를 가진 양이온 계면활성제 BHMAS (N,N-bis-(3'-n-dodecyloxy-2'-hydroxypropyl)-N-methyl-2-hydroxyethylammonium methyl sulfate)를 합성하였고, 생성물의 분자구조는 $^{1}H-NMR$, FT-IR 등의 기기분석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합성한 계면활성제의 CMC (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는 $9.12\;{\times}\;10^{-4}$ mol/L이며, CMC에서의 표면장력은 28.71 mN/m이었다. Maximum bubble pressure tensiometer를 사용하여 동적 표면장력을 측정한 결과, 공기와 수용액의 계면이 계면활성제 단분자에 의하여 포화되는 데 비교적 오랜 시간이 소요되었다. 1 wt% 계면활성제 수용액과 n-decane 사이의 계면장력은 0.045 mN/m이며, 평형에 도달하는 데 약 5 min의 시간이 소요되었다. 합성된 계면활성제의 흡착 특성이 매우 우수하였으며, 합성한 양이온 계면활성제가 섬유표면에 효과적으로 흡착되어 유연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된장에서 분리된 유산균의 결합력에 의한 Heterocyclic Amines 제거 (Heterocyclic Amines Removal by Binding Ability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Soybean Paste)

  • 임성미
    • 미생물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73-83
    • /
    • 2014
  • 단백질이 풍부한 식품을 고온 하에서 조리하는 과정 중에 주로 발생되는 돌연변이원 heterocyclic amines (HCAs)에 대한 유산균의 결합력 및 제거능을 조사하였다. 당 발효능 및 16S rR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동정된 19종의 유산균 중 Lactobacillus acidophilus D11, Enterococcus faecium D12, Pediococcus acidilactici D19, L. acidophilus D38, Lactobacillus sakei D44, Enterococcus faecalis D66 및 Lactobacillus plantarum D70의 세포이나 배양 상등액은 3-amino-1,4-dimethyl-5H-pyrido[4,3-b]indole (Trp-P-1)과 3-amino-1-methyl-5Hpyrido[4,3-b] indole (Trp-P-2)에 의한 Salmonella typhimurium TA98 및 TA100의 돌연변이 유발을 억제할 수 있었다. HCAs에 대한 유산균 세포의 결합력은 cell wall, exopolysaccharide 및 peptidoglycan 보다 높게 나타났다. 한편, 이들의 결합력은 단백질 분해효소, 가열, sodium metaperiodate 및 산 처리에 의해 유의하게 감소되었으므로 세포벽에 존재하는 당이나 단백질 성분이 이들 HCAs을 결합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E. faecium D12, L. acidophilus D38 및 E. faecalis D66의 결합력은 SDS나 금속이온에 의해 감소되었으므로 이들세포와 돌연변이원 사이에는 이온 결합이나 소수성 결합이 작용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한편, HCAs 결합력이 높은 L. acidophilus D38과 L. plantarum D70은 장관 상피세포에 대한 부착력이 낮으므로 돌연변이원을 세포에 결합시켜 체외로 배출함으로써 독성물질을 제거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항암제 다제내성(MDR) 암세포의 Hsp90 저해제 BIIB021에 대한 감수성의 차이 및 NSAIDs 및 Niclosamide에 의한 Hsp90 저해제의 활성 변화 (Differential Sensitivities of Human Multidrug-resistant Cancer Cells to BIIB021 and Modulation of Hsp90 Inhibitors by NSAIDs and Niclosamide)

  • 문현정;이수훈;김선희;강치덕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10호
    • /
    • pp.1212-1219
    • /
    • 2018
  • 열 충격 단백질인 heat shock protein 90 (Hsp90)은 종양 형성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1세대 및 2세대 Hsp90저해제들이 개발되어, 다양한 암에서의 항암 효과가 보고되어 있다. 2세대 Hsp90저해제로 개발된 BIIB021는 1세대 Hsp90저해제인 17-allylamino-17-demethoxygeldanamycin (17-AAG)에 내성을 나타내는 항암제 다제내성(MDR) 암세포에 감수성을 가진다고 알려져 있지만, 본 연구에서 BIIB021에 내성인 MDR세포로서, MCF7-MDR 및 HeyA8-MDR세포가 해당됨을 밝혔다. BIIB021 감수성을 증강시키는 물질로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약물(NSAID)인 dimethyl-celecoxib (DMC)의 BIIB021의 효과 증강 활성을 BIIB021-내성 및 -감수성 MDR 세포에서 확인하였다. MDR세포에 NSAID와 BIIB021의 병합 처리한 경우, NSAID의 자가분해(autophagy) 유도 활성에 의해 MDR세포에서 과잉 발현하는 변이형 mutant p53 (mutp53)을 분해할 뿐만 아니라 BIIB021 처리로 유도되는 Hsp70 발현을 억제하므로써, 암세포의 BIIB021 내성을 극복할 수 있는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NSAID 물질인 sulindac sulfate 및 FDA 승인 약물인 niclosamide 도 자가분해 유도 활성으로 Hsp90의 타켓 단백질 인 mutp53 및 c-Myc의 분해를 유도하므로서, 17-AAG 효과를 증강시켰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BIIB021에 대한 효과 증강 및 내성 극복 물질로서, NSAIDs 및 niclosamide를 발굴하였으며, 이들 물질의 자가분해 경로 활성화에 의하여, BIIB021 효과를 극대화 시킴을 밝혔다.

I형 콜라겐지지체의 다양한 가교처리 방법이 연골막성 연골재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Various Methods of Cross-linking in Type I Collagen Scaffold on Cartilage Regeneration)

  • 손대구;임중재;손경희;양은경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3권6호
    • /
    • pp.723-731
    • /
    • 2006
  • Purpose: Collagen is the principal structural biomolecule in cartilage extracellular matrix, which makes it a logical target for cartilage engineering. In this study, porous type I collagen scaffolds were cross-linked using dehydrothermal(DHT) treatment and/or 1-ethyl-3-(3-dimethyl aminopropyl) carbodiimide(EDC), in the presence and absence of chondroitin-6-sulfate(CS) for cartilage regeneration. Methods: Cartilage defects were created in the proximal part of the ear of New Zealand rabbits. Four types of scaffolds(n=4) were inserted. The types included DHT cross-linked(Group 1), DHT and EDC cross- linked(Group 2), CS added DHT cross-linked(Group 3), and CS added DHT and EDC cross-linked(Group 4). Histomorphometric analysis and cartilage-specific gene expression of the reconstructed tissues were evaluated respectively 4, 8, and 12 weeks after implantation. Results: The largest quantity of regenerated cartilage was found in DHT cross-linked groups 1 and 3 in the 8th week and then decreased in the 12th week, while calcification increased. Calcification was observed from the 8th week and the area increased in the 12th week. Group 4 was treated with EDC cross-linking and CS, and the matrix did not degrade in the 12th week. Cartilage-specific type II collagen mRNA expression increased with time in all groups. Conclusion: CS did not increase chondrogenesis in all groups. EDC cross-linking may prevent chondrocyte infiltration from the perichondrium into the collagen scaffold.

In Vivo $^{13}C$-NMR Spectroscopic Study of Polyhydroxyalkanoic Acid Degradation Kinetics in Bacteria

  • Oh, Jung-Sook;Choi, Mun-Hwan;Yoon, Sung-Chul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5권6호
    • /
    • pp.1330-1336
    • /
    • 2005
  • Polyhydroxyalkanoic acid (PHA) inclusion bodies were analyzed in situ by $^{13}C$-nuclear magnetic resonance ($^{13}C$-NMR) spectroscopy. The PHA inclusion bodies studied were composed of poly(3-hydroxybutyrate) or poly(3hydroxybutyrate-co-4-hydroxybutyrate), which was accumulated in Hydrogenophaga pseudoflava, and medium-chain-length PHA (MCL-PHA), which was accumulated in Pseudomonas fluorescens BM07 from octanoic acid or 11-phenoxyundecanoic acid (11-POU). The quantification of the $^{13}C$-NMR signals was conducted against a standard compound, sodium 2,2-dimethyl-2-silapentane-5-sulfonate (DSS). The chemical shift values for the in vivo NMR spectral peaks agreed well with those for the corresponding purified PHA polymers. The intracellular degradation of the PHA inclusions by intracellular PHA depolymerase(s) was monitored by in vivo NMR spectroscopy and analyzed in terms of first-order reaction kinetics. The H. pseudoflava cells were washed for the degradation experiment, transferred to a degradation medium without a carbon source, but containing 1.0 g/l ammonium sulfate, and cultivated at $35^{\circ}C$ for 72 h. The in vivo NMR spectra were obtained at $70^{\circ}C$ for the short-chain-length PHA cells whereas the spectra for the aliphatic and aromatic MCL-PHA cells were obtained at $50^{\circ}C\;and\;80^{\circ}C$, respectively. For the H. pseudoflava cells, the in vivo NMR kinetics analysis of the PHA degradation resulted in a first-order degradation rate constant of 0.075/h ($r^{2}$=0.94) for the initial 24 h of degradation, which was close to the 0.050/h determined when using a gas chromatographic analysis of chloroform extracts of sulfuric acid/methanol reaction mixtures of dried whole cells. Accordingly, it is suggested that in vivo $^{13}C$-NMR spectroscopy is an important tool for studying intracellular PHA degradation in terms of kinetics.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 Nam, Suk-Woo;Seo, Dong-Wan;Sung, Dae-Seok;Han, Jeung-Whan;Hong, Sung-Youl;Lee, Hyang-Woo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1권2호
    • /
    • pp.128-134
    • /
    • 1998
  • Nitric oxide synthase, NOS (EC.1.14.13.39), was purified from bovine pancreas over 5,500-fold with a 7.6% yield using 30% ammonium sulfate precipitation, and $2^1$,$5^1$-ADP-agarose and calmodulin-agarose affinity chromatography. The purified bovine pancreatic NOS (bpNOS) showed a single band on SDS-PAGE corresponding to an apparent molecular mass of 160 kDa, whereas it was 320 kDa on non-denaturating gel-filtration. This indicated a homodimeric nature of the enzyme. The specific activity of the purified bpNOS was 31.67 nmol L-citrulline fored/mtn/mg protein and an apparent $K\textrm{m}$ for L-arginine was 15.72 $\mu\textrm{M}$, The enzyme activity was dependent on $Ca^{2+}$ and calmodulin, and to a lesser extent on NADPH, FAD and FMN. $H_4B$ was not required as a cofactor for the activity. In an inhibition experiment with L-arginine analogues, $N^G$-nitro-L-arginine (NNA) had the most potent inhibitory effect on bpNOS, and $N^{G}$, $N^{G1}$-dimethyl-L-arginine (symmetric; sDMA) did not have any inhibitory effect.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of the bovine pancreas using brain type NOS antibody (anti-bNOS antibody) revealed that acinar cells showed strong immunoreactivity against the antibody.

  • PDF

BDD 전극을 이용한 OH 라디칼 생성과 염료 분해에 미치는 운전인자의 영향 (Effects of Operating Parameters on Electrochemical Degradation of Rhodamine B and Formation of OH Radical Using BDD Electrode)

  • 박영식;김동석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9권9호
    • /
    • pp.1143-1152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gradation of Rhodamine B (RhB, dye) and N, N-Dimethyl-4-nitrosoaniline (RNO, indicator of the electro-generation of OH radical) in solution using boron doped diamond (BDD) electrode. The effects of applied current (0.2~1.0 A), electrolyte type (NaCl, KCl, and $Na_2SO_4$) and electrolyte concentration (0.5~3.0 g/L), solution pH (3~11) and air flow rate (0~4 L/min) were evaluated.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RhB and RNO removal tendencies appeared with the almost similar thing, except of current. Optimum current for RhB degradation was 0.6 A, however, RNO degradations was increased with increase of applied current. The RhB and RNO degradation of Cl type electrolyte were higher than that of the sulfate type. The RhB and RNO degradation were increased with increase of NaCl concentration and optimum NaCl dosage was 2.5 g/L. The RhB and RNO concentrations were not influenced by pH under pH 7. Optimum air flow rate for the oxidants generation and RhB and RNO degradation were 2 L/min. Initial removal rate of electrolysis process was expressed Langmuir - Hinshelwood equation, which is used to express the initial removal rate of UV/$TiO_$2 process.

구리 도금 평탄제의 imine 작용기 4차화에 의한 도금 두께 불균일도 제어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ickness uniformity of copper electrodeposits controlled by the degree of quaternization of imine functional group)

  • 조유근;김성민;진상훈;이운영;이민형
    • 한국표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표면공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77-77
    • /
    • 2018
  • Panel level packaging (PLP) 공정은 차세대 반도체 패키징 기술로써 wafer level packaging 대비 net die 면적이 넓어 생산 단가 절감에 유리하다. PLP 공정에 적용되는 구리 재배선 층 (RDL, redistribution layer)은 두께 불균일도에 의해 전기 저항의 유동이 민감하게 변화하기 때문에 RDL의 두께를 균일하게 형성하는 것은 신뢰성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구리 RDL은 주로 도금 공정을 통해 형성되며, 균일한 도금막 형성을 위해 도금조에 평탄제를 첨가하여 도금 속도를 균일하게 한다. 도금막에 대한 흡착은 주로 평탄제의 imine 작용기에 포함된 질소 원자가 관여하며, imine 작용기의 4차화에 의한 평탄제의 흡착 정도를 제어하여 평탄제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금 평탄제에 포함된 imine 작용기의 질소 원자를 4차화하여 구리 RDL의 도금 두께 불균일도를 제어하고자 하였다. 유기첨가제와 4차화 반응을 위해 알킬화제로써 dimethyl sulfate의 비율을 조절하여 각각 0, 50, 100 %로 4차화 반응을 진행하였다. 평탄제의 4차화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 분석을 실시하였다. 도금은 20 ~ 200 um의 다양한 배선 폭을 갖는 구리 RDL 미세패턴에서 진행하였으며, 4차화 평탄제를 첨가하여 광학 현미경과 공초점 레이저 현미경을 통해 도금막 표면과 두께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GPC 분석을 통해 4차화 반응 후 알킬화제에 의해 나타나는 GPC peak이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광학 현미경 및 공초점 레이저 현미경 분석 결과, 4차화된 질소 원자가 존재하지 않는 평탄제의 경우, 도금 시 도금막의 두께가 불균일하였으며 단면 분석 시 dome 형태가 관찰되었다. 또한 100 % 4차화를 실시한 평탄제를 첨가하여 도금 한 경우 마찬가지로 두께가 불균일한 dish 형태의 도금막이 형성되었다. 반면, 50 % 4차화를 적용한 평탄제를 첨가한 경우, 도금막 단면의 형태는 평평한 모습을 보였으며 매우 양호한 균일도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로 인해 imine 작용기를 포함한 평탄제의 4차화 반응을 통해 구리 RDL의 단면 형상 및 불균일도가 제어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4차화된 imine 작용기의 비율을 조절하여 높은 균일도를 갖는 구리 RDL 도금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분광학적 방법에 의한 계면활성제의 확인 (Qualitative Identification of Surfactants by Spectroscopic Method)

  • 안종일;조종희;박신자;김종길;전지혜;이정복;박홍수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06-315
    • /
    • 2001
  • Our study is aimed at proposal of systematic verification method of molecular structure using measuring method of selective ionic determination and spectrometry on 34 kinds of surfactants such as sodium dodecyl sulfate(SDS) which are most widely used today. In the IR spectrum, unsaturated fatty acids reveal themselves by HC= at $3000{\sim}3020cm^{-1}$, and intensity of $720cm^{-1}$ depends on carbon length of alkyl group. Also ethylene oxide(EO) adducts exhibit weak characteristic bands by $-CH_{2}-CH_{2}-O$ at 1350, 1100 and $950cm^{-1}$. Isethionate can be distinguished from diester succinate by intensity ratio of 1740 and $1200cm^{-1}$ spectrums, the ratio of latter is close to 1 due to 2 carboxylate radical in diester succinate. Quaternary ammonium salts exhibit characteristic band of $C_{4}N^{+}$ at $1000-900㎝^{-1}$. In the case of dialkyl dimethyl ammonium salts in quaternary ammonium surfactants, the spectrum of $3000cm^{-1}$ by $N-CH_{3}$ collapses to a very weak band at $3020cm^{-1}$. In ammonium heterocyclic derivatives, pyridinium salts show characteristic bands at 1640 and $1460cm^{-1}$, while imidazolinium salts exhibit characteristic band at $1620-1610cm^{-1}$. In the characteristic spectrum at $1080-1050cm^{-1}$ on OH radicals of the alkyl esters, primary alcohol appears as weak band and the 2 bands show in almost same intensity when primary and secondary alcohols exist together in one molecule. Also, alkyl ester of polyhydric alcohols appears as various broad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