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mension of Interaction

검색결과 262건 처리시간 0.035초

별인적반자적미도불일양(别人的盘子的味道不一样): 문화대인제령수복무평개적영향(文化对人际零售服务评价的影响) (It Doesn't Taste the same from Someone Else's Plate: The Influence of Culture in Interpersonal Retail Service Evaluations)

  • Spielmann, Nathalie;Kim, Ju-Ran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20권2호
    • /
    • pp.164-172
    • /
    • 2010
  • 该研究通过测试餐厅零售设置回顾了文化对人际服务的影响. 为更好的理解他们对人际服务的期望我们研究了两种文化(加拿大和法国). 利用Hofstede的(1991)的文化维度之间的不同的解释加拿大和法国餐厅顾客的不同, 该研究证明一个潜在的有趣的研究领域: 跨文化的人际服务营销. 这表明文化维度并不独立运行,但三者互为依托. 这可以帮助零售商更好理解解释复杂的服务之间的相互作用. 在这个探索性研究,经探索性因子分析,研制出了一个包含生理和服务方面普遍运用人际服务的人格特质. 这项措施是为了更好的理解进行两种文化(加拿大和法国)之间的服务的期望,. 两种文化中均有五维结构, 但是他们有不同的的特征和群组. 我们揭示了这些特征的不同. 利用Hofstede(1991)的文化维度解释了整体的加拿大人和法国人的人格结构本研究结果为当服务转移到不同的文化中他们的感知会不一样甚至导致服务失败的原因提供了一个可能的解释. 很显然, 在加拿大和法国消费者之间有一些文化差异和根据他们他们的消费经历的总体期望的不同. 回顾法国人和加拿大人人格结构的第一个因子表明在加拿大和法国文化中个人主义/集体主义很显然不同. 第二维度也有不少的特点是相同的, 五个, 所有这一切都有个人的待遇方面的经验告诉我们, 一个餐厅服务提供商将负责: 有礼貌, 尊重和奉献. 值得注重的是, 法国维度不包括真实性和好客方面的经验, 但包含更多所固有的人际互动的特性, 例如迷人, 彬彬有礼. 第三维度的加拿大和法国的结构反映了完全不同的期望. 法国维度的中心是能量和热情, 在加拿大的维度是更加平易近人的清爽. 在法国还有外向性维度, 而加拿大有内向性维度. 这可以用Hofstede (1991)所提出的不确定避免维度的不同来解释. 第四维度似乎可以证实概括的文化差异. 加拿大人, 在不确定性规避和权力距离上较低, 更喜欢亲密和私人经验, 法国人继续期待外向性和包容的特征. 第五维度是在法国的人格结构中有清晰的表达, 在高权利距离社会中, 餐厅所扮演的角色的经验有明确的规定和规则. 这项研究表明不同的文化确实涉及到不同方面的人际关系的服务. 这在法国人和加拿大人的人格结构维度中很明显, 不仅是他们是多么不同,他们都还可从文化维度去解释. 对于人际服务, 性格特征的使用很有趣, 因为它可以解释实体和服务特征. 另外, 这个社会所固有的人际服务包含了服务人格结构的大部分维度. 社会交流是非常重要的, 尤其在跨文化的情况下. 该研究表明, 通过使用Hofstede(1991的)范式, 并不是所有的社会都有相同的期望与人际关系的服务. 另外, 传统的类型的服务也可以影响国与国之间的不同服务评价和文化. 然而, 用人格特质可能也允许零售商, 看看哪个服务特点是常见的在两种或两种以上文化的地方. 结果表明, 集体主义和个人主义的重要性, 人与人之间的服务的维度. 这种加拿大人和法国人人格结构的差异在最主要的维度上是显而易见的. 结果在解释零售商能如何转移然后测量跨文化人际服务方面有帮助.

복부수술 환자간호의 질평가 도구 개발 (Development of an evaluation tool for the quality of nursing care in abdominal surgery patients)

  • 이병숙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07-127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evaluation tool for the quality of nursing care in abdominal surgery patient. The target subjects of the tool were adult patients having abdominal surgery under general anesthesia. Process-outcome framework was selected for the development of the tool in this stud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Nine standards. 40 criteria and 88 indicators were developed. A standard was summary statement of the ideal level of excellencein a dimension of quality of nursing care. which could be evaluated by criteria. Several criteria indicated a specific standard and each criterion could be measured by observable and measurable indicators. 2. The standards were divided into two dimensions. One was process dimension which contained four standards(23 criteria), the other was outcome dimension which contatined five standards(17 criteria). 3. Average CVI was .985 at 9 standards. .947 at 40 criteria. and .987 at 88 indicators. 4. The evaluation tool for the quality of nursing care in abdminal surgery patients was a criterion-referenced tool. And data collection methods of the tool were investigation of patient's record and interview( or questionnaire) with the patients. 5. Interrater reliabilities of the tool were ; r= .7572 (agreement between two raters), and pI=.8487 (intraclass correlation between five raters who rated the 84 patients). 6.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alpha}$ was .6194, which was obtained from 32 criteria. Eight criteria were missed in the analyzing process because of data omission. 7. Scores of the process and the outcome dimensions showed significant. but low correlation(r= .3759, p < .001). 8.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otal scores between the hospitals and the departments of surgery(F = 15.233. p .0001). There was also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hospitals and departments to total score(F = 8.396. p = .0001). Construct validity of the toool was verified by the known-group method. these kinds of difference were expected by the nursing experts participated in the study. From these results, more specific patient classification is suggested for the development of evaluation tool of the quallity of nursing care. And indicators to be used for objective measurement for the quality of nursing care must be developed.

  • PDF

유기색소분자와 고분자전해질 사이의 상호작용 효과에 관한 구조론적 연구 (II). Methylene Blue 및 Acridine Orange의 Chondroitin Sulfate와의 상호작용 (Structural Studies upon the Interactive Effects between Organic Dyestuffs and Polyelectrolytes (Ⅱ). The Interaction of Methylene Blue and Acridine Orange with Chondroitin Sulfate)

  • 박종회;박무순;이홍
    • 대한화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295-300
    • /
    • 1987
  • 고분자전해질인 Chondroitin sulfate A(CSA) 및 Chondroitin sulfate C(CSC) 존재하에서의 methylene blue(MB) 및 acridine orange(AO)의 metachromasy 현상에 관하여 각각 분광학적 방법으로 연구하였다. P/D값의 변화에 따르는 meta-band의 특성적 변화를 stacking 이론에 의하여 설명하였으며, staking 효과의 정량적 고찰에 의하여 고분자의 반복단위당 결합하는 색소분자의 수를 계산한 결과 MB가 AO보다 강한 stacking 효과를 나타냄이 발견되었다. CAS의 안정한 형태의 골격구조와 dimension을 발견하고 평면 방향색소의 free dimer의 모형을 근거로 CSA의 골격표면에 결합한 색소분자의 stacking모형과 dimension을 제안하였다.

  • PDF

3차원 공간에서 손가락 제스쳐 인터랙션을 이용한 간접제어의 사용성에 관한 실험연구 (An Experimental Research on the Usability of Indirect Control using Finger Gesture Interaction in Three Dimensional Space)

  • 함경선;이다혜;홍희정;박성재;김진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519-532
    • /
    • 2014
  • 자연스러운 컴퓨터 인터랙션(Natural computer interaction)을 위 신기술의 출현은 기업에게 제품 혁신이라는 새로운 기회를 안겨다 줄 수 있다. 본 연구는 인간이 갖는 소통의 방식 중에서 손가락 제스처 인터랙션에 관심을 갖는다. 그간 십 수 년간 걸친 기술 발전에 힘입어 상용화 수준의 기술이 마련됨에 따라 이를 활용한 제품이나 서비스가 곧 대중화 될 것이라는 생각이 현재는 지배적이다. 이 시점에서 저자는 이 제스처 인터랙션이 과연 쓸 만 할까라는 생각을 가지고 손가락 제스처 인터랙션이 사용자들에게 끼치는 인지적인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험연구를 진행한다. 손가락 제스처를 찍기, 집기, 잡기로 정의하고 각각 2차원과 3차원 공간에서 사용할 때 사용자들이 느끼는 사용성을 측정하여 제스처의 효과를 보여주고자 한다. 립모션 기술을 사용하여 2차원, 3차원 실험 도구를 개발하였고 48명의 피실험자를 통해 결과적으로는 2차원에서는 제스처간 사용성의 차이가 없으나 3차원에서는 그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모든 제스처가 3차원보다는 2차원에서 사용성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3차원에서는 여러 손가락 보다는 하나의 손가락을 사용하는 것이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나 흥미를 끈다.

사회경제적 양극화와 도시 내 계층별 거주지 분리 (Socio-economic Polarization and Intra-urban Residential Segregation by Class)

  • 정수열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16
    • /
    • 2015
  • 세계화와 산업구조조정으로 사회경제적 양극화가 진행됨에 따라 계층 간 거주지 분리가 심화될 것으로 여겨진다. 본 연구는 한국사회에서 1990년대 말 경제위기로 사회경제적 양극화가 급진전했음을 주목하고 이가 도시 내 거주지 분리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서울시를 사례로 2000년대를 걸쳐 일어난 계층별 거주지 분리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계층은 교육수준으로 정의되었으며 자료는 동별로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터서비스시스템(MDSS)을 통해 추출하였다. 거주지 분리의 주요 지리적 양태별로 개별 도시에서 시계열적 변화를 가늠하는 전역적 측도와 도시 내 공간적 변이를 보여주는 국지적 측도를 활용하였다. 구체적으로 집중-균등을 측정하기 위해 전역적 지표로 상이지수를 그리고 국지적 지표로 입지계수를 활용하였으며 군집-노출을 측정하기 위해 전역적 지표로는 상호작용지수와 노출지수를 국지적 지표로는 로컬 Moran's I를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사례지역에서 계층별 거주지 분화가 심화되었으며 도시내에서 뚜렷한 공간적 패턴을 보이고 있으며 계층 간 거주 패턴은 상호 연관되어 있음이 밝혀졌다. 본 연구는 국내 수위 도시에서 경제 위기 이후 거주지 분리의 최근 변화상을 보다 체계적인 방법으로 파악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 PDF

신체활동 수준이 암 생존자의 건강 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2014-2018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활용 연구 (Influence of Physical Activity Level on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Cancer Survivors: Based o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for 2014-2018)

  • 오진경;허익수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72-88
    • /
    • 2021
  •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ssociations between physical activities (PAs) and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and perceived health status (PHS) of cancer survivors. We further examined the interaction effects of PAs and covariates on HRQOL and PHS. Methods: Data sets were obtained from the 2014-2018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The subjects were 1,349 cancer survivors aged over 18 years old. Data were analyzed using R 4.0.3 and SPSS 18.0.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considering only the main terms, or including additional interaction terms between PAs and covariates. Results: Moderate and high PAs showed significantly improved HRQOL related to self-care domain, euro quality of life-5 dimension index, and PHS. Interaction analysis revealed that high PAs resulted in improved HRQOL associated with self-care and pain/discomfort in cancer survivors having depression. Moreover, for low- and middle-income levels, higher PAs served to improve HRQOL associated with depression/anxiety. In contrast, higher PAs rather reduced HRQOL for the high-income group. Conclusions: To improve HRQOL, we recommend PAs higher than the moderate level for cancer survivors. In case of cancer survivors having depression or belonging to the high-income group, it is necessary to manage individual PAs considering the interaction effects.

은행의 서비스품질이 고객만족과 관계지속의도 및 교차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Bank's Service Quality on Customer Satisfaction, Relationship Intention and Cross-Buying Intention)

  • 주영재;권혁기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95-107
    • /
    • 2017
  • 본 연구는 은행의 서비스품질을 결과품질, 물리적 환경품질, 상호작용품질로 구분하고 각 차원이 고객만족과 교차구매의도 및 관계지속의도에 미치는 구조모형을 제안하고 은행을 이용하는 고객들을 대상으로 실증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서비스품질의 상호작용품질, 결과품질, 물리적 환경품질의 3가지 차원이 은행의 고객만족을 형성하는 하나의 원천임이 확인하였다. 둘째, 은행을 이용하는 고객들이 지각하는 은행의 상호작용품질, 결과품질, 물리적 환경품질을 높게 지각할수록 고객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영향력이 크기는 상호작용품질, 물리적 환경품질, 결과품질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은행 서비스에 대한 고객만족은 관계지속의도 및 교차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이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사회적 자본과 조직신뢰, 추천의도 및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organization trust, recommendation intention, and turnover intention)

  • 한나영;권혁기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5권1호
    • /
    • pp.253-271
    • /
    • 2016
  • 본 연구는 사회적 자본이 조직신뢰에 미치는 영향, 둘째, 조직신뢰가 추천의도,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사회적 자본이 어떤 경로를 통해 추천의도,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통합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부산 소재 중소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공변량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하여 실증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첫째, 사회적 자본 중 관계적 차원이 조직신뢰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자본 중 관계적 차원이 조직신뢰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계적 차원은 구성원들 간의 관계형성을 의미하며 상하 간의 관계, 동료와의 관계, 부서 사이의 관계 등의 상호작용에 있어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둘째, 사회적 자본 중 인지적 차원은 조직신뢰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구조적 차원은 조직신뢰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조적 차원은 구성원들 간에 존재하는 사회적 연결망 혹은 유대관계에서 나타난 자본적 가치를 의미하며 조직에서 최적의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셋째, 조직신뢰는 추천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직신뢰는 이직의도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적 자본과 추천의도 및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서 조직신뢰가 일부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의 요약 및 시사점, 한계점 그리고 미래의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

영상크기에 따른 상호작용 콘텐츠의 사용자 영향 분석 (Uaser Impact Analysis of Interactive Contents Acoording to Image Size)

  • 최창기;송복희;윤한경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3권3호
    • /
    • pp.22-30
    • /
    • 2010
  • 컴퓨터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기술의 발달에 따라 TV와 컴퓨터는 융합되어 컴퓨터 모니터 화면이 TV로 대체가 예상이 된다. 진화된 TV는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기존의 컴퓨터로 가능하였던 모든 작업이 가능해 지는 것과 쌍방향 통신를 통한 상호작용의 증가는 당연한 귀결이며, 그에 따라 우리들의 라이프스타일도 변화가 예상된다. 대형화된 TV화면으로 인하여 가족 구성원이 모두 참여하여 즐길 수 있는 콘텐츠가 요구된다. 이는 정보의 접근권이 가족 구성원에게 용이하여야 함은 물론 주어진 사용 환경 내에서 원할한 상호작용이 가능하도록 사용자에게 제공되어야함을 의미한다. 본 실험의 목표는 영상크기가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콘텐츠에 대한 학습효과를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영상크기가 사용자의 경험하고 체험한 형태와 유사할 때 상호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성취도 측정 결과로 확인하였으며 사용자들의 학습효과를 통계적 방법에 의한 상관관계로 분석하였다.

  • PDF

반응성 애착장애아와 발달성 언어장애아의 의사소통 의도 비교 연구 (A COMPARISON STUDY ON THE COMMUNICATIVE INTENT OF CHILDREN WITH REACTIVE ATTACHMENT DISORDER AND DEVELOPMENTAL LANGUAGE DISORDER)

  • 이경숙;이호분;신정현;노경선;임연화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8권2호
    • /
    • pp.207-216
    • /
    • 1997
  • 본 연구는 반응성 애착장애(reactive attachment disorder:향후 RAD라 칭함)집단과 발달성 언어장애(developmental language disorder:향후 DLD라 칭함)집단을 대상으로 외관상 유사한 사회성 문제를 지니고 있으나, 타인과의 사회적 접촉의 시도라는 좀 더 근본적인 의사소통의 의도에서는 집단간에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기 위해 생활 연령과 언어 연령으로 두 집단을 짝지어 의사소통 의도의 빈도와 주로 사용하는 의사소통 의도의 유형 및 발달 단계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는 DLD아동의 의도 표현 방법이 RAD아동보다 세련되고 정교화 되었음을 보여 주었으며, DLD아동이 RAD아동보다 의사소통하려는 의도를 더 많이 가지고 있음을 나타냈다. 그리고 두집단이 사용하는 의사소통 의도의 내용을 살펴보았더니, DLD아동은 사회적 상호작용>공유적 주의>행동 통제의 순으로, RAD아동은 행동 통제>사회적 상호작용>공유적 주의의 순으로 의사소통하려는 의도를 나타냄으로써, 주로 사용하는 의도의 내용 범주간에도 두 집단간에 차이를 보였다. 또한, 사용한 의사소통 의도의 다양성 비교에서도 총 12가지의 의사소통 의도에서 DLD아동이 RAD아동보다 더 다양한 수의 의사소통 의도를 나타냈다. 이들 결과를 종합해 볼 때, DLD아동보다는 RAD아동에게서 의사소통의도로 잰 사회적 결함의 심각성이 더 드러났음을 알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