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gital light processing

검색결과 197건 처리시간 0.025초

치과 진료실에서 3D 프린트의 활용 (Application of 3D printer in dental clinic)

  • 김현동
    • 대한심미치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82-96
    • /
    • 2018
  • 3D 프린팅은 삼차원 이미지 정보를 이용하여 레이어로 분할한 후 선택한 소재를 적층하여 가공하는 방법을 말한다. 소재를 적층하는 방법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3D 프린팅이 존재하는데 최근 치과분야에서는 SLA방식과 DLP방식으로 광원을 이용한 경화를 통해 적층 가공하는 3D 프린팅이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다. 전악 범위의 3D프린팅 치과용 모델은 전통적인 인상 채득으로 제작된 스톤모델보다는 다소 정확성이 부족한 것으로 보고되었으나, 같은 STL파일을 이용하여 4분악 범위를 3D 프린팅한 모델은 밀링 방법으로 가공한 모델보다 정확하였다. 디자인 소프트웨어의 활용도에 따라 보철치료의 진단, 임시 보철물의 제작, 의치의 제작이 가능하였다. 교정에서는 투명 교정 모델과 브라켓 간접 부착을 위한 트레이 제작이 가능하였다. 임플란트 수술에 있어서 CT를 기반으로 한 정확한 위치에 임플란트를 식립하는 가이드 제작에 활용하고 있다. 출력 방식의 발전으로 인하여 3D 프린터의 출력시간이 계속적으로 단축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치과 진료실 내에서 3D 프린터가 기존의 전통적인 가공 방법을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광경화성 레진의 성분 변화에 대한 소수성 표면 제작을 위한 공정 조건 (Process Conditions for the Fabrication of Hydrophobic Surfaces with Different Photo-curable Resins)

  • 홍성호;우흥식
    • Tribology and Lubricants
    • /
    • 제36권5호
    • /
    • pp.267-273
    • /
    • 2020
  • This study experimentally investigates hydrophobic surfaces fabricated via additive manufacturing. Additive manufacturing, commonly known as 3D printing, is the process of joining materials to fabricate parts from 3D model data, usually in a layer-upon-layer manner. Digital light processing is used to fabricate hydrophobic surfaces in this study. This method uses photo-curable resins and ultraviolet (UV) sources. Moreover, this technique generally has faster shaping speeds and is advantageous for the fabrication of small components because it enables the fabrication of one layer at a time. Two photo-curable resins with different compositions are used to fabricate micro-patterns of hydrophobic surfaces. The resins are composed of a photo-initiator, monomer, and oligomer. Experiments are conducted to determine suitable process conditions for the fabrication of hydrophobic surfaces depending on the type of resin. The most important factors affecting the process conditions are the UV exposure time and slice thickness. The fabrication capability according to the process conditions is evaluated using the side and top views of the micro-patterns observed using a microscope. The micro-patterns are collapsed and intertwined when the exposure time is short because sufficient light (heat) is not applied to cure the photo-curable resin with a given slice thickness. On the other hand, the micro-patterns are attached to each other when the exposure time is prolonged because the over-curing time can cure the periphery of a given shape. When the slice is thicker, the additional curing area is enlarged in each slice owing to the straightness of UV light, and the slice surface becomes rough.

디지털영상처리 기술을 이용한 교통신호등 자동 판별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Traffic Light Automatic Discrimination System Using Digital Image Processing Technology)

  • 김선동;백영현;문성룡
    • 전자공학회논문지CI
    • /
    • 제46권2호
    • /
    • pp.92-99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교통 신호등 영역 검출을 포함한 교통 신호등 외곽 부분과 신호등 색을 자동으로 판별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교통 신호등 자동 판별 시스템 구현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은 교통 신호등색을 정확하게 검출하기 위하여 교통 신호등색에 해당하는 파장 범위를 설정하고, 색상 성분을 분할하였다. 색상 성분을 통해 교통 신호등색(빨강 주황 녹색)을 검출하며 배경부분은 그레이 영상으로 변환한다. 다음으로 웨이브렛 변환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다양한 환경에서 신호등 영역을 검출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또한, 교통 신호등 인식 부분은 CBIR(Content-Based Image Retrieval)기반에서 캐니 에지 연산자와 허도로프 매칭 알고리즘의 특성을 적용한 인식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교통 신호등이 첨가되어 있는 조명, 배경 등이 다양한 영상을 대상으로 실험하며, 기존 알고리즘과 비교하여 제안 알고리즘의 성능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상용화 된 고속카메라와 후두내시경을 이용한 성대촬영 방법의 소개 (Commercially Available High-Speed Cameras Connected with a Laryngoscope for Capturing the Laryngeal Images)

  • 남도현;최홍식
    •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33-138
    • /
    • 2010
  • Background and Objectives : High-speed imaging can be useful in studies of linguistic and artistic singing styles, and laryngeal examination of patients with voice disorders, particularly in irregular vocal fold vibrations. In this study, we introduce new laryngeal imaging systems which are commercially available high speed cameras connected with a laryngoscope. Materials and Method : The laryngeal images were captured from three different types of cameras. First, the adapter was made to connect with laryngoscope and Casio EX-F1 to capture the images using $2{\times}150$ Watt Halogen light source (EndoSTROB) at speeds of 1,200 tps (frame per second)($336{\times}96$). Second, Phantom Miro ex4 was used to capture the digital laryngeal images using Xenon Nova light source 175 Watt (STORZ) at speeds of 1,920 fps ($512{\times}384$). Finally, laryngeal images were captured using MotionXtra N-4 with 250 Watt halogen lamp (Olympus CLH-250) light source at speeds of 2,000tps ($384{\times}400$) by connecting with laryngoscope. All images were transformed into the Kymograph using KIPS (Kay's image processing Software) of Kay Pentex Inc. Results: Casio EX-F1 was too small to adjust the focus and screen size was diminished once the images were captured despite of high resolution images. High quality of color images could be obtained with Phantom Miro ex4 whereas good black and white images from Motion Xtra N-4 Despite of some limitations of illumination problems, limited recording time capacity, and time consuming procedures in Phantom Miro ex4 and Motion Xtra N-4, those portable devices provided high resolution images. Conclusion : All those high speed cameras could capture the laryngeal images by connecting with laryngoscope. High resolution images were able to be captured at the fixed position under the good lightness. Accordingly, these techniques could be applicable to observe the vocal fold vibration properties in the clinical practice.

  • PDF

합성 불산화 이트륨 분말을 이용한 DLP 3D 프린팅용 광경화성 슬러리 제조 (Preparation of Photocurable Slurry for DLP 3D Printing Process using Synthesized Yttrium Oxyfluoride Powder)

  • 김은성;한규성;최정훈;김진호;김응수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31권9호
    • /
    • pp.532-538
    • /
    • 2021
  • In this study, a spray dryer is used to make granules of Y2O3 and YF3, and then Y5O4F7 is synthesized following heat treatment of them under Ar gas atmosphere at 600 ℃. Single and binary monomer mixtures are compared and analyzed to optimize photocurable monomer system for DLP 3D printing. The mixture of HEA and TMPTA at 8:2 ratio exhibits the highest photocuring properties and low viscosity with shear thinning behavior. The optimized photocurable monomer and synthesized Y5O4F7 are therefore mixed and applied to printing process at variable solid contents (60, 70, 80, & 85 wt.%) and light exposure times. Under optimal light exposure conditions (initial exposure time: 1.2 s, basic exposure time: 5 s), YOF composites at 60, 70 & 80 wt.% solid contents are successfully printed.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size of the printed samples compared to the dimensions of the designed bar type specimen, the deviation is found to increase as the YOF solid content increases. This shows that it is necessary to maximize the photocuring activity of the monomer system and to optimize the exposure time when printing using a high-solids ceramic slurry.

절삭 및 적층 가공법으로 제작된 3본 고정성 국소의치의 변연 및 내면 적합도에 관한 연구 (Marginal and internal discrepancy of 3-unit fixed dental prostheses fabricated by subtractive and additive manufacturing)

  • 최재원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8권1호
    • /
    • pp.7-13
    • /
    • 2020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절삭 가공법 및 적층 가공법에 의해 제작된 3본 고정성 국소의치의 변연 및 내면 적합도를 비교하는 것이다. 재료 및 방법: 상악 좌측 제2소구치가 상실된 3본 고정성 국소의치 지대치를 제작하고(주모형), 구강 스캐너를 이용해 주모형 스캔 데이터를 얻었다. 3본 고정성 보철물은 다음과 같은 3가지 방법으로 제작하였다: Milled 3-unit fixed dental prostheses (FDP) (MIL군), digital light processing (DLP) 3D printed 3-unit FDP (D3P군), stereolithography apparatus (SLA) 3D printed 3-unit FDP (S3P군). 보철물의 변연 및 내면 적합도와 내면 정밀도 평가하기 위해 각각 triple-scan protocol과 콤비네이션 수식을 사용하여 스캔 데이터를 중첩하였다. 3차원 분석 프로그램(Geomagic control X)을 사용하여 root mean square (RMS) 값과 color difference map 통해 정량 및 정성 분석 시행하였다. Kruskal-Wallis test (α = .05)와 Mann-Whitney U test 및 Bonferroni correction (α = .05/3 = .017)을 이용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결과: S3P군의 변연 적합도는 MIL군과 D3P군에 비해 우수하였으며, MIL군과 D3P군은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D3P군과 S3P군은 MIL군에 비해 상대적으로 우수한 내면 적합도를 보였으며, D3P군과 S3P군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한편, MIL군, S3P군, 그리고 D3P군 순으로 우수한 정밀도를 보였다. 결론: 본 연구의 한계 내에서 적층 가공법으로 제작된 3본 고정성 보철물은 절삭 가공법으로 제작된 3본 고정성 보철물에 비해 우수한 변연 및 내면 적합도를 보인 반면 정밀도는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작방법에 따른 임시 수복용 레진의 파절강도 및 굴곡강도에 관한 연구 (Comparison analysis of fracture load and flexural strength of provisional restorative resins fabricated by different methods)

  • 조원탁;최재원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7권3호
    • /
    • pp.225-231
    • /
    • 2019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적층 가공법, 절삭 가공법 및 직접법에 의해 제작된 임시 수복용 레진의 파절강도와 굴곡강도를 비교하는 것이다. 재료 및 방법: 각각 다른 방법들로 제작된 5가지 방법의 임시 수복용 레진을 조사하였다: Stereolithography apparatus (SLA) 3D 프린터를 이용한 적층 가공법(S3Z군), 두 가지 digital light processing (DLP) 3D 프린터를 이용한 적층 가공법(D3Z군, D3P군), 절삭 가공법(MIL군), 전통적인 방식의 직접법(CON군). 파절강도 시험은 각 방법을 이용하여 소구치 형태의 시편을 준비하였고, 굴곡강도 시험은 각 방법을 이용하여 직사각형의 바 형태의 시편 ($25{\times}2{\times}2mm$)을 준비하여 universal testing machine (UTM)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결과: 적층 가공을 이용해 제작된 S3Z군, D3Z군, D3P군의 파절강도는 MIL군 및 CON군의 파절강도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 > .05/10 = .005). 한편, S3Z군, D3P군, MIL군의 굴곡강도는 CON군의 굴곡강도보다 높았으나 (P < .05), D3Z군의 굴곡강도는 CON군보다 낮았다 (P < .05). 결론: 본 연구의 한계 내에서 적층 가공법으로 제작된 임시 수복용 레진은 절삭 가공법과 기존에 사용되었던 직접법에 의해 제작된 임시수복용 레진과 임상적으로 유사한 파절강도, 굴곡강도를 나타냈다.

Assessment of effect of accelerated aging on interim fixed dental materials using digital technologies

  • Omar, Alageel;Omar, Alsadon;Haitham, Almansour;Abdullah, Alshehri;Fares, Alhabbad;Majed, Alsarani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14권6호
    • /
    • pp.360-368
    • /
    • 2022
  • PURPOSE. This study assessed the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interim crown materials fabricated using various digital techniques after accelerated aging. MATERIALS AND METHODS. Three groups of interim dental restorative materials (N = 20) were tested. The first group (CO) was fabricated using a conventional manual method. The second group (ML) was prepared from prefabricated resin blocks for the milling method and cut into specimen sizes using a cutting disc. The third group (3D) was additively manufactured using a digital light-processing (DLP) 3D printer. Aging acceleration treatments using toothbrushing and thermocycling simulators were applied to half of the specimens corresponding to three years of usage in the oral environment (N = 10). Surface roughness (Ra), Vickers microhardness, 3-point bending, sorption, and solubility tests were performed. A 2-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and Fisher's multiple comparison test were used to compare the results among the groups. RESULTS. The mean surface roughness (Ra) of the resin after accelerated aging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CO and ML groups than that before aging, but not in the 3D group. All groups showed reduced hardness after accelerated aging. The flexural strength values were highest in the 3D group, followed by the ML and CO groups after accelerated aging. Accelerated aging significantly reduced water sorption in the ML group. CONCLUSION. According to the tested material and 3D printer type, both 3D-printed and milled interim restoration resins showed higher flexural strength and modulus, and lower surface roughness than those prepared by the conventional method after accelerated aging.

CC1020 Chip을 사용한 모바일 네트워크를 위한 디지털 데이터 통신 시스템 (Digital Data Communication System for Mobile Network System Using CC1020 Chip)

  • 임현진;조형국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58-62
    • /
    • 2007
  • 디지털 통신은 통신시스템의 구현과 모바일 화를 위해 필요하다. 모바일 화를 위한 무선 데이터 송신 그리고 수신은 이동 중 언제든지 그리고 어디 곳이든지 가능해야 한다. 모바일 통신 시스템은 소형화, 경량화 그리고 적은 소비전력으로 운영이 되어야 한다. 이러한 기술은 유비쿼터스 시대에서 모바일용 통신기기의 필수이다. 모바일 통신의 적용에서 요구되는 사항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간단한 명령으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어야 한다. 둘째로 저 전력으로 구동되는 핸디 헬드형으로 구현되어야 한다. 셋째로 데이터 통신에 신뢰성이 있어야 한다. 이 기본적인 요구조건으로 구현된 시스템의 활용분야은 매우 다양해진다. 최근 각광 받고 있는 Car to Car 시스템에서 적용이 그 한 예이다. 이 시스템은 도로의 모든 상황을 자동차끼리 연결하여 전달해 주며 이로 인해 일어 날수 있는 여러 사고들은 막아 준다. 이러한 시스템을 신뢰성있게 구현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디지털 데이터 통신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데이터 통신을 위해서 CC1020 칩을 사용하여 통신 모뎀을 구현하였다. 이 침의 사용으로 주파수의 선택이 간결하게 되었고, 송신에서 수신 상태로 변환도 간단히 레지스터의 설정으로 가능하였다. 송신 출력도 10dBm로 통신 거리는 약 100m이다. 또한 칩의 전원이 3v의 저 전력을 사용하고, 간단한 레지스트 설정으로 송신 및 수신 상태에서 쉽게 sleeping mode 상태로 전환할 수 있었다. 결론으로 CC1020칩의 프로그램 알고리즘, MCU(Atmega128)과의 연결 회로도를 보였다. MCU와 CC1020의 연결 핀에서 중요한 파형을 그림으로 보였다. 그리고 실험에 사용된 송신부 및 수신부를 사진으로 보였으며, 이것을 이용하여 통신 수신율을 분석하였다.

  • PDF

CIELAB 색 표시계 기반 토색을 활용한 불포화토 함수비 예측 연구 (Predicting Unsaturated Soil Water Content Using CIELAB Color System-based Soil Color)

  • 백성하;박가현;전준서;곽태영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9권2호
    • /
    • pp.31-42
    • /
    • 2023
  • 본 연구는 흙의 디지털 이미지로부터 획득된 토색을 기반으로 함수비를 예측하기 위한 기초단계로서 수행되었다. 서로 다른 다섯 가지 함수비로 조성된 주문진표준사 시료를 대상으로 광조건을 아홉 번 씩 바꿔가며 디지털 이미지를 촬영했다. 디지털 이미지 프로세싱을 통해 촬영된 시료의 토색을 CIELAB 색 표시계를 기반으로 획득하고, 광조건과 함수비에 따른 토색 변화를 분석했다. 그 결과, 불포화토의 토색 L* 값은 조명의 조도와 높은 상관성을 보였고 a*와 b* 값은 조명의 색온도와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또한 함수비가 증가하면 토색의 밝기를 나타내는 L*가 감소하고, a*와 b*는 증가하여 토색이 초록과 파랑에서 멀어지고 빨강과 노랑에 가까워졌다. 광조건 및 함수비와 토색의 회귀분석 결과를 종합해 불규칙한 광조건에서 촬영된 실리카 계열의 모래의 토색을 기반으로 함수비를 예측하는 방법을 제안했으며, 제안된 방법을 통해 최대 오차 0.29% 수준으로 함수비를 예측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