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gital informatization level

검색결과 53건 처리시간 0.032초

장애인의 디지털정보화역량, 디지털정보화활용 수준, 일상생활만족도 간 관계: 지각된 사회적 지지망 수준에 따른 다집단 분석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Informatization Capability, Digital Informatization Accessability and Life Satisfaction of Disabled People: Multigroup Analysis of Perceived Social Support Network)

  • 연은모;최효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2호
    • /
    • pp.636-644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의 디지털정보화역량, 디지털정보화활용 수준, 일상생활만족도 간 구조적 관계를 탐색하고, 지각된 사회적 지지망 수준에 따라 구조적 관계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2017년도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의 장애인 표본 데이터의 1,639명이 분석 대상이며,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방법과 다집단 분석 방법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디지털정보화역량은 디지털정보화활용 수준(β=.65), 일상생활만족도(β=.08)에 직접적으로 정적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디지털정보화활용 수준 또한 일상생활만족도(β=.44)에 직접적으로 정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장애인의 디지털정보화역량이 디지털정보화활용 수준을 매개로 일상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효과(β=.29)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직접효과보다 간접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장애인의 지각된 사회적 지지망 수준에 관계없이 디지털정보화역량, 디지털정보화활용 수준은 일상생활만족도에 유사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장애인의 일상생활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디지털정보화역량 향상을 위한 교육도 중요하지만, 장애인이 디지털 기기를 활용하여 여가생활, 문화생활, 사회적 상호작용, 사회참여 등이 가능한 접근성과 활용성이 높은 디지털 및 온라인 환경을 조성해 주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디지털정보화와 일상생활만족도의 관계: 디지털기기 이용성과의 매개 효과 분석 (The Mediating Effect of the Outcome of Digital Device Use between Digital Informatization & Life Satisfaction)

  • 김반야;권종실
    • 정보화정책
    • /
    • 제29권2호
    • /
    • pp.91-105
    • /
    • 2022
  • 본 연구는 디지털정보화의 접근, 역량, 활용 수준이 일상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 이 변인들 간의 관계에 있어 디지털기기 이용성과의 매개효과를 검토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의 '2020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실증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전반적으로 디지털정보화는 일상생활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디지털기기 이용성과의 매개효과 역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디지털정보화가 일상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과 디지털기기 이용성과의 매개효과의 유의성은 디지털정보화의 하위 차원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디지털정보화 정책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뒷받침하고 디지털정보화 정책 수립 및 추진 시 도움이 되는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 덧붙여 이 연구는 디지털정보화와 디지털기기 이용성과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3차 정보격차의 선행요인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북한이탈주민의 디지털정보화수준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 (The Effects of Digital Informatization Level Among North Korean Defectors on Daily Life Satisfaction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Capital)

  • 조성희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6호
    • /
    • pp.65-72
    • /
    • 2023
  •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들의 어려움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이들의 생활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디지털정보화수준과 사회적 자본의 영향력을 살펴보고, 디지털정보화수준과 생활만족의 관계에서 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21 디지털정보격차실태조사에 참여한 679명의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하여 연구모형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하여 북한이탈주민의 디지털정보화수준과 사회적 자본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력과 함께 디지털정보화수준과 생활만족의 관계에서 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북한이탈주민의 생활만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언하였다.

장애인들의 디지털정보화 수준과 정책활동 만족도 수준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Informatization Level and Policy Activity Satisfaction Level of Disabled Persons)

  • 이향수;이성훈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4호
    • /
    • pp.23-28
    • /
    • 2018
  • 정치 활동이나 정책에의 참여활동에 있어서 최근에는 온라인에서 활동이 더 중요해지고 있다. 따라서 디지털정보화 수준은 온라인 환경에서의 정책에의 참여활동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들의 정책 활동이 정보화 수준과 어떠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2017년 디지털정보격차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인들의 디지털정보화수준과 정책 활동 만족도 수준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장애인들의 유무선 정보기기 보유 및 인터넷 상시 접속가능 여부 등 디지털접근과 정책 활동 만족도 수준과는 정(+)의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PC이용능력 및 모바일 디지털기기 이용능력 등 디지털 정보역량수준과 소득수준도 정(+)의 관계를 가짐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유선 및 모바일 인터넷 이용여부 등 디지털 정보활용 등의 수준이 높아질수록 정책 활동 만족도 수준도 정(+)의 관계로 증가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장애인들에 대한 디지털 정보화 수준을 높일 수 있는 정부의 다양한 정보화 정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개인정보보호를 고려한 중소기업 정보화 수준 분석 설계 (The SME Informatization Level Analysis and Design for Privacy)

  • 김병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2호
    • /
    • pp.121-126
    • /
    • 2015
  • 중소기업 정보화 수준 분석은 기업의 성과 분석과 경쟁력 강화를 위한 지표로써 의미가 크다. 그런데 최근에는 개인정보보호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보안 및 정보보호를 위한 인프라 및 마인드도 매우 중요한 지표로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소기업의 정보화 수준 분석에 있어서 개인정보보호 관련 활동을 어떻게 평가할 수 있는지의 여부에 중점을 두고 연구를 수행하였다.

국가간 정보격차 진단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agnostic Model of Cross-national Digital Divide)

  • 이호형
    • 정보화연구
    • /
    • 제11권1호
    • /
    • pp.99-111
    • /
    • 2014
  • 현재 개발도상국 공적개발원조(ODA) 사업에서 통신망 구축, PC 보급 등 정보화 기반 확충을 도와주고 있다. 국가간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대한민국 IT 봉사단 파견사업도 해당국의 정보화 활용수준을 높이는데 큰 기여를 하고 있다. 본 연구는 개발도상국 정보화 수준평가 항목을 도출하고 도출된 항목들의 중요도를 분석하였다. 또한 정보화 수준 평가 항목들 간에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지 공분산구조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개발도상국의 정보화 기반 수준이 높으면 정보화 활용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자명하다. 하지만 개발도상국의 정보화 전략 수준과 환경 수준을 높여주는 것이 당장의 정보화 기반 수준을 높이는 것 보다 장기적으로 정보화 활용 수준을 높이는데 더 큰 영향력을 미친다. 좀 더 장기적인 개발도상국 정보격차 해소는 정보화 전략 수준과 환경 수준을 높여줄 때 가능한 것으로 보인다.

저소득층의 디지털 정보화수준과 여가 생활 만족도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Informatization Level and Leisure Life Satisfaction of Low Income)

  • 이향수;이성훈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1호
    • /
    • pp.29-36
    • /
    • 2018
  • 디지털정보화 사회가 심화되면서 정보소외계층의 정보격차는 점점 심각한 사회문제가 되어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보소외계층 중 하나인 저소득계층을 대상으로, 디지털정보화 역량과 저소득계층의 여가활동 만족도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2017년 디지털정보격차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저소득계층의 디지털정보화수준과 여가 활동 만족도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저소득 계층의 유무선 정보기기 보유 및 인터넷 상시 접속가능 여부 등 디지털접근과 여가 활동 만족도간에는 양(+)의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PC이용능력 및 모바일 디지털기기 이용능력 등 디지털 정보역량수준과 여가활동 만족도 수준도 양(+)의 관계를 가짐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유선 및 모바일 인터넷 이용여부 등 디지털 정보 활용 등의 수준도 역시 저소득계층의 여가활동 만족도에 양(+)의 관계를 가짐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저소득계층과 일반 국민들 간의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다양한 지원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장노년층의 디지털정보화 수준과 사회활동 만족도 수준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커뮤니티, 모임, 공동체에의 참여활동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vel of Digital Informatization and Satisfaction Level of Elderly People: Focusing on community, meeting, and community involvement activities)

  • 이향수;이성훈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2호
    • /
    • pp.1-7
    • /
    • 2019
  • 우리사회는 점점 고령화사회로 진화하고 있다. 본 연구는 소위 정보소외계층 중 하나인 장노년층을 대상으로 하여, 이들의 디지털정보화 역량이 사회활동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 지를 밝혀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17년 디지털정보격차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장노년층의 디지털정보화수준과 사회 활동 만족도 수준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장노년층의 유무선 정보기기 보유 및 인터넷 상시 접속가능 여부 등 디지털접근과 사회 활동 만족도 수준과는 정(+)의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PC이용능력 및 모바일 디지털기기 이용능력 등 디지털 정보역량수준과 사회활동 만죽도 수준도 정(+)의 관계를 가짐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유선 및 모바일 인터넷 이용여부 등 디지털 정보 활용 등의 수준이 높아 질수록 사회 활동 만족도 수준도 정(+)의 관계로 증가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장노년층에 대한 디지털 정보화 수준을 높일 수 있는 정부의 다양한 정보격차해소 정책이 필요함을 알수 있었다.

한국의 IT 산업 경쟁력과 IT 활용 수준 분석 (IT Industry Competitiveness and e-Readiness Level of Korean Economy)

  • 박경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7권2호
    • /
    • pp.35-41
    • /
    • 2009
  • The information technology, in the digital economy era, does a very important role not only for the country's administrative management innovation but also for the business and for the everyday life. Specifically, the e-business for the company or organization is defined as "using the Internet and IT, rescheduling of business process management activities to increase productivity and efficiency and to create new business opportunities." Thanks to the Korea's recent efforts, overall level of informatization and digitalization is able to receive high praise. But the e-business readiness (e-readiness) level is still expected a lot of room for improvement. In this paper, I try to analyze the informatization level of Korea's by the EIU's e-business readiness index and IT industry competitiveness index, to prepare a full-scale e-business era of global competitiveness through any preparation that could do to improve the situation from the analysis of statistical data.

  • PDF

장애인의 디지털정보화 수준과 대인관계 만족도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Digital Informatization Level and Human Relationship Satisfaction Level of Disabled Persons)

  • 이향수;이성훈;정용훈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3호
    • /
    • pp.43-48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 집단의 디지털정보화수준과 대인관계 만족도 수준간의 관계를 분석해 보았다. 장애인의 디지털정보화수준은 스마트 접근, 스마트 역량, 스마트 활용에 있어서의 수준을 말한다. 장애인 표본 추출을 위해서는 '장애인 복지법'에 근거하여 등록된 만7~69세 장애인 을 대상으로 하고, 실태조사는 구조화된 설문에 의한 연 1회 면접조사로 하였다. 분석에 활용된 회귀분석은 SAS 9.3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의 디지털접근 수준이 높을수록 대인관계 만족도 수준도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장애인의 디지털 정보역량수준이 높을수록 대인관계 만족도 수준도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장애인의 디지털 정보활용의 수준이 높아질수록 대인관계 만족도 수준도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장애인들의 디지털 정보화수준이 높아지면, 장애인들의 대인관계에서의 만족도 수준도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디지털정보화 소외집단인 장애인 계층에 대한 정부의 디지털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세심한 관심 및 정책적 검토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장애인들을 포함한 정보소외계층의 보편적 서비스 확대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지역단위의 공동체 활성화를 통해 지역사회가 정보소외계층을 포용하는 문화형성 역시 중요하며, 장애인들을 대상으로 한 정보화교육 역시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