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gital Dementia

검색결과 90건 처리시간 0.025초

실버세대의 여가활용을 위한 체감형 융복합 게임의 설계 방법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Method of Physical Convergence Game for Leisure use of Silver Generation)

  • 김태규;김경배;강신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6호
    • /
    • pp.419-424
    • /
    • 2020
  • 의료 기술의 발전과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인해 고령화 시대가 초래되었다. 이와 더불어 기술의 발전과 컴퓨터의 대중화로 인해 콘텐츠 사업이 발전하며 여러 기능성게임이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기능성게임 중 앞의 고령화 시대의 큰 문제점 중의 하나인 치매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실버 기능성게임이 나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버세대의 여가활용을 위한 체감형 융복합 게임의 설계 방법 중 운동적인 요소에 입각하여 설계 시 도움이 되는 요소에 대해 제안하기 위해 앞선 연구를 분석하였다. 분석한 내용을 근거로 여가제약 요인을 통해 치매 예방 체감형 운동 요소 모델을 제시하였다. 향후 본 연구에서 제시한 치매 예방 체감형 운동 요소 모델을 적용해 실버 체감형 기능성 게임을 설계한다면 장기적으로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실버 게임이 출연할 것으로 기대한다.

치매, 경도인지장애, 허혈성 뇌졸중 환자에서 인지기능, 우울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의 변화 비교 (A Comparative Study of Changes in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Patients with Dementia,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Ischemic Stroke)

  • 정미숙;오은영;차경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3호
    • /
    • pp.517-527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치매, 경도인지장애, 허혈성 뇌졸중 환자의 인지기능, 우울과 일상생활수행능력의 변화를 비교하고 도구적 일상생활수행능력의 변화를 설명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총 86명(치매=30명, 경도인지장애=32명, 허혈성 뇌졸중=24명)으로부터 진단 시점과 1년 뒤에 인지기능, 우울, 기본적 및 도구적 일상생활수행능력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반복측정분산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집행기능(p=.037)과 도구적 일상생활수행능력(p=.023)에서 측정 시점에 따른 집단 간 교호작용이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경도인지장애 집단은 진단 후 1년 동안 집행기능과 도구적 일상생활수행능력의 변화가 거의 없었으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치매 집단에서는 감소하는 양상이 나타났고 허혈성 뇌졸중 집단에서는 향상되는 양상을 나타냈다. 또한, 집행기능이 저하될수록(p=.030), 기본적 일상생활수행능력이 저하될수록(p<.001) 도구적 일상생활수행능력도 저하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설명력은 26.9%였다. 이러한 결과는 인지변화를 주요 증상으로 가지는 치매, 경도인지장애, 허혈성 뇌졸중 환자에서 진단 후 1년까지 질병의 초기 단계에 각기 다른 집행기능 변화 양상이 나타났으며, 이로 인해 도구적 일상생활수행능력 변화 양상이 다른 것으로 보인다. 보건의료전문가는 진단 직후부터 집행기능과 도구적 일상생활수행능력 문제를 정기적으로 평가하고 이와 관련된 기능 상태를 유지 및 증진하기 위한 중재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치매노인과의 관계개선을 위한 중풍노인 이야기치료 집단상담 사례 연구 (A Qualitative Case Study of the Narrative therapy group work on the elderly with palsy to solve conflict with the elderly with dementia)

  • 이경욱
    • 한국노년학
    • /
    • 제29권3호
    • /
    • pp.1123-1140
    • /
    • 2009
  • 본 연구는 주간보호센터의 중풍노인이 이야기치료 집단상담을 통해 치매노인과의 갈등을 해결하는 과정을 탐색하는 연구이다. 중풍노인에 대한 이야기치료 집단상담을 7회 동안 실시한 과정을 사례연구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중풍 노인들이 집단상담을 통해 치매노인을 '문제'가 아니라 '치매로 고통받는 사람'으로 보고, 치매노인을 비난하는 대신 도와줄 방법을 적극적으로 찾게 되었으며, 둘째, 자신들을 '치매노인의 피해자'가 아니라 '유능한 사람 으로 규정하게 되었고, 셋째, 중풍노인들끼리 협력적이고 친밀한 관계가 되었으며, 넷째, 중풍노인들이 주간보호센터 운영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변화에 이야기치료의 문제와 사람을 분리시키기, 클라이언트를 자기 문제의 전문가로 존중하기, 독특한 결과 찾기 등이 도움이 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장기요양보호대상자에게 보호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참여 기회를 확대하고, 이야기치료를 노인에게 적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VR-ADHD Digital Therapy Using VR Games

  • Dae-Won Park;Han-Byul Kang;Sang-Hyun Lee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1권1호
    • /
    • pp.332-336
    • /
    • 2023
  • In this paper, we design and implement an ADHD diagnostic rating scale algorithm and virtual reality- based digital treatment by combining virtual reality technology that enables multiple access based on specialized medical data. The VR ADHD digital treatment to be implemented is intended to be applied directly to diagnosis and treatment of child/adolescent ADHD by applying various psychiatric treatment technologies. In order to evaluate the usability of the digital therapeutic agent developed in this paper, an expert group consisting of 2 males and 12 females "targeted counseling psychology majors at the Asian Dementia Center once a day for 3 weeks, ADHD VR-based digital therapeutics for children Experienced and usability evaluation conducted. As a final result of this thesis, it was possible to develop attentional concentration ability, working memory improvement ability, and impulsive control ability in four games of digital therapy, and it was possible to confirm significant results that can be expected to have ADHD therapeutic effects.

가상현실(Virtual Reality) 기반 복합인지중재 프로그램이 노인의 인지기능, 우울, 디지털 격차 해소에 미치는 영향: 탐색적 연구 (The Effect of Virtual Reality-Based Complex Cognitive Training Program on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Digital Divide Reduction in the Elderly: An exploratory study)

  • 조빛나;김범수;홍동기;곽민정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09-124
    • /
    • 2024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virtual reality-based complex cognitive training program for depression, cognitive function, and digital divide reduction in the elderly who have not been diagnosed with dementia or MCI. Methods : We enrolled 16 participants who were over 65 years old and not been diagnosed with dementia or MCI. We randomly divided into three groups (A, B, C). Participants underwent an 8-week virtual reality-based complex cognitive training program (60 minutes each session, twice per week). At a baseline, all participants completed questionnaires on general features, depression and cognitive function. After four weeks, all participants completed questionnaires on depression and cognitive function. After the end of the last program, participants conducted questionnaires on depression, cognitive function, and usability evaluation. Results : At the 8-week follow-up, 16 participants completed the program. Compared to the baseline, the average score of cognitive function was increased (from 26.5 to 28.5), although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061).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baseline and post-training evaluations on depression scores. The average score of usability evaluation was 75.56, which corresponds to good. Conclusion : Even though the results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findings in cognitive function and depression after the virtual reality-based complex cognitive training intervention, this pilot study proposed the possibility of utilizing the virtual reality program as a tool that provides active learning opportunities for the elderly and helps improve their cognitive function through multi-sensory components. Also,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ed a positive reevaluation of the elderly's digital access capabilities while reducing the digital divide. A virtual reality-based complex cognitive training program improved the social network of the elderly. We expect that it will expand in size and help with their social participation of the elderly.

경증 치매노인을 위한 인지활동 통합프로그램의 효과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Cognitive Activity Integration Program Designed for the Aged with Mild Dementia)

  • 고경애;김양이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2호
    • /
    • pp.431-440
    • /
    • 2018
  • 본 연구는 경증 치매노인들의 진행을 지연시키기 위한 인지활동 통합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한 것이다. 경증치매 노인을 12명씩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나누어 인지활동 통합프로그램을 8주간 진행하여 MMSE-K와 ADL(일상생활기능), IADL(도구적 일상생활기능), CDR, GDS 척도로 사전, 1차 사후, 4주 후 2차 사후를 비교 관찰함으로써 프로그램의 효과성과 지속여부를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첫째, 실천적 차원의 함의로서 단일영역의 인지활동 프로그램보다 융 복합적 영역의 통합프로그램의 효과성이 높다는 것이다. 둘째, 인지활동 통합프로그램은 지속해서 제공되어야 효과가 유지된다는 점이다. 경증 치매노인의 특성상 지속적으로 프로그램을 제공하지 않으면 효과성을 보장할 수 없다. 셋째, 인지활동 통합프로그램은 종결 후 마무리가 실천과정 만큼 중요하다는 점이다. 이 활동을 통하여 표현능력과 기억력을 유지하고 생활에 적용하도록 자극하며 성취감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실천적 제언으로 경증 치매노인에게 적용할 수 있는 융 복합적인 치료 기법이 반영된 인지활동 통합프로그램의 개발과 보급이 필요하다. 정책적 제언으로는 지속적인 인지활동 통합프로그램의 진행과 효과성의 유지 및 치매의 진전을 지연시키기 위하여 전문인력이 필요하다.

Prediction of Cognitive Ability Utilizing a Machine Learning approach based on Digital Therapeutics Log Data

  • Yeojin Kim;Jiseon Yang;Dohyoung Rim;Uran Oh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12권2호
    • /
    • pp.17-24
    • /
    • 2023
  • Given the surge in the elderly population, and increasing in dementia cases,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digital therapies that facilitate steady remote treatment. However, in the cognitive assessment of digital therapies through clinical trials, the absence of log data as an essential evaluation factor is a significant issue. To address this, we propose a solution of utilizing weighted derived variables based on high-importance variables' accuracy in log data utilization as an indirect cognitive assessment factor for digital therapies. We have validated the effectiveness of this approach using machine learning techniques such as XGBoost, LGBM, and CatBoost. Thus, we suggest the use of log data as a rapid and indirect cognitive evaluation factor for digital therapy users.

향요법 발반사 마사지가 치매노인의 인지, 불안, 공격행동 및 배회행동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n Aromatherapy and Foot Reflex Massage on the Cognition, Anxiety, Aggressive Behavior and Wandering Behavior of Elderly with Dementia)

  • 이선영;이정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2호
    • /
    • pp.495-505
    • /
    • 2013
  • 본 연구는 치매노인에 대한 간호중재로 향요법 발반사 마사지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인지, 불안, 공격행동 및 배회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설계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시차 설계의 유사실험설계이다. 연구대상자는 실험군 21명, 대조군 22명으로 실험군에는 향요법 발반사 마사지를 2주간 적용하였고 대조군은 2주간 무처치 하여 전체 실험기간은 총 4주간이었다. 자료의 처리는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집단간 동질성 검정은 Chi검정과 t검정, 종속 변수에 대한 검정은 t검정, 대조군과 실험군의 사전, 처치 1주, 처치 2주의 효과 변수의 변화에 대한 분석은 반복측정분산분석(Repeated measure ANOVA), 사후분석은 Bonferroni로 검정하였고 유의수준은 p<.05로 하였다. 향요법 발반사 마사지를 받은 실험군에서 불안, 공격행동 및 배회행동의 감소를 가져와 치매노인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간호중재로 사료된다.

교육훈련대상자의 학습전이와 그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치매전문교육을 받은 요양보호사 중심 (A Study on Learning Transfer and Its Influencing Factors of Job Training Program Participants: Focusing on the Geriatric Care Worker who Received the Dementia Job Training)

  • 이진;김철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호
    • /
    • pp.63-72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치매교육훈련을 받은 요양보호사들의 학습전이 수준과,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향요인간의 관계 및 설명력을 살펴보는데 있다. 서울시와 경기도에 근무하는 요양보호사 중 치매교육훈련을 수료한 후 3개월 이상 12개월 미만인 자를 연구대상으로 하였고, 총 279명에 받은 설문지를 바탕으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치매교육훈련 학습자의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교육훈련설계 중 교육방법과 강사역량이 높을수록, 업무환경 중 전이기회가 높을수록 학습전이가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학습전이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요양보호사의 자기효능감 증진, 업무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실무 중심의 교육훈련, 장기요양업무관련 실무경험이 많은 강사선정의 중요성, 업무현장에서 요양보호사에게 더 많은 전이기회가 제공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가상현실 기반 인지재활 콘텐츠를 위한 영상 인식 및 군집화 (Image Recognition and Clustering for Virtual Reality based on Cognitive Rehabilitation Contents)

  • 최권택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8권7호
    • /
    • pp.1249-1257
    • /
    • 2017
  • 4차 산업혁명과 초고령 시대로 인해, 가상현실을 의료 분야에 적용하려는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치매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은 치매로 인해 발생하는 인지 및 신체 장애를 개선하기 위해 영상 인식 및 군집화 방법을 사용한 가상현실 인지재활 콘텐츠를 제안한다. 기존 인지재활 시스템과는 달리 본 논문에서는 치료 대상자의 추억이 반영되어 있는 여행사진을 사용한다. 자동화된 인지재활 콘텐츠 생성을 위해 사진으로부터 인물정보, 음식사진 여부, 장소 정보, 시간 정보를 추출하고, 군집화를 위해 정규화가 수행된다. 그리고 가상현실 공간에서 여행 사진을 활용해 인지재활 및 신체재활을 강화할 수 있는 시나리오를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