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gital Dementia

검색결과 90건 처리시간 0.037초

치매 서비스 경험과 인지기능 간의 관계 연구: 건강정보이해능력 집단 비교를 중심으로 (The moderating effect of Health Literacy on the association between Dementia Service and Cognitive function)

  • 신혜리;김영선;이상화;최은영;맹성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1호
    • /
    • pp.395-407
    • /
    • 2020
  • 본 연구는 한국 성인 및 노인들을 대상으로 치매 서비스 이용 여부와 인지기능의 관계를 살펴보고, 건강정보이해능력이 두 변수 간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나타내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K대학교에서 전국 60~79세 지역사회 거주자를 대상으로 직접면접조사를 통해 수집한 2016년 치매이해능력 설문조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최종분석대상자로는 522명이 선정되었다.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첫째, 치매 서비스 경험이 있는 노인일수록 인지기능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건강정보이해능력이 높을수록 인지기능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치매 서비스 경험과 인지기능의 관계에서 건강정보이해능력이 조절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건강정보이해능력이 치매서비스 이용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실증적으로 발견하여 고령자의 치매 및 건강 관련 정책에 주요 시사점을 제시한다.

경증치매노인의 치매안심센터 이용만족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with Mild Dementia using the Dementia Care Center)

  • 김인옥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5호
    • /
    • pp.505-512
    • /
    • 2020
  • 본 연구는 S시 25개 자치구에 소재하는 치매안심센터 서비스에 대해 치매노인의 이용만족도를 조사함으로써 새로운 정책이 효과적으로 운영되고 있는지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절차는 2019년 7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 치매안심센터를 이용하는 217명의 치매노인에게 설문지를 통한 자가기입식 설문조사이다. 이용만족도 도구는 일직선 양끝에 부정-긍정표현을 표시한 도표평점척도이다. 연구결과, 이용만족도는 기관 신뢰가 불신보다(t=9.74, p<.001), 치매진단은 인지장애가 치매보다(t=0.13, p=.034), 우울은 경증이 중증에 비해(t=2.31, p=.022) 유의하게 높았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분석한 만족도 비(比)는 성별, 연령, 교육, 걷기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새로 도입된 치매안심센터의 만족도 개선을 위해 이용자의 특성을 고려한 건강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것이 중요하다.

중장년층의 치매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예방행위 (Dementia Knowledge, Attitude and Preventive behaviors of Middle-aged Adults)

  • 이미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2호
    • /
    • pp.383-391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중장년층의 치매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예방행위에 대하여 조사하고 관련 요인을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자는 P시에 거주하는 중장년층 남녀 297명이며,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SPSS/WIN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치매에 대한 지식은 9.0점, 치매에 대한 태도는 2.98점, 치매 예방행위는 2.22점이었다. 치매에 대한 지식은 치매에 대한 예방행위와 치매에 대한 태도에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치매 예방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흡연, 음주, 치매에 대한 지식, 월수입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요인들은 치매 예방행위를 39% 설명하였다. 그러므로 중장년층의 치매에 대한 예방행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금연 및 절주에 대한 교육 및 치매에 대한 지식을 높이기 위해 중장년층을 위한 맞춤형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후각 바이오 정보 기반 치매 가상증강콘텐츠 기술 동향 (Digital Olfactory Based Dementia Screening and Cognitive Enhancer Content)

  • 최종우;장성준;방준학;이해룡;김진서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34권4호
    • /
    • pp.89-97
    • /
    • 2019
  • The olfactory bio technology is largely based on its corresponding recognition technology and smell stimulus that acquires, analyzes, and processes volatile organic compounds present in chemical molecules, which are present in the breath or air evoked by an electronic nose artificially imitating the human biological nose. The olfactory bio technology is also based on a scent display technology that automatically diverges various digital flavors based on aesthetics, concentration, duration, and intensity information required to enhance the sensibility using a computer. Recently, attempts have been made to apply noninvasive screening of dementia by sensing, analyzing, encoding, and transmitting bio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an olfactory interface, both domestically and externally; further, the olfactory medical content technology has been applied to delay or reduce the onset of dementia. In this study, we will focus on early screening of dementia using olfactory biology information and dementia cognitive enhancer content that delays or reduces the onset of dementia.

간호대학생의 치매에 대한 지식, 태도와 노인부양의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Knowledge, Attitude of Dementia, and Awareness of care giving for Elderly among of Nursing student)

  • 윤미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1호
    • /
    • pp.419-426
    • /
    • 2019
  • 본 연구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치매에 대한 지식, 태도, 노인부양의식정도를 알아보고 이들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일개 대학교의 재학생 288명을 대상으로 자료수집은 2019년 5월 7일 부터 5월 14일까지 실시하였다. 자료분석방법은 SPSS 20,0을 이용하여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일반적 특성에 따른 치매에 대한 지식은 학년, 종교, 치매교육유무에서, 치매에 대한 태도와 노인부양의식은 치매봉사경험과 치매교육경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치매에 대한 지식과 노인부양의식은(r=.105, p=0.38), 치매에 대한 태도와 노인부양의식은(r=.556, p=.000)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대상자들의 치매에 대한 태도가 노인부양의식을 31.3%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간호대학생들의 개별적, 집단적 특성을 고려한 구조화되고 체계화된 맞춤형 치매교육프로그램이 개발, 적용되어 지속적인 교육과 피드백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개인 맞춤화 회상치료법 디지털 서비스 디자인 제안 -경도 치매환자를 중심으로- (Personalized reminiscence therapy digital service design proposal -Focusing on patients with mild dementia-)

  • 김혜선;최동하;김재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6호
    • /
    • pp.299-308
    • /
    • 2021
  • 본 연구는 경도 치매환자가 AI 음성 기술을 활용한 개인 맞춤화된 회상 치료 디지털 서비스를 이용할 때 나타나는 유의미한 효과와 실효성을 파악하는 데 연구 목적을 두었다. 이해관계자 인터뷰 결과를 해석하는 과정에서, 음성 AI 기술을 이용한 '개인 맞춤화'라는 디자인 아이디어를 도출했으며, 프로토타입을 만들어 1, 2차에 걸쳐 사용성 테스트를 했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회상 치료 자체가 개인 경험에 영향을 많이 받으며, 맞춤화된 치료프로그램을 통해 치료 상태와 결과에 따른 맞춤 돌봄 가이드를 받을 수 있기 때문에, '개인 맞춤화'라는 컨셉이 기존 치료 방법보다 치료의 질을 높일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경도 치매환자가 지닌 깜빡 잊는 인지적 특징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이슈들이 관찰되어, 오류를 예방하고 사용성을 높일 수 있는 마이크로인터랙션을 연구한다면 서비스의 사용성을 더욱 높일 것으로 기대한다.

립 모션(leap motion) 센서를 이용한 노령 환자 치매 케어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Health Care System for Elderly People with Dementia Based on Leap Motion Sensor)

  • 신지우;김지수;홍광수;김병규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319-325
    • /
    • 2018
  • 최근 급속한 고령화로 인해 치매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면서 치매에 대한 일반 대중의 관심이 증가하였다. 늘어나는 치매환자수에 따라 치매 재활센터, 노인 복지관에서는 여러 치매 예방 및 재활 프로그램이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3차원 손가락 및 동작 스캔이 가능한 립 모션(leap motion)을 활용하여 다양한 시설에서 진행되고 있는 치매 예방 및 인지 재활 프로그램과 접목시킨다. 개발하고자 하는 기술은 재활 치료사들의 치료 및 재활 내용을 재미와 효과를 함께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 손가락 추적을 이용하여 다양한 인지 증강 콘텐츠를 설계하고, 재활 교육의 기록이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되도록 구성하여 재활 프로그램의 관리의 효율성을 증대시키고자 하였다.

레크리에이션 치료 프로그램이 치매 노인들의 인지기능과 균형감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rapeutic Recreation Program on Cognitive Functions and Balance in Elderly People with Alzheimer's Dementia)

  • 박은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9호
    • /
    • pp.391-397
    • /
    • 2018
  • 본 연구는 레크리에이션 치료 프로그램이 치매 노인들의 인지기능과 균형감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 분석하고자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은 알츠하이머형 치매를 진단받은 노인 16명을 대상으로 6 개월 동안 레크리에이션 치료 프로그램을 제공하였으며, 실험군과 대조군 두 그룹의 프로그램 제공전과 후의 인지기능과 균형감각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레크리에이션 치료 프로그램은 알츠하이머형 치매 노인의 인지기능과 균형감각을 유지시키거나 증진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연구 대상자 모집과 손실 및 레크리에이션 치료 프로그램 기간과 같은 변수 통제의 어려움을 제한점으로 볼 수 있으나 레크리에이션 치료와 같은 비약리적 방법의 개발과 효과성 검증의 측면에서 치매 노인의 재활치료 연구에 기여하였다고 판단된다.

노인치매예방 스마트폰 앱의 기대효과 및 유용성 (Predictable Effect and Usability of Smart-Phone Application for Elderly Dementia Prevention)

  • 김수정;최윤진
    • 산업융합연구
    • /
    • 제17권4호
    • /
    • pp.87-94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 치매예방을 위해 스마트폰에서 제공되고 있는 치매예방 게임 앱과 치매진단 앱의 이용에 대한 유용성 및 그 기대효과를 예측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첫째, 치매예방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있는 6개의 치매진단도구를 선정하고 각 진단도구가 검증하고 있는 인지기능영역을 추출하였다. 둘째는 29개의 스마트폰 치매예방 게임 앱과 치매관리 앱을 선정하여 이 앱들을 이용한 이후의 기대효과를 치매진단도구에서 추출된 인지영역과 연계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스마트폰 치매예방 앱을 이용하여 지속적으로 게임을 하거나 치매관리를 할 경우 특정 영역의 인지기능을 증진함으로써 치매예방 관리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되었다. 스마트폰 치매예방 앱은 시공간을 초월한 이용의 용이성, 지속적 사용성 그리고 경제성을 통하여 오프라인으로 운영되고 있는 치매예방프로그램의 한계점을 보완함으로써 노인의 인지능력을 증진시키고 치매를 예방하는 데 유용할 것이다.

경도 치매노인을 대상으로 한 디지털 집단 회상 프로그램의 효과 (The Effect of Digital Group Reminiscence Program for the Elderly with Mild Dementia)

  • 이영옥;김건엽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48권2호
    • /
    • pp.91-102
    • /
    • 2023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a digital group reminiscence program on elderly patients with mild dementia who were registered with Day Care Centers.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elderly patients with mild dementia in Day Care Centers in D city. The pati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the experimental group or the control group and were assessed for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and ego integrity using pre-test and post-test designs. A digital group reminiscence program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Data was collected from July 5 to September 17, 2021, using questionnaires in three sessions. Results: The pre-test cognitive function score was 12.00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11.09 in the control group. The post-test cognitive function score was 19.20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14.42 in the control group. The later cognitive function score was 18.00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13.31 in the control group. The pre-test depression score was 8.32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9.91 in the control group. The post-test depression score was 6.05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8.82 in the control group. The later depression score was 6.94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9.02 in the control group. The pre-test ego integrity score was 41.39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39.55 in the control group. The post-test ego integrity score was 57.95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51.41 in the control group. The later ego integrity score was 55.88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42.15 in the control group.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and ego integrit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group (p<.05), time (p<.001), and interaction between group and time (p<.01). Conclusion: The digital group reminiscence program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and ego integrity and reducing depression in elderly patients with mild dementia.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explore the effects of repetitive digital group recall programs based on the progress, course, age, and communication level of dement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