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gital Business Innovation

검색결과 328건 처리시간 0.021초

정보기술 수용성과 디지털미디어 활용역량이 시니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기회인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Information Technology Acceptance and Digital Media Utilization Capability on Senior Entrepreneurship Intention: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Opportunity Recognition)

  • 홍정기;허철무
    • 벤처창업연구
    • /
    • 제17권4호
    • /
    • pp.173-191
    • /
    • 2022
  • 글로벌 경제위기와 고령화 추세 그리고 급속한 디지털 전환은 한국 사회에 큰 부담이자 위기이다. 이러한 환경 변화와 경기침체는 시니어들의 퇴직 후 창업 및 재취업에 대한 이슈가 사회적으로 부상하고 있다. 본 연구는 시니어를 대상으로 하고 창업할 시 어떤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특히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피할 수 없는 정보통신기술(ICT) 및 디지털 미디어에 대한 활용 역량에 초점을 두었다. 이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시니어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조사를 하였다. 유효한 287개를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통계분석에는 SPSS 24.0와 Macro Process 4.0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 분석 결과, 정보기술 수용에 대한 자기효능감, 개인 혁신성, 디지털미디어를 활용한 커뮤니케이션 역량은 시니어 창업 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정보기술에 대한 지각된 유용성과 디지털미디어 기기 활용역량은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유의한 영향을 미친 변인 중 개인혁신성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회 인식은 자기효능감, 개인혁신성, 커뮤니케이션 역량과 시니어 창업 의도 간에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시니어의 창업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 중에서 디지털미디어 활용역량 역시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실증적으로 검정했다는 점에서 학술적 및 실무적 의미가 있다.

IT분야 국가혁신시스템 네트워크 구조 분석 (Analysis on structure of National Innovation System in IT)

  • 주성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4호
    • /
    • pp.129-138
    • /
    • 2016
  • 본 논문은 우리나라의 정보통신 분야 국가혁신시스템의 혁신 요인간 상호작용 측면을 알아보기 위해 네트워크 관점에서 연구했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정부가 지원하는 국가 R&D 과제 중 공동연구를 수행했던 기관들 간의 관계를 소셜네트워크분석법(Social Network Analysis)를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우리나라 정보통신 분야 국가혁신시스템의 네트워크는 좁은세상 네트워크 유형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통해 우리나라의 정보통신 분야 혁신 주체들은 매우 긴밀하게 지식 및 정보를 주고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기술혁신 네트워크 내의 혁신주체 중, 연구기관의 비중은 상대적으로 높았고, 기업의 비중은 상대적으로 낮아 우리나라 기술혁신 활동이 정부 주도형으로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국가혁신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조가 혁신의 성공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할 필요가 있다.

기술혁신 보상확보 메커니즘 효과성의 산업별 차이와 유형 (Difference Across Indutries of Innovation Appropriability Mechanism's Effectiveness and Classification)

  • 박성택;김영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6호
    • /
    • pp.135-144
    • /
    • 2014
  • 기술혁신 전략을 구성하고 기술혁신의 성공적인 실행을 위해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바로 기술혁신에 대한 보호 여부의 결정과 보호 방법의 선택일 것이다. 전통적으로 경제학적인 면과 전략적인 측면에서 혁신에 대한 보상을 최대한 많이 얻기 위해 기술혁신을 보호하는 것을 강조해왔다. 하지만 이러한 보호 여부와 그 수준을 결정하는 일은 매우 복잡한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기업들이 기술혁신에 대한 보상을 확보하는 메커니즘으로는 특허, 비밀유지, 시장 선점 등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기업의 입장에서는 기술혁신에 대한 수익 확보 전략은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어떠한 전략을 세우느냐에 따라 기업의 흥망성쇠가 달라진다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동안의 국외 연구에서 드러난 결과로는 특별히 특허가 기술혁신에 대한 보상확보를 위한 최선의 방법은 아니라는 것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는 기술혁신의 보상확보를 위해서는 산업별로 여러 가지의 보상확보 메커니즘이 있다는 것을 암시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문가를 대상으로 델파이와 설문조사를 통해 산업별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기술혁신 보상확보 메커니즘의 효과성과 유형을 분류하였다. 분석결과, 우수한 판매 및 서비스 활동, 리드타임, 보완적 제조 순으로 나타났다.

A Conceptual Framework for Value Co-creation in an Innovation Ecosystem: The Case of Technology-based Collaboration Network

  • 한은정;홍순구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29-43
    • /
    • 2017
  • Innovation Cosystems are Conceptualized as Organizational Networks of Economic Actors, Technologies and Social Contexts that Interact for Knowledge Production, use, and Adaptation. This Paper Proposed a Conceptual Framework to Describe Value Co-creation of Organizational Networks Engaged in Technology Innovation. We Adopted Theory-Based Approach by Integrating the Perspective of Service-Dominant (S-D) Logic Into the Evolutionary Model of the Triple Helix. The Framework Gives a Plausible Explanation on how Actors Collaborate to Create Value in Dynamic Contexts of an Innovation Ecosystem. The Innovation Ecosystem can be Considered as a Composite of Sub-Ecosystems, Including Knowledge, Sectoral, and Business Ecosystems. When these Sub-Ecosystems are Recursively Transformed by Coordination of Functional Mechanisms that Serve Value Co-creation in the Innovation Process, the Innovation Ecosystem will be Re-Organized and Evolve. The case of the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DLNA) was Examined to Demonstrate the Fundamental Mechanisms for Value Co-creation that was Described in the Framework. The case Study Indicates Features of Value Co-creation when Implementing Innovation in Organizational Networks.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위한 프로그래밍 교육 - 무엇을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가? (Programming Education for Digital Transformation - What to Teach and How?)

  • 박수진
    • 기술혁신연구
    • /
    • 제31권2호
    • /
    • pp.237-262
    • /
    • 2023
  •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은 기업의 경영 전략적 관점에서의 조직, 프로세스, 비즈니스 모델, 커뮤니케이션의 광범위하고 근본적 변화를 요구하고 있으나, 성공적인 트랜스포메이션의 핵심 선제요건 중 하나는 구성원의 IT(Information Technology) 역량이다. 공학적 배경 지식 없이 기술경영을 전공하는 학생들은 비교적 단기간에 경영관리 능력과 IT 역량을 동시에 키워야 하는 난제에 처해 있다. 이러한 이유로 효과적인 IT 역량 교육 방법은 기술경영학 분야의 교육 이슈 중 하나로 부각되고 있다. 본 논문은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의 흐름을 주도할 수 있는 학생들을 양성하기 위한 IT 역량 교육은 "무엇"을 "어떻게" 가르쳐야 할 것인가라는 질문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한 하나의 사례로서, 서강대학교 기술경영 전문대학원의 IT 관련 커리큘럼 리노베이션의 과정과 현재까지 교육과정 실행 결과를 제시한다. 특히, IT 역량 교육의 출발점이자 진입장벽이 되는 기초 프로그래밍 교육 과정의 피드백 결과에 대한 충분한 논의를 통해, 기술경영대학원 학생들을 위한 효율적인 IT 교육의 운영 방향에 대한 선행 참조사례를 제공하는 데 본 논문의 목적이 있다.

구성원들의 침묵이 창의성과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mployees' Silence Influencing on Creativity and Innovation Behavior: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 of Resilience)

  • 이병진;장은혜;이광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6호
    • /
    • pp.185-198
    • /
    • 2021
  • 본 연구는 변화하는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현대 기업이 고려해야 할 여러 가지 요인 중 인적자원의 중요성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검증하고자 한 연구이다. 독립변수로는 구성원들이 느끼는 동기에 의한 체념적 침묵과 방어적 침묵을 구성하였으며, 결과변수로는 창의성과 혁신행동을 설정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서 먼저 조직의 구성원들과 관리자간의 소통의 중요성을 알아보고, 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자 한다. 두 번째로 이들 간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에 대해 확인하고, 구성원들의 심리적 회복의 중요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는 결국 인적자원을 관리함에 있어서 구성원들의 심리적 관리와 회복의 중요성을 이야기하고자 한다. 결과적으로 체념적 침묵은 창의성과 혁신행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방어적 침묵의 경우 창의성과 혁신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의 경우 방어적 침묵과 창의성 및 혁신행동의 관계에서는 모두 유의미한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체념적 침묵의 경우 혁신행동만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체념적 침묵과 방어적 침묵을 선택하게 되는 구성원들의 성향의 차이와 회복탄력성의 고유한 특징이 결합되면서 나타난 결과이다.

고객 및 공급자 네트워크와 혁신성과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T자형 기술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ustomer and Supplier Network and Innovation Performance: Focused on Mediating Effect of T-Shaped Skill)

  • 정태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1호
    • /
    • pp.93-110
    • /
    • 2015
  • 본 연구는 고객 네트워크와 공급자 네트워크, 그리고 혁신성과간의 관계에서 T자형 기술의 역할을 규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기업 간 협력관계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 필요한 요소는 관련 선행 지식이다. 흡수역량의 전제조건은 새로운 지식을 인지하고, 완전히 이해하고 이를 적용하기 위해서 기업이 관련 선행 지식을 보유하고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T자형 기술은 새로운 관련 지식의 학습을 용이하게 해주며, 혁신 성과에 중요한 요소이다. 실증분석 결과 T자형 기술은 네트워크와 혁신성과 간의 중요한 매개변수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를 통해 앞으로 고객 및 공급자와의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기업에게 어떻게 구축된 네트워크를 통한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지 그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다.

대전환의 시대 산업단지 혁신방안과 과제 (Industrial Complex Innovation Plans and Tasks in the Era of Great Transformation)

  • 이승희
    • 디지털정책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41-45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산업단지의 현주소와 지금까지의 산업단지에 대한 정부의 지원정책을 살펴보고 대전환의 시대 산업단지의 문제점과 개선점을 살펴본 후 산업단지를 어떻게 하면 혁신할 수 있는지, 그 방안과 과제를 제시해보고자 한다. 결론을 요약하면, 국가 경제의 주축인 산업단지의 경쟁력과 혁신을 제고 하기 위해 정부, 지역혁신기관, 기업이 협력하는 거버넌스 체계를 구축하여 대전환기에 적합한 산업단지로 변모, 우수 산업단지를 육성해야 하고 정부 각 부처의 정책과 예산 투입을 적극 지원하는 것이 시급하다.

혁신 수용확산 이론의 IPTV 충성도 형성 프로세스 응용 (Applications of Innovation Adoption and Diffusion Theory to IPTV Loyalty Formation Process)

  • 한현수;정석인;박우성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35-357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IPTV 사용자의 충성도 형성 프로세스 모델과 이론화를 위한 실증 분석 결과를 제시하였다. IPTV의 혁신적인 방송통신 융합 성격을 고려하여 혁신 수용 및 확산 이론 프레임웍에 기반하여 연구 모델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IPTV 서비스를 구성하는 다양한 요소에 대한 고객 인지 검증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상대적 이점을 7개의 1차 요인으로 구성된 2차 요인으로 구분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구조방정식 모델을 설계하였다. 연구 모델은 250명의 IPTV 사용자 대상 서베이를 통하여 수집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PLS 기법을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서 제시된 시사점은 디지털 융합 관련 하이테크 서비스 제품에 대한 수용 및 확산에 대한 향후 연구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신(新)산학협력 활성화 방안 연구 (Research for activation of new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 김태영;설원식;이영일;고혁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2호
    • /
    • pp.77-82
    • /
    • 2019
  •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산학협력의 역할과 기능에 대한 혁신적 변화가 요구됨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산학협력의 현황과 정부의 지원사업을 진단하고, 해외 주요사례분석을 통하여 신산학협력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학의 전반적인 산학협력 수준은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부의 산학협력 지원사업은 양적으로는 충분하나, 부처별 중복지원 문제, 산학협력 지원의 양극화 등의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해외 주요 대학의 특징은 지역산업과의 연계가 높다는 점이며, 대학이 적극적으로 창업생태계를 주도하고 있다는 점이다. 신산학협력 활성화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미래지향적 산학협력으로, 미래수요에 기반한 신교육과정 개설과 교육방식 혁신을 강화해야 한다. 둘째, 능동적 산학협력으로 창업교육 확대와 대학보유 자원을 기반으로 한 창업을 활성화해야 한다. 셋째, 지역혁신주체와의 적극적 협력으로 지역혁신의 앵커역할을 수행해야 하며. 수익 창출형 산학협력 모델을 개발하여 대학 재정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