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fficulties of Field Practicum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17초

사회복지과 학생의 현장실습을 통한 지역사회복지의 주체적 참여방안 연구 (A study on the subjective participation plan in community welfare by the medium of the field practicum for social work student in undergraduate courses)

  • 이재호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18권
    • /
    • pp.163-182
    • /
    • 2006
  • In social welfare arena field practicum has been an essential instrument and method for social work students to get socialized to the social work professional. However, to whom involve in the actual field practicum-universities(or colleges), institutes - have some difficulties. On the base of community welfare is a clinical approach in this times. To strengthen community welfare policy, the beginning of community welfare committee is such a good opportunity to tackle the problems of the field practicum. This study suggest that the problem of the field training are 1) a guidance of an individual social work institute, 2) the lack of social work institute, 3) the absence of the trainee's sense of values, 4) the bad conditions of the field practicum for social work students in undergraduate courses at the university(or college), and 5) the lack of professionalism for supervisors. This study makes the following social work suggestions to vitalize field practicum in community welfare. It is more likely important to 1) make the law of the field practicum for undergraduate social work courses, 2) make the coordinated programs of the field practicum for undergraduate social work course in community welfare, 3) enlarge the opportunity that a field specialist take further education, 4) support and carry of supervisor reeducation, 5) make the program development of trainee's personal experiences in social work values, and 6) social work professors make a practice in the social work field.

  • PDF

성인학습자의 사회복지현장실습 경험과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ield Practicum Experiences and Improvements for Adult Learners in Social Welfare)

  • 임진섭;배나래
    • 미래기술융합논문지
    • /
    • 제3권3호
    • /
    • pp.47-56
    • /
    • 2024
  • 본 연구는 사회복지학과 성인학습자의 사회복지현장실습경험을 분석하고 개선점을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사회복지현장실습은 사회복지사가 되기 위한 필수과정이다. 사회복지현장실습을 통해 성인학습자들은 이론적으로 배운 교육을 실제 현장에서 적용하고 예비사회복지사로서 미래의 역할을 이해할 수 있는 소중한 기회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사회복지현장실습이 성인학습자의 특성을 적절하게 반영하지 못한다면 성공적인 사회복지현장실습 경험을 보장하기 어려울 수 있다. 성인학습자가 사회복지실습을 성공적으로 마무리 짓기 위해서는 대학과 실습기관의 통합적이고 일관된 지원이 필수적이다. 성인학습자의 실습경험에서 직면할 수 있는 어려움은 시간 관리의 힘듦, 심리적 스트레스, 이론과 실제의 간극 등이 있는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필요하며, 가장 중요한 것은 실습 전 철저한 준비가 선행되어야 하겠다.

여성 북한이탈주민 사이버대학생이 경험한 사회복지실습의 어려움과 지원방안 (Difficulties that Female North Korean Defector Cyber University Students Experienced in their Social Work Field Practicum and Support Plan)

  • 배진형;박미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60-74
    • /
    • 2016
  • 최근 북한이탈주민 사이버대학 사회복지전공생의 증가와 더불어 필수과목인 사회복지실습에서의 경험탐색을 통한 적절한 실습 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 사이버대학생들이 사회복지실습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은 무엇인지를 심층적으로 파악하여 보다 효과적인 실습교육 지원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사회복지실습을 마친 G 사이버대학교 사회복지전공생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심층개별면접을 실시하고, 질적 연구방법인 근거이론의 지속적 비교분석을 통한 개방코딩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북한이탈주민 사이버대학생이 경험하는 사회복지실습에서의 어려움은 49개의 개념, 18개의 하위범주, 7개의 범주로 최종 분석되었다. 범주는 다양한 장애요인으로 인한 실습 진입의 어려움, 북한과의 차이로 인한 혼란, 기대와 다른 과업과 역할 수행, 부담되는 인간관계, 복지적 전문역량 부족감, 불가피한 환경적 어려움, 그리고 개인적 고충상황이었다. 이를 근거로 이들에 대한 보다 효과적인 실습교육을 위한 지원방안을 학교, 실습기관, 실습생과 사회의 측면에서 제언하였다.

외국인 유학생의 보육실습 경험 분석: 어려움과 가치를 중심으로 (Analyzing the Child Care Practicum Experience of Foreign Students: Exploring Challenges and Benefits)

  • 강정원;국소영;박명금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9-39
    • /
    • 2023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xperiences of foreign students in childcare practicum, with a specific focus on identifying the difficulties they encountered and the values they derived from their practicum experiences. The aim was to gain insights that can contribute to improving practicum support for these students. Methods: A total of 6 foreign students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for this study using snowball sampling. The data collection period spanned from May 2021 to March 2023, during which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and qualitatively analyzed. Results: Foreign students faced challenges in securing practicum placements prior to the start of their program. Communication difficulties necessitated the use of interpreters to interact with children. Additionally, documenting information in a language other than their mother tongue posed a challenge. Consequently, there was a need for tailored training support to address the specific needs of foreign students in childcare practicum. Despite these challenges, the students reported rewarding and valuable experiences during their practicum. These experiences included discovering the teaching identity in Korea, learning about desirable practices in the field, recognizing and addressing personal shortcomings, and developing a sense of vocation for the advancement of infant education in their home countries. Conclusion/Implications: If we actively listen to and provide appropriate support for the specific needs of foreign students in their childcare practicum, they have the potential to become excellent childcare teachers who can foster a harmonious and inclusive environment within our multicultural society.

사회복지 현장실습 참여 대학생의 권리에 대한 탐색적 연구 - 학습권 및 노동권의 측면에서 - (An Exploratory Study on the Rights of Students in their Social Work Field Practicum -In the aspect of the rights to learn and the rights to work-)

  • 김수정;김은정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9권1호
    • /
    • pp.147-174
    • /
    • 2017
  • 본 연구는 사회복지 현장실습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들이 인식하는 실습생으로서의 권리를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특히 학습권 및 노동권 관점에서 이를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초점집단 인터뷰(FGI) 방법을 활용하였으며 총 19명의 실습생이 참여하였다. 분석결과 사회복지 현장실습 참여 학생의 권리인식은 총 5개의 범주 및 18개의 하위범주로 도출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학교 및 실습기관은 실습생의 권리에 대한 인식이 부재하거나 미흡하였다. 둘째, 실습참여 학생들은 실습 현장에서 훈련생이자 노동자로서의 이중적 지위와 역할을 담당하고 있었으며 이로 인한 혼란을 느끼고 있었다. 셋째, 실습생들은 훈련생으로서 적절한 지도와 교육을 받지 못해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었다. 넷째, 실습생들은 현장에서 실질적인 노동력을 제공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합당한 보상 및 안전문제 노출시 제대로 된 보호를 받지 못해 불안함과 부당함을 느끼고 있었다. 다섯째, 학생들은 실습생의 권리보호에 대한 인식 및 제도 개선을 위한 실습기관 및 학교의 적극적인 노력을 요구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현장실습 학생들의 권리보호를 위한 개선방안을 논의하고 실습교육 향상을 위한 대안을 제시하였다.

  • PDF

예비보육교사들의 실습경험에 대한 이야기 -보육교사교육원을 중심으로- (The Stories of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Practicum Experiences : Focusing on pre-service Childcare Teacher Training Centers)

  • 임경옥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750-761
    • /
    • 2016
  • 본 연구는 보육실습을 마친 3급 예비보육교사를 대상으로 보육실습에 대한 경험과 경험이 남긴 의미를 알아보고, 이를 통하여 3급 보육교사들의 효율적인 보육실습지도 방향을 제시하고자 실시되었다. 이를 위하여 경기소재 P 보육교사교육원과 S 보육교사교육원에서 교육받고 있는 16명을 대상으로 개인 면담을 실시한 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보육실습은 실습기관 선정의 어려움, 실습준비 부족, 교육과정과 현장의 연계 불일치, 실습의 스트레스, 영유아 지도의 어려움, 현장의 현실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보육실습의 경험이 남긴 의미는 보육교사로서 자신의 진로 결정 및 가치관을 정립하는데 영향을 끼쳤으며,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실천적 지식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해주었다. 논의에서는 도출된 주제를 중심으로 보육실습을 체계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한국에 있어서 사서실습교육의 실태 조사연구 (A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s of Library Practice Education in Korea)

  • 구본영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10권
    • /
    • pp.3-37
    • /
    • 1983
  • 1. Library practice education in Korea is in the form of field experience, that is, Practicum, which is one type of field experience. 2. The practicum is a short-term work experience guided by the academic institutions. (2 to 6 weeks of full time employment in a library, or one to two semesters of approximately 10 to 12 hours weekly) 3. Field work is largely accepted as a required subject. 4. Field work is usually carried out during the first semester of senior year. (or of sophomore year in junior college) 5. Libraries in other universities (or in other institutions) can beused for a student's field work. But the current tendency is to use his or her own university's library. 6. Most universities give one credit for 2 weeks' field work. 7. The method of evaluation is strict: A or 'excellent' (above 90), B or 'good' (above 80), C or 'fair' (above 70), D or 'bad' (above 60). 8. The expense of field work is usually included in the tuition fees. However, some think that an additional fees should be collected in the case of special practice. 9. Respondents to my survey say that the field experience is necessary so that professional librarians can connect theory and practice. 10. They also indicate that there are some problems in library practice education: administrative difficulties in the department chairman's office, the burden on professors in the library being used, and the limited number of libraries in which the field work is practicable. 11. The Department of Library Science is responsible primarily for providing faculty supervision over the students, and secondarily for the preparation of evaluation cards and field work reports. 12. Most of the faculty respondents use evaluation cards for the field work, some of which serve as grade sheets, some as field work diaries, and some as field work repor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