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fficult Airway

검색결과 136건 처리시간 0.022초

가정전문간호사의 비판적 성찰을 통한 사례기반 학습: 가정용 인공호흡기 적용대상자 (Case-based Learning through Home Care Nursing Specialists' Critical Reflection: Application with Patients Using Home Mechanical Ventilator)

  • 박학영;황문숙;김연희
    • 가정∙방문간호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53-163
    • /
    • 2018
  • Purpose: This study is know the home care nursing specialists' copying method for life-threatening emergency situation occurred while changing the tracheotomy tube in the patient's home through case-based learning. Methods: Two cases were analyzed using structured critical reflection while changing the tracheal tube. In the first case, the patient presented with dyspnea, cyanosis, and low oxygen saturation when connected to home mechanical ventilator after replacement of the tracheotomy tube. In the second case, replacement of the tracheal tube was difficult due to a narrowed airway from proliferated granulation tissue. Results: From the case-based learning. using a critical reflection instrument, home care nursing specialists indicated that it was important to explain the possibility of danger to the client and that nurses must check the operation of the ambu-bag to prepare for an emergency when replacing a tracheotomy tube. Moreover, they stated a need for two nurses during client visits when there is the possibility of an emergency. Conclusion: Case-based learning through critical reflection provides actual practice-focused knowledge that is helpful to home care nurse specialists who face emergency situations in a restricted environment. Therefore, we hope that home care nursing specialists will use this method to strengthen their professional knowledge.

A Cohen syndrome patient whose muscle-relaxant effect may have been prolonged during general anesthesia: a case report

  • Ishikawa, Emi;Shibuya, Makiko;Kimura, Yukifumi;Kamekura, Nobuhito;Fujisawa, Toshiaki
    • Journal of Dental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 /
    • 제22권2호
    • /
    • pp.155-159
    • /
    • 2022
  • Cohen syndrome is a rare genetic disorder associated with mutations in the VPS13B gene. Individuals with this disorder present with diverse clinical manifestations, including muscle hypotonia,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typical facial characteristics, such as prominent upper central incisors and micrognathia. General anesthesia was administered to a 23-year-old man with Cohen syndrome. Although we observed prominent upper central incisors, an overjet of 10 mm, micrognathia, and thyromental distance of 4 cm, hypotonia was not observed in the patient. Intubation was rendered difficult when performing a direct laryngoscopy. However, smooth intubation was achieved using a video laryngoscope. The patient's train of four (TOF) count remained zero close to 60 min after rocuronium administration, suggesting that the drug's muscle-relaxant effect may have been prolonged. A TOF ratio of 0.79 was confirmed 130 min after rocuronium administration, and a TOF ratio of 1.0 was confirmed after administration of 150 mg of sugammadex. The patient's respiration remained stable after extubation, and no recurarization of muscle relaxation was observed. As demonstrated in this case report, it is important to closely monitor recovery from muscle relaxation and prepare multiple techniques for airway management in general anesthesia management of patients with Cohen syndrome.

소아의 기도 폐쇄 평가에서 impulse oscillometry system과 폐활량 측정법의 비교 (A comparison between impulse oscillometry system and spirometry for spirometry for detecting airway obstruction in children)

  • 허혜영;곽지희;김형윤;정다운;신윤호;한만용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1권8호
    • /
    • pp.842-847
    • /
    • 2008
  • 목 적 : 기도 폐쇄의 평가를 위해 측정하는 $FEV_1$은 대상 환자의 협조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6세 이전의 소아에서는 검사하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아에서 IOS의 유용성을 검정하기 위해 IOS와 폐활량 측정법의 $FEV_1$을 비교하였다. 방 법 : 병력상 천식이 의심되어 폐활량 측정법과 IOS를 이용해서 폐기능 검사 및 메타콜린 기관지 유발 검사를 실시한 환자 17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군은 기관지 과민성 지표인 $PC_{20}$ 농도에 따라 두 군으로 나누었고, 이들의 기저 폐 기능, 기관지 유발검사 후의 변화율, $FEV_1$과 IOS 지표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결 과 : 기저 폐기능 지표 중 X5, R5는 $PC_{20}$ 양성군과 음성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지만, $FEV_1$, $FEV_1$ % 예측치, $FEV_1_-Zs$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FEV_1$은 X5 (r=0.45, P<0.01), R5 (r=-0.69, P<0.01)와 상관관계를 보였고, $FEV_1_-Zs$ 역시 X5_Zs (r=-0.26, P<0.01), R5_Zs (r=-0.31, P<0.01)와 상관관계를 보였다. 메타콜린 유발검사 후 $FEV_1$과 X5의 변화율은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결 론 : IOS 지표는 기저 폐 기능 검사에서 기관지 과민성으로 분류한 환자를 $FEV_1$보다 민감하게 구분 지을 수 있었고, IOS 지표와 $FEV_1$의 상관관계가 높았다.

압력보조 환기법으로 기계호흡 이탈시 최소압력보조(Minimal Pressure Support) 수준의 결정 (Determination of Minimal Pressure Support Level During Weaning from Pressure Support Ventilation)

  • 정복현;고윤석;임채만;이상도;김우성;김동순;김원동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5권2호
    • /
    • pp.380-387
    • /
    • 1998
  • 연구배경: 압력보조환기법은 기계호흡으로부터 이탈시 최근에 많이 이용되는 인공환기법으로 적절한 압력보조 수준이 이탈 과정에 중요하며 특히 최소압력보조 (minimal pressure support) 수준에서 환자의 환기 상태가 적절하면 치료자는 인공 호흡기로 부터 여탈 및 기관내 관을 발관할 수 있다. 그러나 부적절한 최소압력 보조 수준의 적용은 환기 이탈 기간의 장기화나 이탈 실패를 초래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탈기 환자들이 최소압력보조 치의 범위를 알아보고 또한 최대 흡기유량과 총환기계 저항의 곱으로 구한 최소압력보조치의 계산값과 환자의 기관내 관 끝에서 실측한 값 사이의 차이를 비교함으로써 유도식으로 계산된 최소압력 보조 값의 임상적 유용성을 예측하고자 하였다. 방 법: 기저 질환이 호전되어 기계호흡으로부터 이탈이 가능한 환자 16명을 대상으로 폐 감시기 (CP-100 pulmonary monitor, Bicore, USA)를 이용하여 부가된 호흡일을 구한 후 최소압력보조의 수준을 직접 측정하였고, 이들 중 9예에서는 또한 유도식 (peak inspiratory flow rate$\times$total ventilatory system resistance=minimal pressure support)을 이용하여 최소합력보조의 수준을 구하였다. 결 과: 대상환자 16명중 14명에서 측정한 최소압력보조의 실측치는 4~12.5 cm$H_2O$로써 환자에 따라 차이가 심하였다. 대상 환자 중 2명에서 각각 15, 21 cm$H_2O$로써 높게 측정되었으나 기관내 관을 발관 후 내강이 기도 분비물로 심한 폐쇄가 발견되었다. 실측치를 측정한 16명중 9명에서 유도식을 이용하여 최소압력 보조의 계산치를 구하였으며 실측치와 계산치의 비는 평균 0.81로 실측치 보다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으나 실측치와 계산치의 상관 계수는 0.88(p=0.002)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 론: 압력보조환기법에 의한 이탈 시도시 최소압력보조 수준의 결정은 유도식을 이용하여 계산된 값을 적용하는 것이 치료자가 임의적으로 일정한 값을 적용하는 것보다 더 나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소아치과의사를 위한 심폐소생술과 소아고급생명구조술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Pediatric Advanced Life Support for Pediatric Dentist)

  • 김종빈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243-255
    • /
    • 2017
  • 심폐소생술(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은 심장의 기능이 정지하거나 호흡이 멈추었을 때 인공적으로 혈액을 순환시키고 호흡을 보조해 주는 응급처치이다. 심폐소생술은 기본생명구조술(basic life support, BLS)과 전문소생술(advanced life support, ALS)로 나눌 수 있다. 기본생명구조술은 주요 조직으로 혈류 공급을 강제적으로 하기 위한 흉부압박과 호흡정지 환자에게 구조호흡(rescue breathing) 그리고 심실세동을 개선해 주기 위한 자동제세동기(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ED)이 포함된다. 전문소생술의 범주는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고급생명구조술(advanced cardiovascular life support, ACLS)과 소아를 대상으로 하는 소아고급생명구조술(pediatric advanced life support, PALS)이 있다. 치과 치료에 극심한 공포를 가지며, 여러 이유로 치과 진료에 협조를 얻기 어려운 소아를 대상으로 하는 치료환경에서는 약물을 이용한 진정법이 고려된다. 이는 심정지를 포함한 응급상황이 발생할 가능성이 증가하는 이유가 된다. 소아고급생명구조술은 기본생명구조술을 포함하며, 심정지에 이를 수 있는 원인을 호흡, 순환장애 그리고 심인성으로 나누어 대처하는 체계적인 방법을 제시한다. 소아는 성인에 비해 심인성의 원인은 낮지만, 해부학적인 약점으로 인해 호흡이나, 순환장애에 의한 심정지의 가능성은 높다. 따라서, 스트레스를 많이 받은 아이를 치료하거나 진정법을 시행하는 소아치과의사는 소아고급생명구조술을 익힘으로써 응급상황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출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기계환기기 이탈의 성공과 관련된 생리적${\cdot}$심리적 요인에 관한 조사 연구 (A Study on the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Factors related to Successful Weaning from a Mechanical Ventilator)

  • 김조자;김화순;장연수;김은성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995-1005
    • /
    • 2000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variables related to successful weaning from a mechanical ventilator.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2 patients who received mechanical ventilation therapy for more than 3 days in intensive care units. Before the weaning trial, baseline data for following physiologic variables were obtained: spontaneous respiration rate, blood pressure, pulse rate, PaO2, PaCO2, PEEP, static compliance, minute ventilation, tidal volume, rapid shallow breathing index(f/VT), SaO2, PaO2/FiO2 and mean arterial pressure. During spontaneous breathing, physiologic and psychologic variables such as vital signs, ABG, perspiration, chest retraction, paradoxical respiration, dyspnea, anxiety, confidence and efficacy were measured. Successful weaning was defined as sustaining spontaneous respiration over 24 hours after extubation. Weaning failure was defined as the development of more than one of following signs: (1) hypoxemia, (2) CO2 retention or (3) perspiration, tachypnea, chest retraction, tachycardia, arrhythmia, hypotension or hypertension. Subjects (N=18) who successfully weaned from mechanical ventilator were compared with subjects (N=4) who fail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Eighteen percents of the subjects failed during the weaning trial. Most subjects in the failed group were mechanically ventilated for long-time. This result shows that the success of weaning is more difficult in long-term ventilation patients. In the baseline data that was measured before weaning trial, the mean score of PaO2 in the successfully weaned group was 121mmHg. This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mean score of PaO2 in the failed group(95mmHg). However, the scores of pH, tidal volume, f/VT, pulse rates, blood pressure, mean airway pressure, SaO2, and PaCO2 were similar between the two groups. Specially the scores of f/VT index as a predominant predictor for successful weaning were not significant (f/VT=44.4) and (f/VT=47). During spontaneous breathing, the scores of dyspnea and anxiety level in the successfully weaned group were less than those of the failed group. On the contrary, the scores of confidence and efficacy in the successful group were greater than those of the failed group. In conclusion, the baseline data that were measured before weaning trial were similar between the both groups, therefore future studies are needed to focus on searching other variables besides physiological parameters related to weaning outcome.

  • PDF

Treacher Collins 증후군 환아의 기관 삽관 시 마우스가드의 활용 (Usefulness of Mouth Guard when the Endotracheal Intubation Is Indicated for Treacher Collins Syndrome Patient)

  • 최해인;최병재;최형준;송제선;이제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40-46
    • /
    • 2014
  • Treacher collins 증후군(TCS)는 25,000명에서 50,000명당 1명의 빈도로 발생하는 상염색체우성의 유전질환이다. 상, 하악의 발육 부전, 부정교합, 양측성 이개 기형, 안검렬의 반몽고증 사면, 구순구개열, 외이도 폐쇄, 중이와 내이의 기형으로 인한 청각 소실등의 구강악안면 부위의 특징을 보여 태생 이후 성인기에 이르기까지 여러 차례에 걸친 외과적 수술을 거치게 된다. 하악골의 형성저하로 하악골이 짧고 후방 위치되며 후방 위치하는 혀와 후비공의 협착과 폐쇄로 인해 상기도가 좁아지게 되는데 이로 인해 기관삽관의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치근 발육이 미약한 소아청소년 시기의 TCS 환자의 기관 삽관 시 상악 전치부의 손상 가능성이 매우 높다. 본 증례는 전신마취 유도를 위한 기관 삽관 도중 상악 전치의 완전 탈구가 발생한 TCS 환아의 치험례를 통해 기도 삽관 시사전의 마우스가드 제작의 유용성에 대하여 알리고자 한다.

OK-432$(Picibanil^{(R)})$와 외과적 절제술을 이용한 선천성 림프관종의 치험례 (THE TREATMENT OF CONGENITAL LYMPHANGIOMA WITH OK-432$(Picibanil^{(R)})$ AND SURGICAL EXCISION)

  • 김일규;이성호;오성섭;최진호;오남식;김왕식;임영일;양동환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3권3호
    • /
    • pp.281-288
    • /
    • 2001
  • 림프관종의 치료에 있어 전통적으로 수술적요법만이 선호되어져 왔으나 최근 Ogita 등에 의해 소개된 OK-432는 안전성과 효과면에서 기존의 경화제에 비해 뚜렷이 구별되는 효과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여러 저자등에 의해 보고되고 있다. 특히 수술이 매우 어려운 부위에 존재하는 경우라든지 수술후 재발된 증례등에서 일차 혹은 이차적으로 투여하여 높은 성공률을 보였다고 하였고 더불어 OK-432 투여후 시행된 수술시에도 섬유성유착등의 어려움없이 병소를 절제할 수 있다고 하였다. 본 증례의 경우도 일차적인 OK-432 투여후 8개월째 시행된 이차적인 수술에서 큰 어려움없이 병소를 절제할 수 있었다. 이에 저자등은 좌측 혀 및 구강저와 경부의 급성 부종으로 인한 호흡부전 및 대설증의 증상을 보여 본원 소아과에서 의뢰된 생후 5개월된 환자에게 병력 및 임상검사와 방사선적 검사를 시행한 결과 림프관종으로 진단하고 일차적으로 흡입천자를 통한 감압술과 OK-432 를 통한 경화요법을 시행하였고 이차적인 연속수술을 시행하여 병소를 완전히 절제하였으며 술후 현재까지 재발소견없이 양호한 결과를 보였기에 이에 보고하고자 한다.

  • PDF

중앙안면골 골절 환자에서의 이차 비성형술 (SECONDARY RHINOPLASTY IN MID-FACIAL TRAUMA PATIENTS)

  • 정종철;김건중;이정삼;민흥기;최재선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8권4호
    • /
    • pp.607-614
    • /
    • 1996
  • 중앙안면골 골절 환자에서 비골 골절과 동반되는 경우가 많으며, 주로 안면골 골절의 정복시 비골도 동시에 정복하지만 여러 가지의 원인에 의하여 이차 비성형술을 시행하여야 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중앙안면골 골절 환자의 초진시 비골 골절에 대한 정확한 진단과 정확한 비골 골절의 정복 그리고 일차 비골 골절의 정복후 이의 적절한 유지와 고정이 중요하지만 이차 비성형술의 가능성에 대비하여야 하며, 일차 비골 골절의 정복시 대칭적인 정복을 시행함으로서 비교적 간단하게 이차 비성형술을 시행할 수 있으리라 생각되었다. 또한 중앙안면골 골절환자에서는 비부의 연조직이나 연골의 이차변형에 의하여 이차 비성형술을 시행할수도 있으므로 일차 수술후 주의깊은 관찰이 요구된다. 이러한 이차 비성형술에는 자가이식재 및 Silicone이나 $Medpore^{(R)}$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특히 인공이식재의 경우 공여부의 정확한 형성과 적절한 고정이 필수적이며 향후 이러한 인공이식재의 안정성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것으로 사료된다.

  • PDF

silicone T-tube 삽입으로 치료된 기관 Cannula 발거곤난증 2례 (Treatment of Decannulation Difficulty Using Silicone T-tube)

  • 김순웅;권혁진;윤병용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82년도 제16차 학술대회연제순서 및 초록
    • /
    • pp.9.2-9
    • /
    • 1982
  • 최근 문명의 발달과 함께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는 여러 형태의 사고(교통사고, 뇌졸중 등)시 응급처치의 일환으로 임상각과에서 시행하고 있는 기관내 삽관혹은 기관절개술은 생명유지에 있어서 꼭 필요한 기본처치라 하겠다. 그러나 응급이라는 말 그대로 조급한 수술 및 그에 따른 제반문제, 술후 불충분한 기관 cannula 관리, 장기간의 삽관 등으로 인해 여러가지 합병증이 발생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근자에 와서 특히 이비인후과영역에서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는 문제가 기관협착증 및 기관 cannula 조거곤난증이라 하겠다. 이는 이차적 감염 및 육아조직의 형성, high tracheostomy, 유소아의 해부학적 구조, 불적절한 cannula의 사용, 기관 전벽의 광범위한 절제, 그외 정신적 요소 등이 원인으로서 작용한다고 한다. 근래 항생제의 개발과 수술 및 치료방법의 진보에 따라 그 빈도가 다소 멸소되었다고 하나 현재까지도 임상각과에서 종종 보고되고 있으며 한국의 홍 등은 과거 10연간 기관절개를 받은 1514 예중 23예( 1.5 %)에서, Meclelland는 389 예중 14 예중 (3.6%)에서 기관협착증이 발생하였다고 하였으며 조등은 363 예중 3예( 1 %), Meade는 212예중 5 %에서 기관 cannula 발거곤난증이 발생하였다고 보고하였다. 치료로서는 크게 나누어서 수술적료법과 보존적료법으로 대별할 수 있는 데 보존적료법중의 하나인 silastic T_tube의 사용은 적절한 기도유지와 함께 삽입하기에 좋은 flexibility 및 경미한 tissue reaction등으로 최근 주목을 받고 있다. 저자들은 최근 교통사고로 인하여 신경외과에서 기관절개술을 시행한 22세된 남자로서, 술후 4개월만에 기관절개 부위의 육아조직의 증식 및 2차적 감염으로 인해 발생한 기관협착증 1예와, 낙상으로 인해 기관절개술을 시행한 5세된 여아로서 수술당시 high tracheostomy 및 기관전벽의 광범위한 절제로 인하여 발생되었을 것이라고 사료되는 기관 Cannula 발거곤난증 1예를 각각 경험하고, silicone T_tube를 약 3개월간 삽입하여 좋은 결과를 얻었기에 문헌적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