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fference convex algorithm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7초

A transductive least squares support vector machine with the difference convex algorithm

  • Shim, Jooyong;Seok, Kyungha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5권2호
    • /
    • pp.455-464
    • /
    • 2014
  • Unlabeled examples are easier and less expensive to obtain than labeled examples. Semisupervised approaches are used to utilize such examples in an eort to boost the predictive performance. This paper proposes a novel semisupervised classication method named transductive least squares support vector machine (TLS-SVM), which is based on the least squares support vector machine. The proposed method utilizes the dierence convex algorithm to derive nonconvex minimization solutions for the TLS-SVM. A generalized cross validation method is also developed to choose the hyperparameters that aect the performance of the TLS-SVM. The experimental results conrm the successful performance of the proposed TLS-SVM.

고속의 패킷 교환망에서 패킷 손실율을 최소화하기 위한 경로 제어 알고리즘 (A Routing Algorithm for Minimizing Packet Loss Rate in High-Speed Packet-Switched Networks)

  • 박성우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66-74
    • /
    • 1994
  • 고속의 패킷 교환망에서 최적 경로 제어 문제(ORP: Optical Routing Poblem)를 해결하기 위해 gradient projection (GP) 기법을 적용하였따. 망 평균 패킷의 손실율을 최소화하는 ORP는 교환 노드들에서 패킷들이 손실됨으로써 non-convex가 되어, GP 알고리즘에 의해서는 그 경로해를 직접 구할 수가 없다. 따라서, 이 non-convex ORP를 reduced ORP (R-ORP)라 불리는 convex 문제로 변형시킨후, 그 경로해를 구하고자 GP 알고리즘을 이용하였다. 컴퓨터 모의 실험에 의해서는 R-ORP를 통해 얻어진 경로해가 원래 ORP의 최적 경로해에 아주 근사함을 보여준다. 또한 ORP 와 R-ORP들을 통해 얻어진 두 경로해간의 차이에 있어서의 이론적인 상한이 유도된다.

  • PDF

Joint Optimization Algorithm Based on DCA for Three-tier Caching in Heterogeneous Cellular Networks

  • Zhang, Jun;Zhu, Qi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5권7호
    • /
    • pp.2650-2667
    • /
    • 2021
  • In this paper, we derive the expression of the cache hitting probability with random caching policy and propose the joint optimization algorithm based on difference of convex algorithm (DCA) in the three-tier caching heterogeneous cellular network assisted by macro base stations, helpers and users. Under the constraint of the caching capacity of caching devices, we establish the optimization problem to maximize the cache hitting probability of the network.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convex function is introduced to convert the nonconvex problem to a difference of convex (DC) problem and then we utilize DCA to obtain the optimal caching probability of macro base stations, helpers and users for each content respectively.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when the density of caching devices is relatively low, popular contents should be cached to achieve a good performance. However, when the density of caching devices is relatively high, each content ought to be cached evenly. The algorithm proposed in this paper can achieve the higher cache hitting probability with the same density.

Convergence Control of Moving Object using Opto-Digital Algorithm in the 3D Robot Vision System

  • Ko, Jung-Hwan;Kim, Eun-Soo
    • Journal of Information Display
    • /
    • 제3권2호
    • /
    • pp.19-25
    • /
    • 2002
  • In this paper, a new target extraction algorithm is proposed, in which the coordinates of target are obtained adaptively by using the difference image information and the optical BPEJTC(binary phase extraction joint transform correlator) with which the target object can be segmented from the input image and background noises are removed in the stereo vision system. First, the proposed algorithm extracts the target object by removing the background noises through the difference image information of the sequential left images and then controlls the pan/tilt and convergence angle of the stereo camera by using the coordinates of the target position obtained from the optical BPEJTC between the extracted target image and the input image. From some experimental results, it is found that the proposed algorithm can extract the target object from the input image with background noises and then, effectively track the target object in real time. Finally, a possibility of implementation of the adaptive stereo object tracking system by using the proposed algorithm is also suggested.

이진 영상에서 ConvexHull을 이용한 윤곽선 추출 알고리즘 (The ConvexHull using Outline Extration Algorithm in Gray Scale Image)

  • 조영복;김우주;우성희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7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62-165
    • /
    • 2017
  • 제안 논문은 x-ray 입력영상에서 관심부위 영역을 추출해 참조이미지와 비교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x-ray영상의 모양은 같지만 대상의 크기나 방향 및 위치가 서로 다르게 촬영되어 나타나게 된다. 이와 같이 동일 대상에 대해 서로 다른 영상이 입력될 경우 영상의 유사도 측정법을 이용해 명암의 발기 차이를 측정한다. 또한 거리 측정은 x-ray 데이터의 벡터좌표(x,y,z)를 가지고 두 점간의 거리를 계산한다. 제안 방식은 기존 방식에 비해 관심영역 추출의 정확도 향상과 참조이미지 매칭 수행시간이 효율적임을 실험을 통해 증명하였다.

  • PDF

Point Pattern Matching Algorithm Using Unit-Circle Parametrization

  • Choi, Nam-Seok;Lee, Byung-Gook;Lee, Joon-Jae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825-832
    • /
    • 2010
  • This paper presents only a matching algorithm based on Delaunay triangulation and Parametrization from the extracted minutiae points. This method maps local neighborhood of points of two different point sets to unit-circle using topology information by Delaunay triangulation method from feature points of real fingerprint. Then, a linked convex polygon that includes an interior point is constructed as one-ring which is mapped to unit-circle using Parametrization that keep shape preserve. In local matching, each area of polygon in unit-circle is compared. If the difference of two areas are within tolerance, two polygons are consider to be matched and then translation, rotation and scaling factors for global matching are calculated.

특징 지도를 이용한 중요 객체 추출 (Extraction of Attentive Objects Using Feature Maps)

  • 박기태;김종혁;문영식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3권5호
    • /
    • pp.12-21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컬러 영상에서 배경의 복잡도와 객체의 위치에 관계없이 영상 내에 존재하는 중요 객체를 자동으로 추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중요 객체를 추출하기 위해 에지(edge) 정보와 색상(color) 정보를 이용한 특징 지도를 사용한다. 또한, 효과적인 객체 추출을 위해서 참조 지도(reference map)를 제안한다. 참조 지도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영상에서 사람의 시각에 두드러지게 구분되는 영역을 표현하는 특징 지도(feature map)를 먼저 생성한다. 그런 다음, 특징 지도들을 효과적으로 결합하여 배경의 영향을 최소화 하면서, 중요 객체가 존재할 확률이 높은 영역들을 포함하는 참조 지도를 생성한다. 특징 지도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밝기 차 정보를 나타내는 에지와 YCbCr 컬러와 HSV 컬러 공간에서의 색상 성분을 사용하며, 특징 지도에 대한 생성 방법은 영상 내에서 밝기차이와 색상차이에 의해서 나타나는 경계 부분을 추출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최종적으로 중요 객체가 존재하는 영역을 나타내기 위해서 참조 지도와 특징 지도들을 결합한 결합 지도(combination map)를 생성한다. 결합 지도는 중요 객체의 외곽선 정보만을 표현하기 때문에, 객체 전체를 표현할 수 있는 객체 후보 영역을 추출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객체 후보 영역을 추출하기 위해서 convex hull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Convex hull 알고리즘에 의해서 추출된 영역은 여전히 배경 부분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영상 분할 방법을 적용하여 배경을 제거한 후 영상에서의 중요 객체를 추출한다. 제안한 알고리즘의 성능을 실험적으로 확인한 결과, 평균적으로 84.3%의 정확율과 81.3%의 재현율의 성능을 보였다.

설진 유효 분석을 위한 혀의 기하정보 추출 방법 (Extraction Method of Geometry Information for Effective Analysis in Tongue Diagnosis)

  • 은성종;김재승;김근호;황보택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12호
    • /
    • pp.522-532
    • /
    • 2011
  • 한의학에서 혀의 상태는 인체의 건강 상태를 진단하는 중요한 지표로 활용된다. 이러한 혀의 상태를 진단하는 설진은 편리할 뿐 아니라 비침습적이므로, 한의학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설진은 객관화와 표준화라는 관점에서 문제가 있으며, 한의사의 의사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도구도 부족한 실정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설진 유효 분석을 위한 혀의 기하정보를 자동으로 계산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개선된 스네이크(Snake) 방법을 통해 혀를 검출하고 컨벡스 헐(Convex Hull)과 인페인팅 방법을 이용하여 객관적인 기하 정보를 추출하였다. 제안 알고리즘의 성능평가로 치흔의 경우 7.2%, 균열의 경우 8.5%의 영역 차이 비율로 안정적인 결과가 도출되었다.

Adaptive Video-Dissolve Detection Method Based on Correlation Between Two Scenes

  • Won, Jong-Un;Park, Jae-Gark;Chung, Yoon-su;Park, Kil-Houm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2년도 ITC-CSCC -3
    • /
    • pp.1519-1522
    • /
    • 2002
  •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adaptive dissolve detection method based on the analysis of a dissolve modeling error t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an ideally modeled dissolve curve without any correlation and an actual variance curve with a correlation. The dissolve modeling error is determined based on a correlation between two scenes and variances for each scene. First, Candidate regions are extracted by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a parabola that is downward convex, then the candidate region will be verified based on a dissolve modeling error. If a dissolve modeling error on a candidate region is less than a threshold that is defined by a dissolve modeling error with a target correlation, the candidate region should be a dissolve region with a correlation less than the target correlation. The threshold is adaptively determined based on the variances between the candidate regions and the target correlation. By considering the correlation between neighbor scenes, the proposed method is able to be a semantic scene-change detector. The proposed algorithm was tested on various types of data and its performance proved to be more accurate and reliable when compared with other commonly used method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