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ary Study Method

검색결과 78건 처리시간 0.027초

번들소프트웨어 디자인을 위한 다이어리 스터디 적용 연구 (Bundled SW Design with Application Method of Diary Study)

  • 하광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1호
    • /
    • pp.49-57
    • /
    • 2012
  • 최근 사용자 경험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사용자를 이해하기 위한 다양한 리서치 방법론들이 시도 되고 있다. 특히 그간의 통계적인 분석을 중심으로 하는 정량적 조사 방식의 사용자 이해 방법이 한계에 부딪히게 되면서 인문학적 또는 문화 인류학적인 방법론의 도입 시도들이 지속적으로 일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런 노력의 일환으로 문화 인류학의 대표적인 리서치 방법론인 에스노그래피 형식의 다양한 접근 방법이 시도되고 있는데 그중 다이어리 스터디(Diary Study method)도 효과적인 방법론의 하나로 거론 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다이어리 스터디 방법론을 노트북 PC의 번들 SW의 사용자 태도 조사에 응용하여 적용함으로서 사용자 태도에 대한 심층적 연구를 시도 하였다. 또한 노트북 PC의 번들 SW의 사용자 수용도를 파악하는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다이어리 스터디가 사용자 이해에 적용된 구체적인 예를 보여준다. 이 과정을 통해 에스노그래피 리서치 방법에 대한 개괄을 알아보고, 프로젝트에 다이어리 스터디를 적용 설계하여 사용자 성향을 분석 도출 하는 과정을 통한 효과적인 리서치 방법론을 논의 하고자 하였다. 이는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연구 방법론을 실제 적용함으로서 교과서적인 논의에서 벗어나 실제 적용측면에서의 논의를 진행 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진행 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사용자의 노트북 PC SW에 대한 적극적인 사용자화 과정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앞으로 번들 소프트웨어에 대한 배포 및 SW UX전략을 수립하는데 있어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된다.

생활시간 연구를 위한 측정도구의 비교 : 경험표집법과 시간일지 (A Systematic Comparison of Time Use Instruments: Time Diary and Experience Sampling Method)

  • 정재기
    • 한국조사연구학회지:조사연구
    • /
    • 제9권1호
    • /
    • pp.43-68
    • /
    • 2008
  • 이 연구는 생활시간 연구를 위한 두 도구를 비교한다. 시간일지와 경험표집법, 이전의 연구들이 이 두 도구가 집합적 측정치에서 유사하다는 것을 보여 왔지만, 각 도구의 개별기록의 일치율을 비교한 연구는 없었다. 이 두 도구에 모두 응답한, 시카고 대학의 알프레드 슬로안 센터에서 행해진 500가족 스터디의 일부 표본을 통하여, 이 연구는 두 도구를 비교하고 상대적 장단점을 평가하였다. 연구결과는 시간일지가 보다 덜 편향된 행동시간 측정치를 제공하는 데 반해, 경험표집법이 일상생활에 대해 보다 구체화된 서술을 가능하게 함을 시사하고 있다. 후속연구를 위한 함의가 논의되었다.

  • PDF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Behavior on Elderly Living in a Smart Home

  • Kim, Hyo Chang;Kim, Hyang Sook;Ji, Yong Gu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15-123
    • /
    • 2015
  •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find and propose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 of the elderly at their living space through diary study. Background: Recent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the emergence of various IT devices is contributing to active research in smart home, services which considers the behavior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are still unable to be provided. Method: This study performed self-diary study method with ten households aged over 65 that lived in smart home. Based on these data collected from the diary study, six behavior characteristics of elderly were drawn. Results: The elderly were aware of their cognitive and physical limitations and showed fear. They are difficult to adapt in the state of the art. Their activities to acquire information were limited and were against changes, preferring to maintain the old ways. Conclusion: The result of this study, findings of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reveal that most of them spend their time on personal maintenance, socializing and leisure activities. Therefore, smart home services related to these characteristics should be considered as a top priority. Application: The results of the behavior characteristics can be utilized for planning out future smart home services and thereby contributing to increase in convenience and satisfaction of the elderly.

Analysis of Work Time in Agriculture Through Time-Diary Method and Evaluation of the Reliability of the Data Using GPS Device

  • Park, Hee-Sok;Lee, Yun Keun;Min, Kyung Doo;Kim, Hyocher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383-389
    • /
    • 2016
  • Objective: In this paper, work time for the representative fruit crops are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time-diary method, and the collected data were compared with the directly observed work time using GPS device. Background: There is no consistent conclusion which measurement method for work time is accurate. Most of the research results were collected from the environment other than rural area. Therefore, there is need to review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methods for the agricultural work which are carried out for a long duration. Method: Top five crops (apple, pear, grape, sweet persimmon, and peach)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farms and cultivation areas. We let fruit growers fill a work diary during one cropping period. A difference between the work-time that was recorded by the farmers and the direct observed worktime using GPS device were analyzed. Results: Average direct work time for the five fruit crops found to be 7.1% of the total work time. Conclusions and Applications: Reliability was secured by recording the daily work diary at each work stage while aware that direct observation is carried on. Data which are being collected by government institutions are obtained by the memories of the respondents. Therefore, it is needed to try the method adopted by this study in order to collect more accurate data.

여헌(旅軒) 장현광(張顯光)의 『피란록(避亂錄)』에 나타난 서술시각과 글쓰기 방식 (Descriptive Perspective and Writing Method in Yeheon's Piranrok)

  • 정우봉
    • 동양고전연구
    • /
    • 제57호
    • /
    • pp.103-136
    • /
    • 2014
  • 이 논문은 임진왜란의 체험을 다룬 여헌(旅軒) 장현광(張顯光)의 "피란록(避亂錄)"을 주대상으로 하여 작품에 나타난 서술시각과 글쓰기 방식을 분석함으로써 "피란록(避亂錄)"이 조선시대 일기문학사에서 지닌 의의를 밝히고자 하였다. "피란록"의 독특한 특질과 성격을 밝히기 위해 이 논문에서는 서술시각과 글쓰기 방식에 초점을 맞추었다. "피란록"에 나타난 서술시각은 크게 보아 두 가지로 나뉜다. 하나는 혼란한 시대 현실에 관한 비판적 성찰의 시각이며, 다른 하나는 자기존재 및 상황에 대한 반성적 시각이다. 여헌의 "피란록"은 의론성이 대폭 강화된 점이 글쓰기 방식의 두드러진 특징이다. 피란 생활에서 겪는 개인의 일상을 매개로 하여 여헌은 개인의 출처(出處) 문제, 의병(義兵)의 동향과 전망, 축성(築城)의 이해 득실, 인륜 도덕의 회복, 전란의 원인과 책임 등 다방면에 걸쳐 자신의 의견과 주장을 선명하게 펼쳐내었다. 사회비평적 성격과 철학 담론적 성격을 효과적으로 작품속에서 구현하기 위해 여헌의 "피란록"은 임진왜란을 다룬 여타 일기와 달리 의론성의 비중을 크게 높였으며, 인물간 대화와 자문자답의 기법, 피란 고통의 생생한 묘사 등을 적절하게 활용하였다. 그리고 여헌 장현광의 "피란록(避亂錄)"이 지닌 문학사적 위상을 파악하기 위해 여헌의 문인이었던 유진(柳袗)의 "임진록" 및 도세순(都世純)의 "용사일기"와 비교하는 작업을 진행했다. 유진과 도세순의 일기는 청년의 눈으로 비쳐 본 전쟁의 참상과 혼란을 다루고 있으며, 개인의 생생한 체험을 최대한 충실하게 복원하는 데에 서술의 초점이 놓여 있었다. 따라서 개인 서사의 부분이 큰 비중을 차지하며, 여헌의 "피란록"에서 두드러지는 의론성 부분은 상대적으로 미약하다.

이용자 일기 분석을 통한 대학도서관 모바일 서비스 이용행동 연구 (Analyzing Usage Behavior of Mobile Services in Academic Libraries by Using Diary Method)

  • 김성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65-187
    • /
    • 2014
  •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 모바일 서비스에 대한 이용자의 경험을 일기를 통해 간접적으로 관찰함으로써 모바일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용자들의 이용행동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대학도서관이 모바일 서비스를 구축하고 운영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이용자들에 대한 이해를 돕고 모바일 도서관 서비스에 대한 이용자들의 요구를 파악함으로써 대학도서관 모바일 서비스의 발전을 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국내의 2개 대학도서관을 선정하고 대학생 20명에게 일주일 동안 매일 1회 이상 자관에서 제공하는 모바일 서비스를 이용해보고 이용 과정 및 생각들을 자세하게 일기에 작성하여 제출하도록 하였다. 수집된 총 137개의 일기는 귀납적 접근의 내용분석을 통해 분석되었으며, 정보요구, 정보요구 해결여부, 이용 서비스, 모바일 도서관 이용 과정 중에 보이는 정보행동과 장애요인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대학도서관 모바일 서비스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시간일지법으로 분석한 도시와 농촌 가족의 토요휴업일 생활실태 (Comparison of Urban Families and Rural Families in terms of Life Styles on Saturday-with-no-school by Using Time Diary Method)

  • 오경숙;한유미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13-122
    • /
    • 2009
  •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urban families and rural families in tenns of life styles on Saturday-with-no-school. The subjects were the 386 parents whose children were in the first or second grade in rural or urban area. The instruments of analysis were time diary method and parents' stress scale developed by Kim & Kang(l997).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n comparison with urban children, rural children spent more time in viewing TV and playing computer but spend less time in sleeping. field trip and cleaning on Saturday-with-no-school. Second, the difference of child-rearing time between mothers and fathers was less marked in urban area than in rural area. Rural fathers spent more time in watching TV or playing computer, while rural mothers spent more time in feeding and bathing of their children, helping their children do homework, and total child-rearing. Third, unlike urban parents, rural parents ddid not have much parenting stress on Saturday-with-no-school. These results show that there is a need to focus on rural parents in the preparation for introduction of 5 days-school-week system.

효율적 정보매체로서의 대학 다이어리 디자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niversity Diary Design as an Effective Information Media)

  • 박수진;이미영
    • 디자인학연구
    • /
    • 제16권4호
    • /
    • pp.151-162
    • /
    • 2003
  • 오늘날의 소비성향은 타인과의 구별을 통한 차별화 된 개성표현과 자기동일성(identity)의 측면에서 설명 할 수 있다. 일반기업에서는 이러한 소비의 패턴을 이해하고 철저히 상품을 마케팅하여 제시하고 있는데 반해서 대학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는 아직까지 보수적인 사고에 기반하여 변화하는 시대적 흐름에 유연히 대응하지 못 한 채 주 소비대상인 신세대의 취향을 읽어내지 못하는 결과물을 생산하곤 한다. 연간 수 천 만 원 대의 경비를 지출하며 제작되는 대표적인 대학 홍보물 중의 하나인 대학 다이어리가 그 한 예로서, 최근 대학에서 개선의 노력을 하고 있는 광고나 홍보팜플렛 등에 비해 대학 다이어리는 전문적인 디자인 기획이나 배려의 사각지대로 남아 있는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는 각 대학에서 만들어지는 대학 다이어리의 효용성을 확대하기 위해 대학 아이덴티티와 정보에 대해 고찰해 보았으며, 실재 사례를 분석하고 설문조사를 통해 소비자로서 대학생의 요구를 읽어냄으로써 대학 다이어리의 실질적인 디자인개선 방안을 제안해 보고자 하였다.

  • PDF

주거 공간에서의 3차원 핸드 제스처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 요구사항 (User Needs of Three Dimensional Hand Gesture Interfaces in Residential Environment Based on Diary Method)

  • 정동영;김희진;한성호;이동훈
    • 대한산업공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461-469
    • /
    • 2015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user's needs of a 3D hand gesture interface in the smart home environment. To find out the users' needs, we investigated which object the users want to use with a 3D hand gesture interface and why they want to use a 3D hand gesture interface. 3D hand gesture interfaces are studied to be applied to various devices in the smart environment. 3D hand gesture interfaces enable the users to control the smart environment with natural and intuitive hand gestures. With these advantages, finding out the user's needs of a 3D hand gesture interface would improve the user experience of a product.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a diary method to find out the user's needs with 20 participants. They wrote the needs of a 3D hand gesture interface during one week filling in the forms of a diary. The form of the diary is comprised of who, when, where, what and how to use a 3D hand gesture interface with each consisting of a usefulness score. A total of 322 data (209 normal data and 113 error data) were collected from users. There were some common objects which the users wanted to control with a 3D hand gesture interface and reasons why they want to use a 3D hand gesture interface. Among them, the users wanted to use a 3D hand gesture interface mostly to control the light, and to use a 3D hand gesture interface mostly to overcome hand restric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help develop effective and efficient studies of a 3D hand gesture interface giving valuable insights for the researchers and designers. In addition, this could be used for creating guidelines for 3D hand gesture interfaces.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수학적 의사소통의 지도 효과에 관한 연구 (Effects of communication in learning middle grade school Mathematics)

  • 김선희;이종희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8권1호
    • /
    • pp.145-162
    • /
    • 1998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teaching mathematical communication in mathematics learning. Cooperative learning, mathematics pin pals, and writing a mathematics diary were used to teach how to communicate mathematically. The experimental group was assigned to cooperate in class, to write a mathematics diary at the end of each class, and to exchange the mathematics pen pals once a week. The control group was taught by the traditional teaching method. The results were analyzed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The learning achievement between the two groups was performed with pretests and posttests. And after this study, mathematics pen pals, video protocol and open-ended test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the following: 1. There were little differences in learning achievement test between the group taught through communication and those not. And there were little differences in the results of achievement test between the two groups-high and low level classes.2. Cooperative learning, writing a mathematics diary and mathematics pen pals were effective as methods of teaching communication mathematically. The analysis of mathematics pen pals which is to investigate student's writing abilities showed that pen pal partners were improved in QCAI communication level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open-ended test. This means that communication learning has an effect on the tests for mathematical thought, reasoning, and creative thought. The analysis of video protocol showed that four students in a cooperative group were improved in their speaking and listening abiliti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