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mparison of Urban Families and Rural Families in terms of Life Styles on Saturday-with-no-school by Using Time Diary Method

시간일지법으로 분석한 도시와 농촌 가족의 토요휴업일 생활실태

  • Oh, Kyeong-Sook (Director of Goeunbyeol Storyland Child-care Center) ;
  • Han, You-Me (Dep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Hoseo University)
  • Published : 2009.02.28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urban families and rural families in tenns of life styles on Saturday-with-no-school. The subjects were the 386 parents whose children were in the first or second grade in rural or urban area. The instruments of analysis were time diary method and parents' stress scale developed by Kim & Kang(l997).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n comparison with urban children, rural children spent more time in viewing TV and playing computer but spend less time in sleeping. field trip and cleaning on Saturday-with-no-school. Second, the difference of child-rearing time between mothers and fathers was less marked in urban area than in rural area. Rural fathers spent more time in watching TV or playing computer, while rural mothers spent more time in feeding and bathing of their children, helping their children do homework, and total child-rearing. Third, unlike urban parents, rural parents ddid not have much parenting stress on Saturday-with-no-school. These results show that there is a need to focus on rural parents in the preparation for introduction of 5 days-school-week system.

Keywords

References

  1. 강기리(2005) 주 5일 수업제 정착을 위한 사회 인프라 구축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교육인적자원부(2003) 주 5일 수업제 선도학교 운영 사례집. 수원: 경기도 교육청.
  3. 김기현, 강희경(1997) 양육스트레스 척도의 개발. 대한가정학회지, 35(5), 141-149.
  4. 김선미(2008) 부모 자녀간의 건강행동과 아동 비만 관련성.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영애(2005) 초등학생의 토요휴업일에 대한 실태 조사.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은숙(2007) 중등학생의 토요휴업일 활용실태 및 인식조사. 부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옥희(2004) 주 5일 수업제 학교 교육과정 편성 운영 방안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재구(2005) 농촌학교 주 5일 수업제의 효율적 운영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학위논문.
  9. 노인선(2006) 초등학교 주 5일 수업제 연구. 학생들의 학습 활동과 교사.학부모의 제도 인식.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박상호(2003) 주 5일 수업제의 효과적인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경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박해미(1994) 자녀양육행동과 관련된 부모의 스트레스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상형자(1992) 아버지의 양육태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양희경(2005) 초등학교 주5일 수업제의 운영실태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이도근(2005) 주 5일 수업제의 정착을 위한 교사, 학부모의 견해 분석.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이미은(2008) 주5일 수업제가 청소년 여가활동에 미치는 영향 : 서산지역 청소년에 대하여. 한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이수미, 민하영(2007) 유아의 기질 및 아버지 양육참여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한국생활과학회지, 16(2), 219-225. https://doi.org/10.5934/KJHE.2007.16.2.219
  17. 이임식(2005) 공단지역 주 5일수업제 운영사례 연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이정순(2003) 유아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부부관계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8(2), 183-199.
  19. 이정순(2003)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양육참여와 부부 관계, 부모성장과의 관계. 한국아동학회지, 24(3), 99-108
  20. 이재활(2006) 초등학교 주5일 수업제 시행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임철수(2007) 주5일수업제에 따른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들의 여가인식 및 활동실태 분석.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2. 최남영(2006) 주5일 수업제 도입에 따른 중학생의 토요휴업일 활동. 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최미경(2004) 초등학교 주 5일 수업을 위한 교육과정 운영에 관한 연구: 서울 지역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4. 하민영(2007) 초등학교 주5일수업제 운영의 문제점에 관한 학부모 인식 연구. 부산교육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5. 한남제(1984). 한국도시가족연구. 서울: 일지사.
  26. 한유미, 양연숙, 곽혜경(2006). 육아지원센터 도입과 활성화 방안. 한국영유아보육학, 45. 75-98.
  27. 한유미, 오경숙(2008) 부부간의 부모효능감 유형에 따른 양육분담 및 양육스트레스.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19(4), 547-558.
  28. 홍희란(2002)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황경철(2005) 주 5일 수업제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주5일제 수업 2011년까지 전면실시. 수석교사 연내 법제화. 유치원 종일반 정규교원 배치 (2008.2.13) 한겨레신문.
  31. Abidin, RR(1992) The determinants of parenting behavior.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21, 401-412.
  32. Crinic, KA, Greenberg, MT(1990) Minor parenting stresses with young children, Child Development, 61, 1628-1637. https://doi.org/10.2307/1130770
  33. CUPE Research(2003, Mar) A Review of the four-day school week. British Columbia, Canada: CUPE . SCFP.
  34. Hsu, M(2002) The importance of Two-day weekend system on living culture along with efficient countermeasures Taiwan Experience. Journal of Korean Economics English Editions, 3(1), 137-150.
  35. Mann, MB, Thornberg, KR(1987) Guilt of working women with infants and toddlers in day care.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27, 451-464. https://doi.org/10.1080/0300443870270304
  36. Reeves, K(1999) The four-day school week. The School Administrator Web Edition (March 1999).
  37. Robinson, JP(1999) The time-diary method: structure and use. In W. E. Pentland, AS. Harvey, MP Lawton, MA McColl (eds) Time Use Research in the Social Sciences. NY: Springer.
  38. Seiko, S(2002) The five day work week system and changes in living culture - Two day-off school system and its effects on parents in Japan. Journal of Korean Economics English Edition. 3(1). 27-36.
  39. Snell, E.(2007). Ivanhoe interview with Emily Snell, Child Development, 78. 137-1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