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scriptive Perspective and Writing Method in Yeheon's Piranrok

여헌(旅軒) 장현광(張顯光)의 『피란록(避亂錄)』에 나타난 서술시각과 글쓰기 방식

  • 정우봉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 Received : 2014.11.30
  • Accepted : 2014.12.04
  • Published : 2014.12.30

Abstract

This is the paper on the descriptive perspective and writing method in Yeheon(旅軒)'s Piranrok(避亂錄). Piranrok was Yeheon's diary which was written during Japanese invasions of Korea. Many intellectual recorded their diaries during the war. Yeheon's Piranrok was a typical example among war journals. I tried to take view of the descriptive perspective and writing method in Yeheon's Piranrok. First, sourceful introspection was distinct characteristic in the descriptive perspective. Yeheon penetrated into a chaotic state of affairs during Japanese invasions of Korea. And Yeheon had reflective consciousness about self-existence. He contemplated his existence through diary writing. I had a task to study the writing methods in Yeheon's diary. One of the distinct characteristic in writing methods was to increase specific gravity of discussion. Yeheon advocated strongly his opinion and position about cause of war, war responsibility, morality, fortification and righteous army. Yeheon made the best use of communication method and catechetic method. He answered his own questions about the enter and retirement of public office. He expressed his worry and conflict through various techniques of expression. I have a task to study the diary in Chosun dynasty. I believe that analyzing characteristics of Yeheon's diary can contribute to understanding the literature history of diaries in Chosun dynasty.

이 논문은 임진왜란의 체험을 다룬 여헌(旅軒) 장현광(張顯光)의 "피란록(避亂錄)"을 주대상으로 하여 작품에 나타난 서술시각과 글쓰기 방식을 분석함으로써 "피란록(避亂錄)"이 조선시대 일기문학사에서 지닌 의의를 밝히고자 하였다. "피란록"의 독특한 특질과 성격을 밝히기 위해 이 논문에서는 서술시각과 글쓰기 방식에 초점을 맞추었다. "피란록"에 나타난 서술시각은 크게 보아 두 가지로 나뉜다. 하나는 혼란한 시대 현실에 관한 비판적 성찰의 시각이며, 다른 하나는 자기존재 및 상황에 대한 반성적 시각이다. 여헌의 "피란록"은 의론성이 대폭 강화된 점이 글쓰기 방식의 두드러진 특징이다. 피란 생활에서 겪는 개인의 일상을 매개로 하여 여헌은 개인의 출처(出處) 문제, 의병(義兵)의 동향과 전망, 축성(築城)의 이해 득실, 인륜 도덕의 회복, 전란의 원인과 책임 등 다방면에 걸쳐 자신의 의견과 주장을 선명하게 펼쳐내었다. 사회비평적 성격과 철학 담론적 성격을 효과적으로 작품속에서 구현하기 위해 여헌의 "피란록"은 임진왜란을 다룬 여타 일기와 달리 의론성의 비중을 크게 높였으며, 인물간 대화와 자문자답의 기법, 피란 고통의 생생한 묘사 등을 적절하게 활용하였다. 그리고 여헌 장현광의 "피란록(避亂錄)"이 지닌 문학사적 위상을 파악하기 위해 여헌의 문인이었던 유진(柳袗)의 "임진록" 및 도세순(都世純)의 "용사일기"와 비교하는 작업을 진행했다. 유진과 도세순의 일기는 청년의 눈으로 비쳐 본 전쟁의 참상과 혼란을 다루고 있으며, 개인의 생생한 체험을 최대한 충실하게 복원하는 데에 서술의 초점이 놓여 있었다. 따라서 개인 서사의 부분이 큰 비중을 차지하며, 여헌의 "피란록"에서 두드러지는 의론성 부분은 상대적으로 미약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