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검색결과 3,542건 처리시간 0.031초

필드버스 시스템에서의 기기통합에 관한 연구 (A Study about the Device Integration in Fieldbus System)

  • 문용선;이명복;정철호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324-330
    • /
    • 2004
  • 필드버스 시스템에서 필드기기를 제어전략에 맞게 제어시스템으로 통합하기 위해서는 기능 및 내부 파라미터가 기술되어 있는 DD(Device Description)를 구성 소프트웨어에 제공하여야 한다. 현재 DD는 DDL (Device Description Language)로 작성되며, IEC 61804-PART 2로 제정되어, 필드버스인 Profibus, Foundation Fieldbus, HART 시스템에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DD 기술은 필드버스에 종속적이며, 최근 많은 발전을 보이고 있는 산업용 이더넷 환경에 적합한 형식을 갖추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필드버스에 종속적이지 않고, 산업용 이더넷 환경에 적합한 형식을 갖춘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를 이용하여 필드기기의 내부 기능 및 파라미터를 XDD(XML for Device Description)로 표현하고자 한다 또한 앞으로 산업현장에서 이더넷의 발전 가능성을 살펴봄으로써, 분산제어시스템에서 XDD의 적용 관한 향후 연구과제를 제시한다.

Effect of the LiF anode interfacial layer on polymer light emitting diodes

  • Sohn, Sun-Young;Lee, Dae-Woo;Park, Keun-Hee;Jung, Dong-Geun;Kim, H.M.;Manna, U.;Yi, J.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 2005년도 International Meeting on Information Displayvol.II
    • /
    • pp.1056-1058
    • /
    • 2005
  • Electrical and optical characteristics of MEH-PPV-based PLEDs with the LiF anode interfacial layer were investigated. The maximum luminance efficiency of the device with a LiF anode interfacial layer of 1-nm-thick was 3.0 lm/W, which is higher than 1.97 lm/W of the device without a LiF layer. By inserting LiF, excess injected holes from ITO anode can be blocked and hence the recombination ratio of electrons and holes can be increased in the emitting layer to improve device efficiency.

  • PDF

나노 구조 MOSFET의 스켈링에 대한 특성 분석 (Analysts on the Sealing of Nano Structure MOSFET)

  • 장광균;정학기;이종인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5권3호
    • /
    • pp.573-579
    • /
    • 2001
  • 소자의 고집적을 위한 특성분석 기술은 빠른 변화를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고집적 소자의 특성을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이해하고 이에 맞게 제작하는 기술은 매우 중요한 과제 중의 하나가 되었다. 소자가 마이크론급에서 나노급 이하로 작아지면서 그에 맞는 소자개발을 위해 여러 가지 구조가 제시되고 있는데 본 논문에서는 TCAD를 이용하여 여러 가지 구조 중에서 고농도로 도핑된 ground plane 위에 적층하여 만든 EPI MOSFET를 조사하였다. 이 구조의 특성과 임팩트이온화와 전계 그리고 I-V특성 곡선을 저 농도로 도핑된 드레인(LDD)MOSFET와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TCAD의 유용성을 조사하여 시뮬레이터로서 적합함과 나노구조 소자에서의 스켈링이론의 적합함을 보았다.

  • PDF

듀얼 스크린 안드로이드 플랫폼 프로토타입의 설계 및 구현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Prototype of Dual Screen Platform on Android)

  • 황기태;조혜경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163-169
    • /
    • 2012
  • 안드로이드 플랫폼에서는 하나의 앱이 스크린 장치를 독점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동시에 2 개의 앱을 실행하여 각 앱이 실행되는 화면을 같이 볼 수 없다. 본 논문은 두 개의 안드로이드 단말기에서 쌍으로 실행될 필요가 있는 앱을 듀얼앱으로 정의하고, 이들을 각 단말기에서 실행 시키고 통신할 수 있는 듀얼 스크린 안드로이드 플랫폼, DSAP을 설계하고 구현한 내용을 기술한다. 하나의 앱이 실행되면 상대편 단말기에 피어 앱을 원격 실행시키고 이들이 서로 통신하면서 두 개의 스크린을 가진 하나의 앱인 것처럼 작동하게 한다. 본 논문에서는 DSAP의 프로토타입을 설계 구현한 내용과 DSAP의 응용 사례를 소개한다.

iTV 리모컨 포인팅 디바이스 수행도 측정 (User Performance Measures for iTV Remote Control of Pointing Devices)

  • 정경균;김인수;박승권;박용진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145-150
    • /
    • 2011
  • 본 연구는 Interactive TV (iTV)에 적용될 수 있는 시험용 Remote Pointing Device에 대한 수행도 평가를 수행하였다. 최근 업계에서 시도되고 있는 3개의 서로 다른 인터페이스 방식의 포인팅 디바이스를 대상으로 경험적 실험을 실시하였다. 측정방법으로 기존의 ISO 9241-Part 9에 명시된 직선궤도상의 Directional Task수행하였고, 측정변수로는 움직임 시간, 정확도, 효율성, 그리고 주관적 만족도를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움직임 시간은 GyroPoint 방식이 다른 Device에 비해 높은 수행도를 보였으나, 정확도는 Hall Mouse와 OFN방식에 비해 낮은 결과를 보였다. 그리고 효율성과 주관적 만족도는 각 입력장치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최근 시도되고 있는 주요 포인팅 장치에 대한 연구로 문제점 및 특징을 분석함으로써 iTV환경에 보다 적합한 리모컨 설계에 유용한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LTE-Advanced에서 단말간 직접 통신을 위한 영역 정보 기반 자원할당 및 전력 제어 기법 (Resource Allocation and Power Control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in LTE-Advanced Based on User Area Information)

  • 리향;신오순;신요안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40권1호
    • /
    • pp.32-42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LTE (Long Term Evolution)-Advanced 상향링크에서 제한된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하나의 셀룰러 링크와 다수의 D2D (Device-to-Device) 링크가 자원을 공유하는 시나리오를 고려하였다. 이때, 발생하는 간섭현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eNB (evolved Node B)에게 영역 정보를 알릴 수 있는 DME (Discovery and Management Entity)라는 보조 장치를 고정위치에 설치한 후, 동일한 자원을 공유하는 CUE (Cellular User Equipment)가 DUE Rx (D2D UE Receiver)에게 주는 간섭을 회피하기 위하여 DME의 영역 정보기반 자원할당 기법을 제안하였고 더 나아가, 앞에서 제기한 영역 정보를 기반으로 자원을 할당한 후, 동일한 자원을 공유하는 D2D 링크들 사이의 간섭을 완화하기 위한 전력제어 기법을 제안하였다. 모의실험을 통하여 비교 및 분석한 결과 D2D 통신의 안정성이 향상되었고 전체시스템 성능도 우수하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일차홀드 방식을 포함한 햅틱 시스템의 안정성 영역에 대한 통신시간지연과 햅틱장치 물성치의 영향 분석 (Impact Analysis of Communication Time Delay and Properties of a Haptic Device on Stability Boundary for a Haptic System with a First-Order Hold)

  • 이경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572-578
    • /
    • 2017
  • 사용자가 원격으로 가상환경에 접속하여 가상물체를 조작할 때 현실감을 증강시키기 위해서 햅틱 시스템이 사용된다. 그러나 원격 시스템 환경에는 통신시간지연이 발생하며, 발생된 통신시간지연은 햅틱 시스템을 불안정하게 만들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종래의 샘플-홀드 방식인 영차홀드 (ZOH; Zero-Order-Hold)가 아닌 일차홀드 (FOH; First-Order-Hold)를 포함하는 햅틱 시스템에서 시뮬레이션을 통해 통신시간지연과 햅틱 장치의 물성치 변화에 따른 가상 스프링상수의 안정성 영역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안정적인 햅틱 시스템을 구현하고자 한다. 통신시간지연이 없으면 일차홀드 (FOH) 방식이 영차홀드(ZOH) 방식보다 가상 스프링상수의 안정성 영역을 증가시킬 수 있었다. 그러나 통신시간지연이 증가하면, 샘플-홀드 방식보다 통신시간지연이 시스템 안정성에 더 큰 영향을 끼치므로, 샘플-홀드 방식에 따른 가상 스프링상수의 안정성 영역 크기에는 차이가 없어진다. 또한 통신시간지연과 일차홀드 방식이 포함되면 가상 스프링상수의 안정성 영역은 통신시간지연 크기에 반비례하고, 햅틱 장치의 댐핑상수 ($B_d$)에 정비례하여 증가하지만, 햅틱 장치의 질량 ($M_d$)에는 영향받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Light Trapping in Silicon Based Tandem Solar Cell: A Brief Review

  • Iftiquar, Sk Md;Park, Hyeongsik;Dao, Vinh Ai;Pham, Duy Phong;Yi, Junsin
    • Current Photovoltaic Research
    • /
    • 제4권1호
    • /
    • pp.1-7
    • /
    • 2016
  • Among the various types of solar cells, silicon based two terminal tandem solar cell is one of the most popular one. It is designed to split the absorption of incident AM1.5 solar radiation among two of its component cells, thereby widening the wavelength range of external quantum efficiency (EQE) spectra of the device, in comparison to that of a single junction solar cell. In order to improve the EQE spectra further and raise short circuit current density ($J_{sc}$) an optimization of the tradeoff between the top and bottom cell is needed. In an optimized cell structure, the $J_{sc}$ and hence efficiency of the device can further be enhanced with the help of light trapping scheme. This can be achieved by texturing front and back surface as well as a back reflector of the device. In this brief review we highlight the development of light trapping in the silicon based tandem solar cell.

유헬스케어 패치형 무선 체온 모니터링 시스템 구현 (U-Healthcare Patch Type Wireless Body Temperature Monitoring System)

  • 박영상;권오언;조현성;손재범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55-61
    • /
    • 2020
  • Recently, there have been many research on fever management using u-healthcare technology. Especially, fever of infants requires continuous monitoring of body temperature by parents. For infants between 4 weeks and under 5 years old, it is recommended to use an electronic thermometer or chemical thermometer in the axilla, or to use an infrared thermometer. However, in order to overcome the reality of not being able to waste significant time on continuous monitoring, there have been demands of patch type thermometers with the internet of things (IoT)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Existing IoT thermometers are difficult to attach to infants' body because they do not take into account its size, and their interoperability is not guaranteed because they do not comply with standards in communication. Therefore, in this study, a patch-type thermometer with a diameter of 20 mm and a weight of 2.9 g was developed to manage the fever of infants, while it communicates wirelessly with Bluetooth Low Energy (BLE) communication protocol and complies with IEEE 11073 PHD(Personal Health Device) at the same time. We verified its performance under the requirements of thermometers regulated by the Korean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cratch-based Science Learning Environment Using Non-formal Learning Experience

  • Ko, Hye-Kyeo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8권2호
    • /
    • pp.170-182
    • /
    • 2019
  • In this paper, we use scratch to design and develop non-formal learning experiences that are linked with contents of secondary science textbook to educational programs.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develop a convenient and interesting program for non-formal learning in a learning environment using various smart device. Theoretical approaches to mobile education, such as smartphones, and smart education support policies continue to lead to various research efforts. Although most of the smart education systems developed for students who have difficulty in academic performance are utilized, they are limited to general students. To solve the problem, the learning environment was implanted by combining the scratch, which is an educational programming that can be easily written. The science education program proposed in this paper shows the result of process of programming using ICT device using scratch programming. In the evaluation stage, we were able to display the creations and evaluate each other, so that we could refine them more by sharing the completed idea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