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velopmental curriculum

검색결과 136건 처리시간 0.023초

한국인 영양섭취기준에 대한 이해 및 새 교과서에의 적용 방안 (The Changes of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and Its Application to the New Text Book)

  • 김정현;이민준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75-94
    • /
    • 2008
  • 현대사회의 식생활 행태는 영양보충제와 건강보조식품의 사용 증가 및 영양소의 과다 섭취 문제에 따른 새로운 식생활 구조 변화와 건강 및 질병 양상 관리를 위해서는 새로운 개념이 도입되고 적용되기 위하여 2005년 한국인을 위한 영양섭취기준을 설정하게 되었으며 현재 새로운 개념의 영양섭취기준은 우리의 올바른 영양건강상태 관리는 물론 합리적인 식생활 관리 분야에서 적용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다양한 관련 분야의 식품, 영양학 분야에서 활용이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 영양섭취기준을 중심으로 변화된 식생활 영역의 내용을 알아보고 올바른 이해를 통하여 개정된 교육과정에 준한 새 교과서에 적용할 수 있도록 방향 제시를 함으로서 새 교과서의 식생활 영역에 있어 내용의 충실함과 질적 향상을 도모하고자 하는데 목적을 가지고 있다. 한국인 영양섭취기준은 지금까지 사용된 영양권장량보다 보다 다각적인 측면에서 기준을 제공하므로 실제 적용 현장에서도 이해하는 정도와 적용 가능 여부에 대하여 어려움이 있는 실정이다. 더욱이 중학생 수준에서의 적용 수준을 결정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더욱이 7차 교육과정에 비해 개정 교육과정은 식생활영역의 내용의 제시 위치 및 분량 그리고 구성 요소의 근거 등에 변화가 있어 훨씬 어렵게 접근되어져야 하는 부분이다. 이는 국가의 미래를 책임질 어린이와 청소년의 학교교육에서 인간에게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생활을 실천하는 실천 교과인 본 가정 교과의 새로운 교육 과정에 적용을 위해서는 새롭게 도입된 영양섭취 기준에 관한 올바른 이해를 통하여 실제 생활에 적용하여 실천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 PDF

각기둥의 정의 만들기에 관한 지도 사례 연구 -초등학교 5학년을 대상으로- (A Scheme of the Instruction of Prism Definition for 5th Grade Students)

  • 조영미;박하나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317-332
    • /
    • 2011
  • 이 연구에서는 각기둥의 정의 만들기 활동을 위한 학생용 활동지를 개발하여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에게 실행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정의 만들기 수업에서 핵심은, 학습지에 차례로 제시되는 비(非) 예들이 포함되지 않도록 기존의 정의를 수정하여 새로운 정의를 만드는 것이었다. 연구 결과로, 학생들이 각기둥의 성질을 어떻게 인식하며, 비(非) 예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각기둥의 정의에 사용되는 성질들로 무엇이 부각되는지를 알 수 있었다. 더불어 정의 만들기 활동을 통한 학생들의 수학적 정의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문헌정보학과 재학생의 취업전망에 대한 인식조사 연구 (LIS Employment Prospects: LIS Students' Perspective)

  • 노영희;안인자;이종문;오세훈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143-167
    • /
    • 2013
  • 도서관의 인력은 도서관서비스 수준을 결정하고, 도서관의 수준은 한 나라의 지적 역량을 가늠하는 가장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문헌정보학과에 재학 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사서직 취업전망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기 위하여 설문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도서관으로 취업하고 싶다는 비율이 40%로, 다른 분야에 비해 상당히 높게 나타났다. 그들은 사서직 고용환경에 대해 부정적인 견해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향후 발전가능성이 있다는 취업전망을 가지고 있었다. 둘째, 설문응답자가 희망하는 업무로 '문화프로그램 등 업무'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현재의 교육과정에는 대체로 만족하지만 취업지원프로그램으로 진로지도와 취업멘토링, 인턴십에 대해 높은 요구도를 나타냈다. 넷째, 학생들은 학업성적, 어학능력, 각종 자격증 취득, 인턴 및 실습, 경력관리를 매우 중요한 취업요건으로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학생들의 직장선택에 영향을 주는 조직 환경적 요인은 보수와 복리후생, 자기발전 기회부여, 근무조건과 조직문화, 조직의 발전가능성 등의 순으로 나타났고, 개인적 요인은 개인의 적성, 취업분야 지식 및 기술 수준, 사회적 대우 및 인식, 전공일치여부, 직장과의 거리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소수 개념의 교수학적 분석 (A Didactical Analysis of the Decimal fraction Concept)

  • 우정호;변희현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5권3호
    • /
    • pp.287-313
    • /
    • 2005
  • 소수는 십진기수법의 완성을 통해 실수의 표준기호화를 가능하게 하며 실수의 본질을 이해하는데 핵심적 역할을 하는 기본 개념이다. 우리나라 학교수학에서는 소수 개념에 대하여 분수의 다른 이름이라는 측면이 강조되고 그 밖의 중요한 여러 측면이 소홀히 지도된 채 성급한 알고리즘화가 시도되고 있다. 그 결과 학생들은 소수 개념을 적절히 이해하지 못한 채 형식적인 계산 조작의 대상으로 파악하며, 이는 무한소수인 실수 개념 이해의 심각한 장애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문제점이 제기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학교수학의 주요 개념의 하나인 소수 개념에 대하여 그 교수학적 분석을 시도하여 그 주요한 교육적 문제점의 근원을 드러내고 그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전문대학 재정지원사업이 학과발전에 미치는 영향연구 (Effects of the College Financial Support Program on Development of the Department)

  • 유순규;최혜경;엄태환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213-234
    • /
    • 2003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hich was done by questionnaire survey and case study of First Aid Certification Program in Seoul Health College were to analyze results and effects of the college financial support program from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Development. The significant 164 data were collected from 300 professors in 8 colleges having the Department of Emergency Care from Oct. 1, 2002 to Dec. 31, 2002 and analyzed using SPSS in terms of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o on. The conclusions and suggestions from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Degree of acknowledgement about aims, contents, results of the college financial support program was above the middle(participants 4.21, non-participants 3.63) and higher relation than the others in case of participants(r:0.32 p<0.001), planning team(r:0.22 p<0.05). (2) Degree of acknowledgement about improvement of curriculum & educational facilities through the program was above the middle and higher relation than the others in case of participants. (3) Degree of acknowledgement about positive influence on acquirement rate of certification(licence) & job through the program was above the middle and performance & adaptation at work place was higher relation than the others in case of participants. (4) Degree of acknowledgement about positive influence on improvement of learning of student's major through the program was above the middle and higher relation than the others in case of participants. (5) The respondents thought that the program had a negative influence on professor's educational activities & research such as study 40.4%, lecture 23.1%, student guidance 12.5%. (6) When the program was administered by planning team, there were difficulties such as execution of budget 42.1%, cooperation with companies 17.1%, cooperation among program teams 11.8%, when it was administered by non-planning team there were difficulties such as execution of budget 45.5%, cooperation among departments 22.7%, cooperation with companies 13.6%. (7) Because it was too short to execute the budget, the ministry have to select proposed programs before the next school year. (8) This program should be changed temporary, insufficient support into consecutive, sufficient support for more characterization & specialization of the college which has a long-term developmental plan & vision.

  • PDF

인지발달에 따른 도서관 이용과 독서성향 연구: 초등학교 4학년과 6학년을 중심으로 (A Study on Library Use and Reading Tendency According to Cognitive Development: Focused on Fourth and Sixth Grade Students in an Elementary School)

  • 이은경;김기영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79-207
    • /
    • 2017
  • 본 연구는 초등학교 4학년과 6학년의 인지발달 차이가 도서관의 이용행태, 독서성향, 도서관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서울의 초등학교 세 곳을 선정하여 4학년과 6학년을 대상으로 인지발달 검사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인지발달이 높은 6학년은 도서관 정보서비스 요구가 4학년보다 많았으나 4학년에 비해 독서량과 도서관 이용이 적고, 흥미 위주의 책을 선호하는 양상을 보여, 인지발달이 높다고 이용행태와 독서성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6학년은 도서관 인식에서도 4학년보다 낮았다. 학생들의 도서관에 대한 인식은 이용행태와 독서성향에 의해 영향을 받았다. 즉, 학생의 도서관 이용 정도, 도서 선정 시 사서의 도움 경험, 그리고 교과 연계 도서 선호도는 학생들의 도서관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5학년 이상의 고학년 초등학생 대상의 발달 단계에 따른 도서관 서비스를 제안하였다.

예비유아교사의 소프트웨어 교육에 대한 관심도 분석: 관심중심수용모형(CBAM)을 중심으로 (Analysis o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tage of Concerns about Software Education According to the Concerns-Based Adoption Model)

  • 정지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7호
    • /
    • pp.431-440
    • /
    • 2017
  • 본 2018년 소프트웨어 교육 필수화를 앞두고 최근 초 중등교육현장에서는 소프트웨어 교육 운영 및 지원방안 마련에 한창이다. 이러한 시점에서 본 연구는 소프트웨어 교육의 유아교육에의 도입가능성을 전제로 예비유아교사의 소프트웨어 교육에 대한 관심도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B광역시 소재 4년제 대학교 예비유아교사 132명을 대상으로 관심중심수용모형(CBAM)에 따른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원점수 평균을 도출한 후 간이 채점표를 적용하여 상대적 강도로 전환하고 이를 관심도 프로파일 그래프로 나타내었으며, 배경변인에 따른 관심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 t-test와 ANOVA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예비유아교사의 소프트웨어 교육에 대한 관심도는 0단계(지각)가 95%로 가장 높고, 정보적, 개인적, 운영적 관심이 높은 수준으로 나타나 대체적으로 비사용자 패턴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전형적 비사용자 패턴에 비해 개인적, 정보적 관심도가 다소 높고 6단계(재초점)로의 '꼬리 올리기'현상이 나타남으로써 어느 정도 비판적 비사용자에 가까운 패턴 양상을 띠기도 하였다. 필요성 인식, 향후 실행계획 유무, 테크놀로지 효능감 수준에 따라 운영을 제외한 모든 단계에서 유의미한 수준의 관심도 차이를 나타내었고 교육 및 연수경험에 따른 차이에서는 6단계(재초점)에서만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유아 소프트웨어교육의 도입을 앞두고 새로운 테크놀로지 활용에 대한 예비교사의 개방적인 인식전환이 요구되는 가운데, 코딩교육 등으로 대변되는 사교육 기반의 유아소프트웨어 교육이 아닌, 유아의 발달수준에 적합할 뿐만 아니라 누리과정과 연계된 교육활동으로서의 가치를 확인시켜줄 수 있는 유아 소프트웨어 교육을 위한 교사 교육의 필요성이 제안되었다.

초.중학생을 위한 보건교육의 영역 및 주요개념 선정을 위한 일 연구 (A Study on the Selection of Health topic areas and major concepts for Health Education in Primary and Junior High Schools)

  • 이경자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0-26
    • /
    • 1990
  • In Korean education, the health contents are scattered in various course subjects throughtout the primary and junior high school curriculum. So it is very difficult to provide systematic health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a guide for health education using health topic areas and major concepts that represent the scope of material that should be covered in health instruction. The steps used in selecting these health topic areas and major concepts were as follows: 1. A review of the literature related to health and health education was done to develop the rationale underlying this study. 2. Health topic areas basic to the growth and development characteristics of children, to human needs and to societal needs for healthful living were indentified. 3. The major concepts for each health topic area based on health sciences and children's growth and development levels were selected. 4. The major concepts selected were organized in sequence to guide health education from grade one to grade nin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identification of eleven health topic areas essential for health education. These include: personal habits and health healthy growth and development nutrition and health prevention of disease and disorders drugs and health mental health family life and health sex education accident prevention consumer health community health 2. The identification of the major concepts(generalizations) for each health topic area: 33 major concepts were identified as a guide in determining the health content of health education programs. These are 1) body cleaniness, 2) health of the sensory organs, 3) dental health, 4) exercise and rest, 5) growth and development, 6) body structure and function, 7) developmental tasks, 8) balanced nutrition, 9) eating habits, 10) food preparation and food storage, 11) sources of disease and disorders, 12) disease preventive behavior, 13) care during illness, 14) drug use and misuse, 15) drug addiction, 16) emotional responses, 17) human relationship, 18) self concept, 19) social adjustment, 20) health habits of the family, 21) interdependence of family members, 22) origin of life, 23) characteristics of man and woman, 24) sexual instinct, 25) safety behavior, 26) emergency measures, 27) criteria for selection of health products, 28) proper use of health information, 29) utilization of health and medical services, 30) environmental conservation, 31) environmental pollution, 32) population control, 33) function of public health services. 3. The organization of the concepts(generalizations) in sequence and for continuity in health instruction at the primary and junior high school level.

  • PDF

일 대학 학생들의 AIDS에 대한 지식, 태도의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knowledge and attitude of AIDS In college students)

  • 최길순;채민정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73-86
    • /
    • 2009
  • Purpose : This study is a descriptive correlation study to offer the basic materials for developing the preventive program of continuously increasing AIDS in the young people by examining the knowledge and attitude of AIDS in college students. Methods : The period of data collection was from May 1 to 15, 2009, 300 freshman, sophomore and junior students who understood the purpose of the research and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questionnaire were randomly sampled,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them and their responses were collected.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included those used by Kim and Lee and revised and complemented by this researcher to measure the knowledge of AIDS and those by Yun and Lee revised and complemented by the researcher to measure the attitude of AIDS. For data analysis, it measured technical statistics, t-test,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using SPSS/PC 12.0. Results :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whole knowledge of AIDS the subjects had scored 58.9 and their average attitude scored $3.78(1{\pm}25)$. 2. In the degree of knowledge of AIDS depending on general characteristics and health-related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it was found that the students at the department of emergency medical showed higher knowledge(t=3.638, p=.001) and positive attitude of AIDS(t=3.330, p=.001) compared to students at other majors. 3. In the degree of knowledge of AIDS depending on AIDS-related education, subjects who had experienced AIDS education(t=1.973, p=.050), those with the experience of theory education(F=4.057, p=.008), those who felt the necessity of AIDS education(t=4.588, p=.000), and those who were willing to take part in AIDS education(t=2.898, p=.004) showed higher know1edge of AIDS. In the attitude of AIDS, subjects with theory-oriented AIDS education(F=3.012, p=.032), those who felt the necessity of AIDS education(t=2.445, p=.015), and those who were willing to take part in AIDS education(t=2.379, p=.018) showed positive attitude of AIDS education. 4. As the knowledge of AIDS the subjects was higher(r=.329, p=.000), they showed more positive attitude of AIDS and it meant that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s. Conclusion : Consequently, systematic, concrete and continuous education of AIDS suitable to the requirements of college students is needed to induce changes of their knowledge and attitude of AIDS and for this, AIDS education program which can be used properly by the developmental stages of college students who belong to late adolescence should be developed in the field of school and if possible, curriculum of sex education including AIDS education should be established in all departments of college.

  • PDF

유아교육 현장에서의 유아용 교재 · 교구 활용에 대한 품질인식과 인증평가제도 적용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Perceived Quality and Application of Authentication Evaluation System of Teaching Materials and Implements for Children and the tren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 강영식;박정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5601-5609
    • /
    • 2013
  • 본 연구는 유아교육 현장에서의 유아용 교재 교구 활용에 대한 품질인식과 인증평가 제도적용에 대한 실태를 알아보는데 목적을 갖고, 2013년 4월 20일부터 30일까지 충남, 대전지역 어린이집에 종사하는 3년차 이상된 영유아반 지도교사 1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교재 교구 활용실태는 유아와의 상호작용에서 교재 교구의 질 중요성은 전체 96.1%가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대다수 교사가 교육, 보육과정을 고려한 교재 교구사용시 수량과 품질에 대한 높은 인식을 보였다. 또한 현장에서 유아교사와 교구간의 사용시 가장 불편한 점으로는 발달의 적합성(47.3%)이 가장 높고, 유아에 대한 사용의 편리성은 평균 3.54점으로 나타났다. 이 외에 놀이와 교구의 사용시 유아들의 교구활용에 대해 평균 3.89점으로 유익하다고 나타났으며, 현재 유아교육 현장에서 사용되는 유아 교구에 대해 평균 3.29점으로 보통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재 교구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평균 3.99점으로 비교적 긍정적이었다. 이같은 결과는 유아의 어린이집에서의 교재 교구활용에 따른 교재 교구의 질이 매우 중요시 되고 있음을 입증시켜 주었다. 이는 교재 교구의 중요성과 유용성을 고려할 때 품질기준과 시설평가와 함께 교재 교구도 평가인증제도를 도입하여 품질이 보증된 제품의 공급으로 유아들의 안전과 사용에 따른 편익성을 보장할 수 있는 제도적 정책의 도입이 요구됨을 시사해 준 것이라 평가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