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terminants of Technology Transfer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35초

기술이전성과의 영향요인에 관한 메타분석 (Meta-Analysis on Factors Influencing Technology Transfer Performance)

  • 정부일;현병환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522-559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기술이전성과의 영향요인에 관하여 선행연구들(국내 학술지 및 학위논문 52편)의 내용을 검토 분석하고 다양한 영향요인들을 이론적 배경을 기반으로 6개 상위요인과 13개 하위요인으로 정리하였다. 선행연구결과들을 메타분석으로 종합하여 기술이전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전체평균 효과크기를 산출해 내었고, 하위영향요인별 효과크기를 비교 검토하여 핵심영향요인을 식별해 내었다. 메타분석의 랜덤효과모형을 적용하여 산출한 평균효과크기(ESr)는 .269로서 중간효과크기에 해당하며, 하위요인분석을 통해 연구자 수, 전담조직, 보유기술, 그리고 외부협력이 핵심영향요인으로 도출되었다. 기술이전성과는 기술이전 건 수, 기술이전 수입금액, 기타 기술이전성과의 3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여 하위범주 수준에서의 메타분석을 통하여 각 유형별로 주요 영향요인들을 도출하였다. 논문유형과 자료유형에 대한 조절효과 여부를 분석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도출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기술이전 사업화 프로세스 중 기술이전과정에 제한된 연구이므로 후속연구에서 기술사업화 영향요인 관련 연구의 추진이 필요하다.

글로벌 소프트웨어 개발에서의 지식이전에 대한 실증적 연구 (An Empirical Study on Managing Knowledge Transfer in Global Software Development)

  • 김경민;김샘이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11권1호
    • /
    • pp.69-83
    • /
    • 2009
  • 본 연구는 글로벌 소프트웨어 개발에 있어서 본사와 해외 개발 사이트간의 지식이전이 성공적인 소프트웨어 개발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 지식이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커뮤니케이션 인프라, 파트너쉽, 거버넌스 구조를 독립변수로 보고, 이들 독립변수와 지식이전과의 관계를 실증 분석하였다. 실증 분석은 최근 프랑스 기업들의 해외 개발 거점으로서 발전하고 있는 Mauritius의 기업들에 대한 설문 조사를 토대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결과는 최신 트렌드인 글로벌 소프트웨어 개발을 계획하거나 수행 중인 기업들에게 효과적인 지식 이전을 위한 해결책을 제시해 주고 있는데, 이러한 점이 본 연구의 의의라고 할 수 있다.

온라인 교육이 훈련교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적 연구 (Effect of Online Education on Training Effectiveness: Conceptual Framework and Empirical Validation)

  • 김정욱;남기찬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185-209
    • /
    • 2007
  • 최근의 정보기술 개발은 온라인 훈련에 기여하였으며 이러닝 혹은 가상 교육 등과 같이 유사한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는 기업에서의 온라인 교육은 피교육자에게 다양한 방법으로 교육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전자적인 측면에서 일괄 서비스 체계의 솔류션을 제공하는 혁신 서비스로서의 기능을 제공하고 있으며 온라인 교육 환경하에서는 교육자와 피교육자가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개인화된 교육 패키지를 공급할 수 있게 한다. 본 논문에서는 온라인 교육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독립 변수로 하고 교육 성과와 전달 성과의 두 가지 측면에서의 교육 효과성을 종속 변수로 하는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기존의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8개의 가정을 설정하고 설문서를 작성하여 LISREL을 이용하여 분석 한 결과 피교육자에 기인된 개별적 변수와 조직 변수가 훈련 효과성과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과학기술계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연구개발성과 결정요인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KIST) 사례연구 - (Determinants of R&D Performance of Government-supported Research Institutes in the Field of Science and Technology - A Case Study of the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KIST) -)

  • 최호영;최치호;김정수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791-812
    • /
    • 2011
  • 본 연구는 과학기술계 정부출연연구기관인 한국과학기술연구원을 대상으로 연구개발성과를 높이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찾는 실증적 사례연구이다. 2004년부터 2008년까지의 연구과제 자료를 이용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logistic regression analysis)을 통해 성과의 결정요인을 탐색하고 이를 다시 연구원들의 인식조사와 비교 검토하였다. 회귀분석결과 논문 성과의 경우 총 연구비, 비정규직 인력비율, 훈련비 지출여부, 연구책임자의 전년도 논문실적이 주요 성과 요인이었으며 특허등록 및 기술이전 성과의 경우 총 연구비, 기자재(재료비)지출 비율, 위탁과제의 포함 여부가 주요 성과요인이었다. 이는 논문성과와 특허(기술이전)성과의 영향요인이 다르기 때문에 각 성과를 위한 연구개발 정책은 차별화 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또한 분석된 성과 요인들은 연구원들이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요인과 적지 않은 차이를 보이고 있어 각 정부출연연구기관들이 연구를 수행하고 있는 연구원들과의 의사소통을 원활히 하고 이를 종합하여 연구개발 성과 제고를 위한 정책적 분석을 정교히 수행할 필요가 있다.

  • PDF

Review of the Existing Relative Biological Effectiveness Models for Carbon Ion Beam Therapy

  • Kim, Yejin;Kim, Jinsung;Cho, Seungryong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31권1호
    • /
    • pp.1-7
    • /
    • 2020
  • Hadron therapy, such as carbon and helium ions, is increasingly coming to the fore for the treatment of cancers. Such hadron therapy has several advantages over conventional radiotherapy using photons and electrons physically and clinically. These advantages are due to the different physical and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heavy ions including high linear energy transfer and Bragg peak, which lead to the reduced exit dose, lower normal tissue complication probability and the increased relative biological effectiveness (RBE). Despite the promising prospects on the carbon ion radiation therapy, it is in dispute with which bio-mathematical models to calculate the carbon ion RBE. The two most widely used models are local effect model and microdosimetric kinetic model, which are actively utilized in Europe and Japan respectively. Such selection on the RBE model is a crucial issue in that the dose prescription for planning differs according to the models. In this study, we aim to (i) introduce the concept of RBE, (ii) clarify the determinants of RBE, and (iii) compare the existing RBE models for carbon ion therapy.

ICT기반 연구소기업의 기술사업화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from Research Institutes to ICT-based Spin-offs)

  • 박재수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3권6호
    • /
    • pp.690-696
    • /
    • 2019
  • 기술사업화 과정을 통해서 시장에 진입하는 신생기업은 높은 불확실성에 직면한다. 특히 경쟁시장에 진출하는 ICT관련 기업은 더욱 복잡한 상황을 처리해야 한다. 불확실성 해결을 위한 심도 있는 연구가 이루어졌지만 기업의 사업화 프로세스에 대한 이해는 여전히 부족하다. 논의를 위해서 본 연구는 기술사업화 모델과 결정요인을 (정책, 재무, 작업 팀, 조직 문화, 어려움 극복 등) 제시한다. 연구대상은 연구개발특구의 연구기관에서 기술을 이전받은 ICT 관련 스핀오프 기업이다. 연구결과는 조직역량의 지속성이 기술사업화프로세스의 준수만큼 중요하다는 사실이 나타났다. 조직역량이 줄어들 때 기술사업화의 추진동력 또한 약해지는 결과가 나타났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술사업화 프로세스는 시장 진입의 성공을 보장하는 것이 아니며 시장 접근의 수단으로 이해된다. 조직역량의 강화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성공적인 기술사업화 프로세스도 존재하지 않는 것이다.

지각된 유용성과 사용용이성이 기업 이러닝 교육의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자기효능감과 업무환경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Learning Transfer on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in Enterprise e-Learning - Focused on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and Work Environment -)

  • 박대범;구자원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7권3호
    • /
    • pp.1-25
    • /
    • 2018
  • 본 연구는 이러닝 학습 경험이 있는 국내외 기업 종업원 390명을 대상으로 지각된 유용성, 사용용이성, 자기효능감 및 업무환경이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하였다. 또한 각 요인의 학습전이에 대한 직접효과와 더불어 자기효능감과 업무환경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이러닝 학습자의 지각된 유용성과 사용용이성은 자기효능감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보였으며, 상사 및 동료 지원과 조직 분위기에도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자기효능감은 학습전이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보였으며, 상사 및 동료 지원과 조직 분위기도 학습전이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각된 유용성 또한 학습전이에 유의미한 영향을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하지만 지각된 사용용이성은 학습전이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매개효과 분석결과 자기효능감과 업무환경은 각각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사용용이성과 학습전이에 대해 모두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시사점은 첫째, 기업교육에서 보편화된 이러닝에 대해 기술수용 단계를 벗어나 수용 후 실질적인 학습전이 효과에 대한 영향요인을 반영한 새로운 연구 모형을 제시하였다. 기술수용모델에서 외부 특성요인에 대한 매개변수로 사용되는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사용 용이성을 독립변수로, 외부 특성요인으로 연구되었던 자기효능감과 조직 환경을 매개변수로 사용한 연구모형을 도출하였다. 둘째, 기술수용과 학습전이에 관한 연구는 단일국가를 대상으로 한 연구들이 대부분이다. 26개 국가의 표본을 대상으로 다양한 샘플을 사용하여 연구 모형을 검증함으로써 신뢰성을 높였다. 셋째, 기존의 연구에서 지각된 유용성과, 사용용이성을 수용의향 및 학습전이의 주요 결정요인으로 고려하였다. 본 연구는 수용된 정보기술에 대해 학습자 및 환경 요인의 매개효과를 탐색하여 지각된 유용성, 사용용이성의 학습전이에 대한 경로를 강화하고 보완하였다. 본 연구에서 활용된 다양한 국가의 표본 분석을 기반으로 향후 국제비교연구도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Impacts of C60-Ionic Liquids (ILs) Interactions and IL Alkyl Chain Length on C60 Dispersion Behavior: Insights at the Molecular Level

  • Wang, Zhuang;Tang, Lili;Wang, Degao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5권9호
    • /
    • pp.2679-2683
    • /
    • 2014
  • Mechanisms underlying the impacts of interactions between carbon nanoparticles (CNPs) and ionic liquids (ILs) on the physicochemical behavior of CNPs need to be more full worked out. This manuscript describes a theoretical investigation at multiple levels on the interactions of fullerene $C_{60}$ with 21 imidazolium-based ILs of varying alkyl side chain lengths and anionic types and their impacts on $C_{60}$ dispersion behavior. Results show that ${\pi}$-cation interaction contributed to mechanism of the $C_{60}$-IL interaction more than ${\pi}$-anion interaction. The calculated interaction energy ($E_{INT}$) indicates that $C_{60}$ can form stable complex with each IL molecule. Moreover, the direction of charge transfer occurred from IL to $C_{60}$ during the $C_{60}$-IL interaction. Quantitative models were developed to evaluate the self-diffusion coefficient of $C_{60}$ ($D_{fullerene}$) in bulk ILs. Three interpretative molecular descriptors (heat of formation, $E_{INT}$, and charge) that describe the $C_{60}$-IL interactions and the alkyl side chain length were found to be determinants affecting $D_{fullerene}$.

Corrosion Behavior of Fe-Ni Bainitic Steel Through an Inverted Austempering Multi-Step Process for Weathering Steel Applications

  • Miftakhur Rohmah;Gusti Umindya Nur Tajalla;Gilang Ramadhan;Yunita Triana;Efendi Mabruri
    • Corrosion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3권1호
    • /
    • pp.11-19
    • /
    • 2024
  • A Fe-Ni Bainitic steel as a weathering steel application was developed by combining its excellent mechanical properties and corrosion resistance in maritime environments. Nickel concentration (0.4-3 wt%) and inverted austempering multi-step (IAM) process were primary determinants of the microstructure of the Fe-Ni Bainitic steel. The initial austempering steel was performed at 300 ℃ for 600 seconds to obtain a partly bainitic transformation. The steel was heated again for 1800 s at 450 ℃. The microstructure was comprised of ferrite, a blocky martensite/austenite island, and a homogeneous lath-shape bainite structure with widths ranging from 4.67 to 6.89 ㎛. The maximum strength, 1480 MPa, was obtained with 3 wt% nickel. In this study, corrosion behavior was investigated utilizing potentiodynamic and electrochemical impedance spectroscopy (EIS) tests. A higher nickel content in Fe-Ni Bainitic steel refined the grain size, improved the bainite fraction, lowered the corrosion rate to 0.0257 mmpy, and increased the charge transfer of film resistance to 1369 Ω.

한국 대학벤처캐피탈의 투자성과에 대한 연구 (The Performance of University Venture Capitals in Korea)

  • 김도성;안성필
    • 벤처창업연구
    • /
    • 제15권1호
    • /
    • pp.17-29
    • /
    • 2020
  • 대학이 보유한 지적재산과 인적자원을 활용하여 기술이전을 촉진하고 창업을 지원하는 역할에 대한 관심은 국내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한국의 대학에서도 다양한 조직을 통하여 기술이전과 창업을 장려하고 있으며 대학기술지주회사는 그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 대학기술지주회사의 사업성과는 기술사업화 경험 및 전담 인력의 부족 그리고 법적·제도적 장애요인으로 인해 저조한 실정이다. 최근에는 기존의 자회사 설립을 통한 사업화 시도와 더불어 대학기술지주회사가 직접적으로 액셀러레이터 또는 벤처케피탈의 역할을 맡아 스타트업을 발굴하고 성장을 지원하여 기업가적 대학으로의 변신을 주도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벤처캐피탈과 그 투자대상인 스타트업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대학벤처캐피탈의 투자성과를 측정하고 그 결정 요인을 실증분석하였다. 대학벤처캐피탈은 주로 설립된 지 3년 이내의 신생 스타트업에 초기 투자자금을 지원하여 민간 벤처캐피탈의 후속투자를 유인하는 역할을 하고 있었다. 이러한 후속투자 유치를 대학벤처캐피탈의 주요 성과지표로 활용하여 대학벤처캐피탈이 다른 민간 투자자 및 정부의 지원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투자할 경우 가장 투자성과가 높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과 산업계 그리고 정부의 협력이 스타트업의 성공가능성을 높이는 핵심적인 요소라는 것을 보여준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연구와는 차별화하여 대학기술지주회사의 액셀러레이터 또는 벤처캐피탈의 역할을 최초로 분석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